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국보
-
백자 청화죽문 각병 (白磁 靑畵竹文 角甁)White Porcelain Octagonal Bottle with Bamboo Design in Underglaze Cobalt Blue- 국보 제258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5. 1. 31. 11:24
분류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백자수량1점지정1991.01.25소재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시대조선시대(18세기 전반)소유국*** 관리국립중앙박물관 국가유산 설명 조선시대 만들어진 백자로 몸통 전체를 모깎기 방법을 사용하여 8각의 모를 이룬 병으로, 높이 40.6㎝, 아가리 지름 7.6㎝, 밑 지름 11.5㎝ 이다.길게 뻗은 목과 도톰한 아가리, 그리고 둥근 몸통과 높고 넓은 굽이 있다. 문양은 밝은 청화 안료를 써서 몸통 아랫부분에 선을 두르고, 대칭되는 양 면 중 한쪽 면에는 조그만 대나무 한 그루를, 다른 면에도 여러 그루의 대나무가 밀집해 있는 모습을 간결한 붓질로 묘사하였다. 굽다리 측면에는 의미를 모르는 ‘井’이라는 글자가 새겨 있다.모깎기한 모양..
-
백자 ‘천’ ‘지’ ‘현’ ‘황‘명 발 (白磁 ‘天’‘地’‘玄’‘黃’銘 鉢)-White Porcelain Bowls with Inscription of "Cheon (天)," "Ji (地)," "Hyeon (玄)," and "Hwang (黃)"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5. 1. 31. 11:14
분류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백자수량4점지정일1995.12.04소재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시대조선 전기소유국유 관리국립중앙박물관 국가유산 설명조선 전기에 만들어진 백자발 4점으로 크기는 높이 11.1㎝, 아가리 지름 21.1㎝, 밑 지름 7.9㎝ 내외이다.아가리는 밖으로 벌어진 당당한 형태를 보여 주고 있다. 문양은 없고 유약은 잘 녹아 밝은 백색을 띠고 있다. 각각의 굽 안쪽 바닥에는 유약을 긁어서 ‘천, 지, 현, 황’이라는 글자를 새겼다. 이 글자들은 경복궁 근정전 주위에 왕실에서 쓰던 그릇을 보관하던 창고인, ‘천자고, 지자고, 현자고, 황자고’가 있어 그 용도를 구분했던 글자가 아닌가 추정된다.정선된 바탕흙을 사용하였고 고르게 입혀진 유약, 순백..
-
진양군 영인정씨묘 출토 유물 (晋陽郡 令人鄭氏墓 出土 遺物)Artifacts Excavated from the Tomb of Lady Jeong-국보 제172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4. 11. 26. 14:21
분류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백자수량3개지정일1974.07.09소재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시대조선 세조 12년(1466)소유삼성문화재단 관리삼성문화재단 국가유산 설명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에 있는 진양군 영인정씨의 무덤에서 편병·접시·대접·잔·묘지(墓誌) 등 조선백자 10점이 출토되었다.진양군 영인정씨는 조선 세조 때 언양 현감을 지낸 김윤(金潤)의 어머니로 진양군은 출신지역이고 영인은 4품 벼슬 관리의 부인에게 주는 칭호를 말한다.편병은 높이 21.7㎝, 밑지름 7.7㎝로 몸통이 둥글고 앞뒤로 납작한 모양이다. 아가리는 밖으로 살짝 벌어졌고, 굽이 좁고 높아 특이하다. 몸통에는 흑색 상감으로 모란과 덩굴무늬를 그려 넣었다.묘지(墓誌)는 죽은 사람의 이름..
-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 (靑磁 象嵌龍鳳牡丹文 盒 및 托)Celadon Lidded Bowl and Saucer with Inlaid Dragon, Phoenix, and Peony Design-국보 제220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4. 11. 26. 13:49
국보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 분류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수량1조지정일1984.08.06소재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시대고려시대(13세기)소유이*** 관리삼성문화재단 국가유산 설명고려시대 만들어진 뚜껑있는 청자대접으로 높이 19.3㎝, 아가리 지름 18.5㎝, 밑 지름 6.8㎝이다.뚜껑과 받침, 수저까지 완전하게 갖추어진 유물로서, 뚜껑에 다람쥐 모양의 꼭지를 만들었다. 다람쥐를 중심으로 그 아래에 흑백상감의 겹 연꽃무늬 띠와 물결무늬 띠를 두었고 그 밑으로 봉황과 용을 새겼다.그릇 안에 수저를 꽂았을 때 뚜껑과 사발의 사이가 뜨지않도록 뚜껑의 한쪽 귀퉁이에 홈을 파 놓았으며, 대접 아가리의 가장자리에는 번개무늬 띠를 두르고 그 아래로 학과 구..
