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
봉화 충효당 (奉化 忠孝堂)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2. 8. 28. 11:15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인물기념 / 사우 수량 2동 지정일 2021.02.22 소재지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창평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관리자 문화재 설명 임진왜란 때 19세의 나이로 문경진중(聞慶陣中)에서 싸우다 전사한 충효당(忠孝堂) 이장발(李長發)(1574-1592)을 기리기 위해 1750년경에 건립한 건물이다. 건물 주위에는 방형의 토석담장을 두른 뒤 전면에는 사주문을 설치하였으며, 담장 밖의 좌후측 언덕위에는 충효당화산이공유허비각(忠孝堂花山李公遺墟碑閣)을 세웠다. 충효당은 정면 4칸 측면 2칸 반 규모의 팔작기와집이다. 평면은 2칸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온돌방을 둔 중당협실형(中堂挾室形)이며, 전면에는 반 칸 규모의 퇴칸을 두었다. 내용출처 :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관광홈페이지(htt..
-
보신각터 (普信閣 터)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2. 8. 21. 11:15
보신각 터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면적 토지 2,881.7㎡ 지정일 1990.06.18 소재지 서울 종로구 종로2가 102번지 일대 괸리자 종로구 문화재 설명 보신각은 일명 종각이라고도 하며 고종 32년(1895) 보신각이란 사액을 내린데서 이름이 지어졌다. 태조 4년(1395)에 처음 지어진 후 4번이나 불타 없어지고, 8번에 걸쳐 다시 지어졌다. 현재의 건물은 1979년 8월에 서울시에서 지은 것으로, 동서 5칸·남북 5칸의 2층 누각으로 되어있다. 보물 제2호인 보신각종은 조선 세조 14년(1468)에 만들어져 원각사에 있다가, 절이 폐사된 후 광해군 11년(1619)에 현재의 보신각 자리에 옮겨졌다. 보신각종은 오전 4시에 33번, 오후 7시에 28번을 울려 도성의 문을..
-
합천 전 초팔성 (陜川 傳 草八城)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2. 8. 10. 12:26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면적 38,084㎡ 지정일 2001.12.20 소재지 경남 합천군 초계면 원당리 산41,42, 율곡면 본천리 산200,201 시대 삼국시대에 초축 소유자 산*** 관리자 합*** 문화재 설명 합천군의 대양면과 초계면, 율곡면의 경계가 되는 대암산(해발 591m)의 정상부를 둘러싸고 돌로 쌓은 산성이다. 이곳은 동쪽으로는 초계면, 북서로는 율곡면, 남서로는 대양면의 3개 행정구역이 접하는 곳으로, 주변의 많은 산 가운데에서 가장 높아 주위가 잘 바라보인다. 초계분지 전역은 물론 멀리 의령군 부림면의 미타산성(경상남도기념물 제231호), 합천읍내와 황강 등이 훤히 내려다보이고 있어 산성의 위치로서는 적합한 곳이다. 성의 길이는 대략 400m이고 폭은 150여m이다..
-
천성진성 (天城鎭城)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2. 8. 9. 12:48
천성진성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수량 일원870m 지정일 1989.03.10 소재지 부산 강서구 천성동 1613,1614,1615 관리자 강서구 문화재 설명 일본의 쓰시마섬에서 부산, 진해쪽으로 들어오는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둘러쌓은 성이다. 조선 중종 5년(1510) 삼포왜란과 중종 39년(1544) 사량진왜변을 거치면서 이곳에 진영을 두고 군사를 배치하여 지키자는 논의가 일어났다. 그래서 바닥쪽으로 돌덩이를 채워 군함을 보호하는 시설과 함께 수군이 주둔할 수 있는 성을 쌓아 왜구의 침입을 막았다. 성벽의 둘레는 약 700m 정도로 짐작되나 현재 남아 있는 성벽의 둘레는 약 96m이며, 높이는 3.5m이다. 서·남·북쪽에 문터가 있는데 성문을 보호하기 위해 바깥쪽에 이중으로 성..
