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
도련지석묘2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2. 1. 23. 14:20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지석묘 수량 1기 지정일 1971.08.26 소재지 제주 제주시 도련2동 529번지 관리자 제주시 문화재 설명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을 세워 무덤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놓은 탁자식과, 땅속에 무덤방을 만들고 작은 받침돌을 세운 뒤 그 위에 덮개돌을 올린 바둑판식으로 구분된다. 제주시 도련동에 있는 이 고인돌은 바둑판식으로 덮개돌 크기는 길이 2.22m, 너비 2.05m이며 모양은 타원형에 가깝다. 받침돌은 없어졌지만 덮개돌 한쪽이 들려 있고, 제주도 고인돌의 유형인 아치 모양으로 된 것으로 보아 원래..
-
해신사 (海神祠)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2. 1. 23. 12:59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인물기념 / 사우 수량 1동 지정일 1974.04.03 소재지 제주 제주시 진북길 9-2 (화북일동) 관리자 제주시 문화재 설명 화북포 앞바다에 오고가는 배들의 안전을 기원하기 위해 해안에 세운 사당이다. 조선 순조 20년(1820) 당시 제주목사로 있던 한상묵이 세웠으며 그 뒤 헌종 7년(1841) 방어사였던 이원조가 건물을 보수하고 헌종 15년(1849) 장인식이 돌에 ‘해신지위’라는 글자를 새겨 보존하도록 하였다. 지금 있는 건물은 1975년 장소가 좁아 서북편 해안으로 옮겨 다시 세운 것으로 1칸 크기를 가진 한식 기와집이다. 해마다 음력 1월 15일에 바다가 삶의 터전인 주민들이 모여 정성을 다해 해상의 안전을 기원하는 해신제를 지내고 있다.
-
삼양환해장성 (三陽環海長城)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2. 1. 23. 11:48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길이 280M 지정일 1998.01.07 소재지 제주 제주시 삼양3동 2622-1번지 외 8필지 선 시대 고려 원종11년(1270) 관리자 국유 문화재 설명 배를 타고 들어오는 외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제주도에서는 해안선을 따라가며 성을 쌓았는데 이를 환해장성이라 한다. 현재 성벽이 남아있는 곳으로는 온평리, 행원리, 한동리, 동복리, 북촌리, 애월리, 고내리 등 14곳이 있다. 김상헌이 지은 『남사록』에는 환해장성을 일러 ‘탐라의 만리장성’이라 부르고 있다. 삼양 환해장성은 별도마을과 벌랑마을의 중간에 해당하는 곳에 자리잡고 있다. 성 밖의 지형은 낮고 성 안의 지형은 높은 형태로, 현재 남아 있는 성벽의 전체 길이는 약 280m이다. 바깥쪽의 성벽은 비스듬..
-
별도환해장성 (別刀環海長城)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2. 1. 23. 11:28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길이 620M 지정일 1998.01.07 소재지 제주 제주시 화북1동 1533-4번지 외 11필지 선 시대 고려 원종11(1270) 관리자 국유 문화재 설명 배를 타고 들어오는 외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제주도에서는 해안선을 따라가며 성을 쌓았는데 이를 환해장성이라 한다. 현재 성벽이 남아있는 곳으로는 온평리, 행원리, 한동리, 동복리, 북촌리, 애월리, 고내리 등 14곳이 있다. 김상헌이 지은 『남사록』에는 환해장성을 일러 ‘탐라의 만리장성’이라 부르고 있다. 별도 환해장성은 화북동 환해장성 1지점에서 동남쪽으로 약 40m 떨어진 곳에 자리잡고 있다. 안벽과 바깥벽을 갖춘 2중성으로, 주변의 크고 작은 돌을 이용하여 벽을 쌓았다. 현재 남아있는 성벽의 길이는 ..
-
별도연대 (瞥刀煙臺)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2. 1. 23. 11:04
분류 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 수량 1기 지정일 1996.07.18 소재지 제주 제주시 화북2동 1537번지 관리자 제주시 문화재 설명 연대는 횃불과 연기를 이용하여 정치·군사적으로 급한 소식을 전하던 통신수단을 말한다. 봉수대와는 기능면에서 차이가 없으나 연대는 주로 구릉이나 해변지역에 설치되었고 봉수대는 산 정상에 설치하여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횃불을 피워 신호를 보냈다. 제주시 화북동 동쪽 연대동산에 있는 별도연대는 화분진에 소속되었으며, 화북 대라고도 부른다. 현재 많이 허물어져 받침돌만이 불규칙하게 남아있다. 이곳 연대에는 장군 6명과 봉수군 12명이 배치되어 교대로 24시간 지켰으며, 동쪽으로 조천 연대, 서쪽으로 수근 연대와 신호를 주고 받았다.
-
서산여미리비자나무 (瑞山余美里비자나무)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2. 1. 1. 14:09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생물과학기념물 / 생물상 수량/면적 1기/171 지정일 2008.04.10 소재지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 산 20 시대 1680 소유자 관리자 문화재 설명 운산면 여미리 비자나무는 이 마을 재지사족인 예민 이씨와 관련 있는 나무이다. 비자나무는 입향조 이창주의 증손인 이택(1651~1719)이 1675년 현직에 있을 때 제주도의 비자나무를 흙과 같이 가져와 심었다고 전해지는 나무이다. 그렇다면 이 비자나무의 수령은 약 330년으로 예민 이씨 가문의 역사와 더불어 궤를 같이 하는 역사성을 지니고 있는 나무이다.
-
해미향교 (海美鄕校)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1. 12. 31. 09:49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면적 2,942㎡ 지정일 1997.12.23 소재지 충남 서산시 해미면 해미향교길 2-13 (오학리) 시대 1407 소유자 관리자 해미향교 종합안내판 해미향교 海美鄕校 충청남도 기념물 제117호 해미향교는 태종 7년(1407)에 창건된 후 여러 차례에 걸쳐 고쳐 지었다. 향교 입구 홍살문 주변의 느티나무 군락에 있는 수령 300년 이상의 나무는 향교의 연혁을 말해 준다. 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된 국립 교육기관이다. 덕행과 학문의 모범을 보인 성현에게 제사를 올리며, 유교의 경전과 역사, 시나 문장을 짓는 법을 가르쳤다. 해미향교는 제향 공간인 대성전, 교육 공간인 명륜당,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서재로 이루어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