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
표충사 (表忠祠)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3. 10. 31. 14:22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인물기념 / 사우 수량/면적 일원 지정일 1976.09.30 소재지 전남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구림리) 소유 대흥사 관리 대흥사 문화재 설명 임진왜란 때 승병을 일으켜 큰 공을 세운 서산대사(1520∼1604)를 모시는 사당이다 현재 그의 제자인 유정과 처영의 영정도 함께 모시고 있다. 서산대사는 9세 때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이듬해 아버지마저 돌아가시자 서울에 올라와 절에 기거하며 글과 무예를 익혔다. 그러던 중 영관대사의 설법을 듣고 불법을 연구하기 시작했는데 훗날 스스로 머리를 깎고 출가하였다. 명종 4년(1549)에는 승과에 급제하고 벼슬을 제수 받았으나 사양하고 유명한 산을 돌아다니며 후학들을 만나 친절히 지도해 주었다.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이..
-
이응노선생사적지 (李應魯先生事蹟地)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3. 10. 30. 19:55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근대인물 / 문예 면적 1,504㎡ 지정일 1996.11.30 소재지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산41번지 시대 1944년 이응노 화백이 구입, 1959년 프랑스로 가기 전까지 거처 소유 대한불교조계종제7교구본사수덕사 관리 대한불교조계종제7교구본사수덕사 문화재 설명 동양 미술의 우수성을 세계속에 드높인 화가 이응로(1904∼1989)가 작품활동을 하던 곳이다. 수덕여관은 이응로가 1944년 구입하여 한국전쟁 때 피난처로도 사용하였으며, 수덕사 일대의 아름다운 풍경을 화폭으로 옮긴 곳이기도 하다. 또한 1959년 프랑스로 건너가기 전까지 머물면서 작품활동을 했던 곳이다. 수덕여관 앞 바위조각은 1969년 동백림 사건으로 귀국했을 때 고향산천에서 삼라만상의 성함과 쇠함을 추상..
-
강희맹선생묘및신도비 (姜希孟先生墓및神道碑)-Tomb and Monument of Gang Huimaeng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3. 10. 27. 14:57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봉토묘 수량 1기 지정일 1985.09.20 소재지 경기 시흥시 하상동 산 2번지 소유 진주강씨 문량공파 종중 관리 진주강씨 문량공파 종중 문화재 설명 조선 초기 성종대의 뛰어난 학자이며 우리나라 최초의 농학자 강희맹(姜希孟, 1424∼1483) 선생의 묘이다. 세종 29년(1447) 24세로 장원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거쳐 세조 9년(1463) 중추원 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세조의 총애를 받아 세자빈객이 되었다. 예종 즉위년(1468)에 진산군(晉山君)에 봉해졌으며, 성종 13년(1482)에 좌찬성에 이르렀다. 문장이 당대 으뜸이고 글과 그림에도 뛰어났으며, 인품이 겸손하고 치밀해 맡은 일을 잘 처리하였다. 신숙주(申叔舟) 등과 함께 『세조실록』, 『예종실록』의..
-
타루비 (墮淚碑)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3. 10. 25. 18:34
타루비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면적 일원 지정일 1993.08.31 소재지 전라북도 장수군 장자울로 4 (천천면, 타루비) 소유 장수군 관리 장수군 종합안내판 타루비 墮淚碑 전라북도 기념물 제83호 타루비는 ‘눈물을 흘린다’는 뜻을 지닌 비석이다. 숙종 4년(1678)에 장수현감이 민심을 살피기 위해 말을 타고 이곳을 지나던 중, 말굽소리에 놀란 꿩이 소리치며 날아올랐다고 한다. 이에 놀란 말이 발을 헛디뎌 장수현감이 벼랑으로 떨어져 죽고 말았다. 그를 모시던 통인*은 이 사고가 자신의 탓이라 비관하며 현감을 따라 죽었다. 통인의 이름은 알 수 없고 성이 백씨라고만 전한다. 이에 그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순조 2년(1802)에 ‘타루비’라 쓴 비석을 세웠다. 장수에서는 그를 주논개(..
