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
퇴계종택 (退溪宗宅)-경상북도 기념물 제 42 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2. 11. 13. 05:05
퇴계종택 (退溪宗宅)-경상북도 기념물 제 42 호 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42호 명칭 퇴계종택 (退溪宗宅)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인물기념/ 생활유적 수량 2,119㎡ 지정일 1982.12.01 소재지 경북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468-2 시대 소유.관리 이근필 설명 조선 중기 문신이며 대학자인 퇴계 이황(1501∼1570) 선생의 종가이다. 원래 있던 집은 없어지고 이 건물은 1926∼1929년 사이에 선생의 13대손 하정 공이 옛 가옥의 규모를 따라 새로 지었다. 앞면 6칸·옆면 5칸 규모의 ㅁ자형 집으로 총 34칸으로 이루어졌다. 높은 석축 위에 둥근 기둥과 네모난 기둥을 사용하여 지었으며, 전면에 솟을대문을 갖추었다. 오른쪽에 있는 ‘추월한수정’은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의 정자인데 마루..
-
안동태사묘 (安東太師廟)-경상북도 기념물 제15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2. 11. 8. 17:11
안동태사묘 (安東太師廟)-경상북도 기념물 제15호 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15호 명칭 안동태사묘 (安東太師廟)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인물기념/ 사우 수량 4,035㎡ 지정일 1974.12.10 소재지 경북 안동시 북문동 23,24-1 시대 소유.관리 태사묘관리위원회 설명 경상북도 안동시 북문동에 자리잡고 있는 이곳은 고려의 개국공신인 김선평, 권행, 장정필 3명의 태사(太師)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930년 태조가 안동에서 견훤(甄萱)을 토벌할 때 세운 공로로, 권행과 장정필은 대상(大相)이란 벼슬을, 김선평은 대광(大匡)이란 벼슬을 받았다. 기록에 의하면 고려 성종 2년(983)에 처음으로 3명의 제사를 안동부사가 거행하였다고 한다. 현 위치의 묘우는 조선 중종 37년(1542)에 세운 것인데..
-
보은 상현서원 (報恩 象賢書院)-충청북도 기념물 제43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2. 10. 27. 13:26
보은 상현서원 (報恩 象賢書院)-충청북도 기념물 제43호 종목 충청북도 기념물 제43호 명칭 보은 상현서원 (報恩 象賢書院)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교육기관/ 서원 수량 1 곽 지정일 1984.12.31 소재지 충북 보은군 장안면 서원리 304 시대 소유.관리 향교재단,어기선 설명 충암 김정(1486∼1520)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김정은 조선 전기 문신이며 학자로 이조참판, 대사헌 등을 거쳐 형조판서를 역임하였다. 그림과 시문에도 능하였고 조광조와 함께 사림파의 대표적인 인물로 알려져 있다. 이 서원은 명종 10년(1555)에 ‘삼년성서원’으로 세웠고 광해군 2년(1610)에 국가 공인의 사액서원으로서 ‘상현’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헌종 13년(1672)에 지금 있는 자..
-
남연군의묘(南延君의墓)-충청남도 기념물 제80호 (예산군)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1. 1. 16. 18:05
남연군의묘(南延君의墓)-충청남도 기념물 제80호 (예산군) 종목 충청남도 기념물 제80호(예산군) 명칭 남연군의묘(南延君의墓) 분류 유적건조물 /무덤/왕실무덤/조선시대 수량 5,590㎡ 지정일 1989.12.29 소재지 충남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산5-28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관리자 이청/예산군 설명 흥선대원군의 아버지 남연군 이구(?∼1822)의 묘이다. 대원군 이하응이 풍수지리설에 따라 2대에 걸쳐 천자가 나올 자리라는 말을 듣고 원래 경기도 연천에 있던 남연군의 묘를 이곳으로 옮긴 것이다. 이곳에는 가야사라는 절이 있었는데 절을 불태우고 탑을 부순 후 이장했으며, 이장한지 7년 후에 차남 명복이 태어났는데 그가 곧 철종의 뒤를 이어 12세에 왕위에 오른 고종이다. 그 후 1866년 독일 상인 오페르..
-
고석정및순담(孤石亭및蓴潭)-강원도기념물 제8호(철원군)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0. 6. 14. 09:18
고석정및순담(孤石亭및蓴潭) -강원도기념물 제8호(철원군) 종목 강원도기념물제8호(철원군) 명칭 고석정및순담(孤石亭및蓴潭) 분류 유적건조물 /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수량 일곽/60 지정일 1971.12.16 소재지 강원철원군 동송읍 장흥리 725,갈말읍 군탄리 산61 시대 소유자.관리자 국유및 사유/철원군 상세문의 강원도철원군관광경제과033-450-5520 설명 고석정은 한탄강변에 있는 정자이다. 세운 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된 내용에 따르면 신라 진평왕(재위 579∼632)과 고려 충숙왕(재위 1294∼1339)이 여기에서 머물렀다고 한다. 그 외에도 고려 승려 무외(無畏)의 고석정기와 김량경의 시 등이 있다.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의적 임꺽정이 고석정 앞에 솟..
-
개태사지(開泰寺址)-충청남도 기념물 제44호 (논산시)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0. 2. 27. 09:30
개태사지(開泰寺址)-충청남도 기념물 제44호 (논산시) 종목충청남도 기념물 제44호(논산시) 명칭개태사지(開泰寺址) 분류유적건조물 /종교신앙/불교/사찰 수량65637 제곱미터 지정일1983.09.29 소재지충남논산시 연산면 천호리 29-1외 3필 소유논산시 관리자논산시 상세문의충청남도논산시문화관광과041-730-3226 일반설명개태사는 고려 태조 왕건이 후백제 세력을 완전히 물리친 후, 태조 23년(940)에 지은 절이다. 당시 절 안에는 태조의 초상화가 있어서 나라에 전쟁의 기미가 있으면 그 앞에 기원문을 올려 나라가 태평하기를 빌었다고 한다. 그 후 이 절은 고려 후기에 이르러 왜구의 빈번한 약탈에 의해 차츰 기울어진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위치는 세종 10년(1428)에 옮겨진 것으로, 개태사..
-
파주육계토성-Yukgyetoseong Earthen Fortification-경기도 기념물 제217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09. 10. 1. 15:48
파주육계토성-경기도 기념물 제217호 종목 경기도 기념물 제217호 명칭 파주육계토성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 수량 315,035㎡ 지정일 2007.10.22 소재지 경기 파주시 적성면 주월리 413 번지외 시대 소유.관리 국유 설명 육계토성은 임진강 유역의 남한에 위치하고 있는 유일한 백제의 평지토성이다. 이곳은 임진강이 사행곡류하여 북쪽으로 돌출해 있는 만곡부로 임진강을 건너는 주요도하지점의 하나인 가야울과 서쪽의 두지 나루를 조망하고 제어할 수 있는 곳으로 도하하는 적을 방어하는 전초기지의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여겨진다. 성내ㆍ외부는 대부분 논과 밭 등의 경작지로 이용되고 있으며 성내부에 예전 군부대 건물이 그대로 방치되어있다. 발굴조사 결과 주거지,구덩이 유구등과 토기류,철기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