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
구례장죽전녹차시배지 (求禮長竹田綠茶始培址)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3. 9. 11. 16:41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역사사건 면적 27,575㎡ 자정일 1991.07.19 소재지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30-1번지 소유자 구례군 관리자 구례군 문화재 설명 차나무는 전라도, 경상도에서 많이 재배되는 나무로 원산지는 중국으로부터 미얀마, 인도의 아샘 지방으로 이어지는 산악지대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년생 가지는 흰색으로 잔털이 많고, 2년생 가지는 회갈색이며 잔털이 없다. 잎은 뾰족한 긴 타원형으로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녹색이다. 꽃은 10∼11월에 피고 열매는 이듬해의 가을에 익는다. 차에 대한 기록은 삼국사기 흥덕왕 3년(828)에 중국 당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김대렴이 차 씨앗을 가지고 돌아오니 왕이 지리산에 심게 했다는 기록이 있다. 정만우 스님이 쓴 『화엄사적기』에는 54..
-
보은 대야리 고분군 (報恩 大也里 古墳群)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3. 9. 6. 18:34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고분군 수량/면적 280기(봉토분 80기, 기타 200기)/174,629㎡ 지정일 2013.03.15 소재지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대야리 산 23 외 8필지 소유자 보은군 관리자 보은군 문화재 설명 고분은 삼년산성이 위치한 오정산을 중심으로 사면 지역 곳곳에서 확인되는데 15m~20m의 대형 봉토분과 직경 10m 내외의 중형 석실분, 그리고 소형의 석곽분이 다수 분포하고 있다. 지표조사 결과 고분군은 중부지역 최대 규모의 신라 고분군으로 지표상에서 출토된 유물을 살펴볼 때 축조 시기가 삼년산성이 활발하게 운영되던 5세기~6세기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충청북도 기념물 보은 대야리 고분군 (報恩 大也里 古墳群) | 국가문화유산포털 | 우리지역 문화재 (herita..
-
사천조명군총 (泗川朝明軍塚)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2. 10. 8. 00:19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기타 면적 1,322㎡ 지정일 1985.11.14 소재지 경남 사천시 용현면 선진리 402번지 시대 31(1598) 소유자 사천시 관리자 사천시 개별안내판 사천 조명군총 泗川 朝明軍塚 경상남도 기념물 제80호 사천 조명군총은 조선 선조 30년(1597) 정유재란 때 선진리성에 주둔하고 있던 왜군을 몰아내고자 결전을 벌이다 전사한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의 집단 무덤이다. 명나라 군의 전사자가 훨씬 많아 ‘당병무덤’, ‘뎅강무데기’라 불리기도 하였다. 무덤은 사방 36㎡의 네모반듯한 모양이다. 싸움이 한창 진행될 즈음 우리 편 군대 진영의 화약고가 폭발하면서 화재가 일어나자 왜군은 이를 틈타 역습을 하였다. 이때 수천 명의 희생자가 발생하였다. 왜군은 그들의 승리를 본국에..
-
의령 충익사 모과나무 (宜寧 忠翼祠 모과나무)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2. 9. 26. 22:00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생물과학기념물 / 생물상 수량 1주 지정일 1987.05.19 소재지 경상남도 의령군 충익로 1 (의령읍) 소유자 의령군 관리자 의령군 모과나무는 본래 중국의 원산지이며 우리나라 전역에서 과수 또는 관상용으로 오래 전부터 심어온 나무이다. 꽃은 5월에 연한 홍색으로 피며 열매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9월에 황색으로 익는데 향기와 맛이 그윽하다. 충익사 모과나무의 나이는 5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8.5m, 둘레는 3m이다. 나무의 줄기가 근육모양으로 울퉁불퉁하게 골이 패여 있는데, 오래된 모과나무에서만 볼 수 있는 특이한 형태이다. 이 모과나무는 수성마을을 지켜주고 보호하던 당산목으로 토속신앙의 대상이었으나 1978년에 곽재우 장군 유적지 정화사업을 실시할 때 충익..