-
논개사당 (論介祠堂)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3. 10. 25. 16:37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인물기념 / 사우 면적 28,274㎡ 지정일 1981.04.11 소재지 전북 장수군 장수읍 두산리 산3번지 시대 1954년 창건, 1974년 이건 소유 장수군 관리 장수군 문화재 설명 임진왜란 때 순국한 주논개의 초상화를 모시고 제사 지내는 사당이다. 논개는 진주성이 함락될 때 왜장을 유인하여 함께 남강에 투신하였다. 논개의 순국 사실은 입으로만 전해 오다가 유몽인의 『어우야담』에 수록되면서 글로도 전하게 되었다. 그러나 임진왜란 중에 충신·효자·열녀를 수록한 『동국신속삼강행』에는 기생의 정열(貞烈)을 표창할 수 없다는 이유로 누락되었다. 이런 사실과는 관계없이 진주 고을민들은 강변에 제단을 마련하여 논개의 넋을 위로하고 국가적인 추모제전이 거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 마..
-
하동 쌍계사 차나무 시배지 (河東 雙磎寺 茶나무 始培地)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3. 10. 23. 17:25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역사사건 면적 3,116㎡ 지정일 1983.08.06 소재지 경남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일대 소유 대한불교조계종 쌍계사 관리 대한불교조계종 쌍계사 문화재 설명 차나무는 전라도, 경상도에서 많이 재배되는 나무로 원산지는 중국으로부터 미얀마, 인도의 아샘 지방으로 이어지는 산악지대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년생 가지는 흰색으로 잔털이 많고, 2년생 가지는 회갈색이며 잔털이 없다. 잎은 뾰족한 긴 타원형으로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녹색이다. 꽃은 10∼11월에 피고 열매는 이듬해의 가을에 익는다. 쌍계사 차나무 시배지는 통일신라 흥덕왕 3년(828) 당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김대렴이 신라로 돌아오면서 가져온 차나무의 종자를 왕의 명으로 지리산 줄기인 이곳에 처음 심었으며, 그..
-
하동정금리차나무 (河東井琴里茶나무)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3. 10. 23. 17:03
하동정금리차나무 (河東井琴里茶나무) 하동정금리차나무_전경 (촬영년도 : 2015년)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생물과학기념물 / 생물상 수량 1株 지정일 2006.01.12 소재지 경남 하동군 화개면 정금리 산74번지 소유 오시영 관리 오시영 문화재 설명 1. 연혁 우리나라에 차나무가 전래된 것은 신라 흥덕왕 3년(828년) 당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김대렴공이 귀국 길에 차나무종자를 가지고 온 것을 왕명에 의하여 이곳 지리산(쌍계사) 일원에 심은 것이 시초라고 하며 쌍계사 일원은 우리나라 차나무 시배지로서 이미 경상남도 기념물 제61호로 지정되어 있음 2. 크기 및 수령 하동군 정금리 차나무는 정금리 회강이골 해발 약 200m의 산중 턱에 계단식으로 조성된 차원(茶園)의 중상부에 생육하고 있으며 수고..
-
익산미륵산성 (益山彌勒山城)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3. 9. 16. 15:07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면적 일원 지정일 1973.06.23 소재지 전북 익산시 금마면 신용리 124-1번지 - 소유 국가(산림청) 관리 익산시 종합안내판 익산 미륵산성 益山 彌勒山城 전라북도 기념물 미륵산 동쪽 골짜기에 있는 이 성은, 위만에게 나라를 빼앗기고 남쪽으로 가서 한왕韓王이 되었다는 준왕 즉 기준箕準의 고사와 관련해서 기준성이라고도 부른다. 백제 무왕 때 세운 성으로도 전해지고 있으며, 고려 태조 왕건이 후백제의 신검을 공격해 항복을 받았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성내에서 백제 토기 등이 출토되었으며, 1990년의 발굴조사로 백제 이후에 성을 쌓아 조선초기까지 네 차례에 걸쳐 개축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성의 길이는 1,822m, 높이 4~5m, 폭 약 5m로 익산지역 최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