-
남해 대국산성 (大局山城)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2. 8. 7. 11:41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면적 일원 지정일 1974.12.28 소재지 경남 남해군 설천면 진목리 184번지 시대 통일신라시대 관리자 남해군 문화재 설명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진목리 대국산의 정상에 지어진 산성으로, 산꼭대기를 빙둘러 돌로 쌓았다. 성의 둘레는 1.5㎞, 성벽의 높이는 5∼6m이고 윗부분의 폭은 2.4m인데, 성벽의 바깥쪽은 깬돌을 이용하여 겹으로 쌓아 올리고, 안쪽은 자갈과 흙을 섞어서 채워 성벽을 다졌다. 성벽의 둘레에는 네모꼴의 망대(적의 동정을 살피기 위하여 세운 높은 대)가 있었던 흔적이 있다. 성 안의 중앙에는 건물터와 연못터가 있으며, 천씨(千氏) 성을 가진 장군과 일곱 시녀 사이에 얽힌 전설이 있는 제사터가 있다. 성의 동남쪽과 북쪽에 성문이 있었던 듯한..
-
독용산성 (禿用山城)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2. 7. 20. 16:00
분류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면적169,493㎡지정일1995.01.14소재지경북 성주군 가천면 금봉리 산171-1번지 외 9필소유자 관리자성주군 문화재 설명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해발 955m의 독용산 정상에 있는 산성으로, 둘레가 7.7㎞에 이른다. 성 안에 물이 풍부하고 활용공간이 넓어 장기전투에 대비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계곡을 포함하여 산정을 두른 형태를 포곡식이라 하는데, 영남지방의 산성 중 가장 큰 규모이다.성이 만들어진 시기는 정확하지 않으나 가야 때 쌓은 것으로 추정되며, 임진왜란을 피하던 중에 발견되었다고 한다. 이 성은 임진왜란 때 전쟁의 화를 입지 않은 유일한 성이기도 하다.조선 숙종 원년(1675)에 동·서·남·북에 7개의 포루, 아치형 동문, 수구문,..
-
흥원(흥선대원왕) (興園(興宣大院王))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2. 7. 20. 10:51
Tomb of Heungseon Daewongun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왕실무덤 / 조선시대 수량 1기 지정일 1978.10.10 소재지 경기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 산22-2번지 소유자 관리자 전주이씨종중 흥원(흥선대원왕) 興園(興宣大院王) 경기도 기념물 제48호 흥원은 조선 제26대 왕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의 묘이다. 1863년 철종이 자식 없이 세상을 떠나자 흥선대원군은 자신의 둘째 아들인 명복(후에 고종)을 왕위에 올리고 자신은 대원군이 되었다. 이를 계기로 흥선대원군은 국정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흥선대원군은 《대전회통(大典會通)》 등 법전을 정비하고, 왕의 외척이 국가를 운영하던 정치기관인 비변사를 없앴다. 그리고 조선 시대 행정기관인 의정부의 기능을 부활시키는 한편 ..
-
협자연대 (俠子煙臺)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2. 2. 6. 18:07
분류 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 수량 1기 지정일 1973.04.03 소재지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섭지코지로 261 (고성리) 관리자 서귀포시 문화재 설명 연대란 옛 군사적 통신수단으로 적의 침입이나 위급한 일이 일어났을 때, 낮에는 연기를 피우고 밤에는 횃불을 사용하여 인근 마을이나 군대가 있는 곳에 빠르게 연락하던 시설이다. 봉수대와 차이점이 있다면 연대는 해변 가까운 높은 지대에 설치하는 반면 봉수대는 산 정상에 위치한다는 점이다. 수산진에 소속된 협자연대는 해안 절벽과 푸른바다, 선돌바위같은 주변경관이 뛰어난 곳에 자리잡고 있다. 이 연대는 옛 모습이 잘 남아 있으며, 연대 위에는 화덕자리도 남아 있다. 높이 3.1m의 이 연대는 북쪽으로는 오소포 연대, 성산포 연대와 교신하였고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