-
청자 퇴화점문 나한좌상 (靑磁 堆花點文 羅漢坐像)Celadon Seated Arhat with Paste-on-paste White Dot Design-국보 제173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4. 11. 26. 13:32
분류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수량1구지정일1974.07.09소재서울특별시 강남구시대고려시대(12세기 전반)소유최*** 관리최*** 국가유산 설명1950년대 강화도 국화리에서 발견되었는데, 당시에 여섯조각으로 부서져 있던 것을 복원시켜 놓은 것이다.바위 모양의 대좌(臺座) 위에 팔짱을 낀 채 작은 책상에 의지하여 오른쪽 무릎을 반쯤 일으켜 세우고 앉아 고개를 약간 숙이고 있다. 눈은 반쯤 뜨고 있는데, 눈썹과 눈이 수려하고 코는 오똑하다. 머리와 옷주름 일부, 눈썹, 눈동자, 바위 대좌 등에는 철분이 함유된 검은색 안료를 군데군데 칠하였으며, 옷의 주름가에는 백토를 사용하여 도드라진 점을 찍었다.이 작품은 사색하듯 숙연히 아래를 내려다보는 자세와 책상, 바위 대좌의 처리 등에서 고려시대 공예..
-
청자 동화연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靑磁 銅畵蓮花文 瓢形 注子)Celadon Gourd-shaped Ewer with Lotus Design in Underglaze Copper-국보 제133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4. 11. 26. 12:54
분류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수량1개지정일1970.12.30소재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한남동, 삼성박물관 리움)시대고려시대소유삼성문화재단 관리삼성문화재단 국가유산 설명고려 중기에 만든 청자 주전자로 높이 33.2㎝, 밑지름 11.4㎝이다.표주박 모양의 몸통에 표면은 연잎으로 둘러싼 형태이다. 꽃봉오리 모양의 마개를 하고 있으며, 잘록한 목 부분에는 동자가 연봉오리를 두 손으로 껴안아 들고 있는 모습과 연잎으로 장식하였다. 손잡이는 덩굴을 살짝 구부려 붙인 모양으로 위에 개구리 한 마리를 앉혀 놓았다. 물이 나오는 아가리는 연잎을 말아 붙인 모양이다.고려청자에 붉은 색을 띠는 진사를 곁들이는 장식 기법은 12세기 전반에도 있었으나, 진사로 무늬를 대담하게 장식한 작품은 ..
-
청자 기린형뚜껑 향로 (靑磁 麒麟形蓋 香爐)Celadon Incense Burner with Girin-shaped Lid- 국보 제65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4. 11. 26. 12:22
분류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수량1개지정일1962.12.20소재지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시대고려시대(12세기)소유전*** 관리간송미술관 국가유산 설명고려청자의 전성기인 12세기경에 만들어진 청자향로로 높이는 20㎝이다. 향을 피우는 부분인 몸체와 상상속의 동물인 ?기린이 꿇어 앉아있는 모습을 한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몸체는 윗부분이 넓게 바깥쪽으로 벌어져 있고 짐승모양을 한 3개의 다리가 떠받치고 있다. 몸통에는 구름무늬가 장식되었고 윗면 가장자리에도 세 곳에 구름무늬가 배치되었으며, 그 위에 뚜껑을 덮도록 하였다. 뚜껑 한복판에는 뒤를 돌아보고 있는 기린이 조각되어 있고, 기린이 앉아있는 자리의 옆면에는 번개무늬가 돌아가며 음각되었다. 기린의 머리에는..
-
청자 양각죽절문 병 (靑磁 陽刻竹節文 甁)Celadon Bottle with Bamboo Design in Relief-국보 제169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4. 11. 26. 11:49
국보 청자 양각죽절문 병(2014년 국보 동산 앱사진) 분류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수량1개지정일1974.07.09소재지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시대고려시대(12세기)소유이*** 관리삼성문화재단 국가유산 설명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청자병으로 높이 33.8㎝, 입지름 8.4㎝, 밑지름 13.5㎝이다.아가리는 나팔처럼 넓게 벌어졌고, 목은 길며 몸통 아랫부분은 풍만하다.목에서 몸통 아랫 부분까지 대나무를 양각하였고, 대나무 마디는 두 줄의 음각선으로 표현하였다. 유약은 맑은 연녹색을 띠며 약간의 빙렬이 있다. 아가리에서 아랫 부분까지 부드럽고 유연하게 내려 온 아름다운 곡선이 운치가 있으며 몸통 아랫부분의 풍만함이 안정감을 주고 있다.대나무를 모아 만든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