-
함안 고려동 유적지 (咸安 高麗洞 遺蹟址)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2. 9. 25. 12:14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역사사건 면적 6필지8,842㎡ 지정일 1983.08.02 소재지 경남 함안군 산인면 모곡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이*** 관리자 함*** 문화재 설명 고려 후기 성균관 진사 이오(李午) 선생이 고려가 망하고 조선왕조가 들어서자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키기로 결심하고 이곳에 거처를 정한 이후 대대로 그 후손들이 살아온 장소이다. 이오는 이곳에 담장을 쌓고 고려 유민의 거주지임을 뜻하는 ‘고려동학’이라는 비석을 세워 논과 밭을 일구어 자급자족을 하였다. 그는 아들에게도 조선왕조에 벼슬하지 말 것과 자기가 죽은 뒤라도 자신의 신주를 이곳을 떠나 다른 곳으로 옮기지 말도록 유언하였다. 그의 유언을 받든 후손들은 19대 600여 년에 이르는 동안 이곳을 떠나지 않았고, 이에 고려동..
-
함안 주세붕 묘역 (咸安 周世鵬 墓域)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2. 9. 24. 16:42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기타 수량 일원 지정일 1976.04.15 소재지 경남 함안군 칠서면 계내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상주주씨문중 관리자 함안군 문화재 설명 조선 초기의 문신이며 대학자였던 신재(愼齋) 주세붕(1495∼1554) 선생의 묘소이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학문에도 열성적이었다. 중종 17년(1522) 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쳐 중종 36년(1541)에 풍기 군수가 되었다. 중종 38년(1543)에는 풍기 지방에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서원(뒤의 소수서원)을 세웠다. 명종 6년(1551)에는 황해도 관찰사가 되어 해주에 수양서원을 창설하여 최충을 모시기도 하였다. 죽은 뒤 선생의 유언에 따라 고향에 장사 지내고 조정에서는 예조판서의 벼슬을 내렸다...
-
아막성 (阿莫城)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2. 9. 7. 10:17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수량 일원 지정일 1977.12.31 소재지 전북 남원시 아영면 성리 83번지 소유자 김상민 관리자 남원시 문화재 설명 남원시 아영면 아영고원에 있는 돌로 쌓은 산성이다. 아영고원은 운봉고원과 황산의 산줄기로 구획되어 있는데, 이 일대는 백제의 아막산, 신라의 모산성 등으로 불렀으며, 역사상 신라와 백제간에 격렬한 쟁탈전이 벌어졌던 곳이다. 성터는 둘레가 632.8m에 이르며, 동·서·북문터가 남아 있다. 북변의 성벽은 완전히 남아 있으며, 거의 직선으로 길이 150.7m이고, 물이 흘러나가는 곳에 문터가 있다. 동쪽은 거의 직선으로 길이 147.1m이며, 서쪽은 길이 126.9m, 곡선을 이룬 남쪽은 길이 208.1m이다. 남쪽 성벽의 능선 연결부분에는 못을..
-
광통관 (廣通館)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2. 9. 6. 19:05
분류 유적건조물 / 산업생산 / 근대산업생산 / 금융업 수량 건물 1棟, 토지 437.2㎡ 지정일 2002.03.05 소재지 서울 중구 남대문로 118 (남대문로1가) 시대 1909년 소유자 우리은행 관리자 우리은행 문화재 설명 광통관은 우리나라에서 오래된 은행 점포의 하나로 1909년 준공 당시 대한천일은행(현 우리은행)의 본점이었으며, 현재는 우리은행 종로금융센터로 사용되고 있다. 가까운 곳에 광통교가 있어 광통관이라 불렸다. 1907년에 탁지부 건축소에서 설계와 시공을 담당하였고, 1908년 2월에 착공하여 1909년 5월에 준공하였다. 건물의 1층은 대한천일은행, 수형조합(手形組合)에서 사용했으며 각각 전용 출입구가 있었고, 2층은 집회 장소로 회의실, 흡연실, 대기실로 사용되었다. 광통관은 벽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