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
운주산성 (雲住山城)-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1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3. 11. 3. 19:36
운주산성 잔존성벽 분류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면적55,541㎡지정일2012.12.31소재지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청송리 산90번지 외 4필지소유세종특별자치시 관리세종특별자치시 개별안내판운주산성 雲住山城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운주산성은 항상 구름이 머문다 하여 이름 지어진 해발 460m의 운주산 정상을 기점으로, 서·남단의 3개 봉우리를 감싸고 있는 포곡식 산성(계곡을 감싸고 축성된 산성)이다. 이 산성은 전동면 3개 마을과 전의면 2개 마을에 위치한 대단히 큰 산성으로, 길이가 3,098m인 외성과 543m인 내성이 있다. 외성과 내성은 모두 돌로 쌓았으며, 산성 내부의 평지와 구릉에는 크고 작은 건물 터가 남아 있다. 성내에서는 백제 시대 토기 조각과 고려 · 조선 시대의 자기 조각, 백제..
-
장사진의병장유적 (張士珍義兵將遺蹟)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3. 11. 3. 15:34
분류 유적건조물 면적 839㎡ 지정일 1997.03.17 소재지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오천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 국*** 관리 군*** 문화재 설명 임진왜란 당시 경상도의 대표적 의병장이었던 장사진의 충성스런 절개를 기리기 위해 세운 사당인 오천리의 충렬사와 병수리에 기념비로 세운 고리비를 함께 묶어 문화재로 지정하였다. 장사진은 임진왜란을 맞아 100여 명의 의병을 거느리고 군위, 인동 지역의 왜적을 공격하여 큰 성과를 거두었다. 1592년 9월에 왜적과 싸우다가 적병이 휘두르는 칼에 한쪽 팔이 잘렸으나 굴하지 않고 외팔로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난이 끝난 후 장사진의 공을 인정하여 ‘절충장군 수군절도사’*의 벼슬을 내렸다. 제사를 지내는 사당인 충렬사는 언제 세웠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고종 5년..
-
망해사의팽나무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3. 11. 2. 19:16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생물과학기념물 / 생물상 수량 2주 지정일 2001.12.27 소재지 전북 김제시 진봉면 심포10길 94 (심포리) 소유 망해사 관리 망해사 문화재 설명 팽나무는 느릅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 높이가 20m까지 자라며,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등에 분포하고 있다. 망해사 팽나무 2그루는 조선 선조대에 진묵대사가 낙서전을 창건한 것과 그 역사를 같이 한다고 전하고 있어, 수령은 400년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낙서전 전면 10m 거리에 있는 팽나무는 높이가 21m, 가지길이는 동서로 24.8m, 남북으로 22m로서 안정된 수관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낙서전 좌측 15m 거리에 있는 팽나무는 높이가 17m, 가지길이는 동서로 16.7m, 남북으로 17m이다 https://yout..
-
팔열부정각 (八烈婦旌閣)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3. 11. 1. 21:27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인물기념 / 사우 수량 1동 지정일 1975.05.22 소재지 전남 함평군 월야면 월악리 155-1번지 소유 함평군 관리 진주정씨종중 문화재 설명 여덟 분(정함일의 부인 이씨와 그의 딸 정씨·정경득의 부인 박씨·정희득의 부인 이씨·정운길의 부인 오씨·정주일의 부인 이씨·정절의 부인 김씨·정호인의 부인 이씨)의 열녀를 추모하기 위해 세운 정각이다. 이들은 선조 30년(1592) 정유재란 때 왜군들과 맞서 싸운 남편들의 전사소식을 듣고 피난을 가다 왜군들의 추격을 받고 칠산 앞바다에 투신함으로서 정절을 지켰다고 한다. 숙종 7년(1681) 함평에 정각을 세우고 순절지인 묵방포에는 순절비를 세웠다. 앞면 3칸·옆면 1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보았을 때 사람 인(人)자 모양..
-
춘천삼악산 (春川三岳山)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3. 11. 1. 18:59
춘천 삼악산(강원도청) 분류 자연유산 / 명승 / 자연경관 / 지형지질경관 면적 일원 지정일 1973.07.31 소재지 강원 춘천시 서면 덕두원리 산164-3번지 외 4필지 소유 연세대학 관리 춘천시 문화재 설명 해발 654m의 삼악산은 세 개의 큰 봉우리로 삼악산이라 불린다. 크지는 않으나 오대산의 웅장함과 설악산의 아름다움을 축소한 듯한 아름다운 산으로 알려져 많은 등산객들이 찾는 곳이다. 예전 서울과 춘천으로 통하던 유일한 육로였던 석파령(席破嶺)이 있고 등산로가 시작되는 등선계곡을 따라 크고 작은 5개의 폭포가 이어지고 상원사, 흥국사 등의 사찰과 길이 약 1.5㎞의 삼악산성이 남아 있다. 1봉 정상에 오르면 동쪽방향으로 의암호와 춘천시가지가 한눈에 펼쳐지는 아름다운 산이다. https://you..
-
청평사지 (淸平寺址)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3. 11. 1. 17:04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사찰 면적 일원(43,098㎡) 지정일 1984.12.28 소재지 강원 춘천시 북산면 청평리 669번지 외 2필지 소유 청평사 종합안내 청평사지 淸平寺址 강원도 기념물 고려 광종 24년(973)에 당나라 승려인 영현선사(永玄禪師)가 이곳에 절을 세우고 백암선원 이라고 하였다. 이곳은 얼마 뒤 문을 닫았는데 문종 22년(1068)에 이 지역에서 벼슬을 살던 이의가 절을 고치고 새로 열면서 이름을 보현원이라고 바꾸었다. 선종 6년(1089)에는 이의의 아들인 이자현이 벼슬을 버리고 이곳에 은거하면서 많은 건물을 새로 짓고 이름을 문수원이 라고 하였다. 이후 조선 명종 때 승려 보우선사(普雨禪師)가 절을 고쳐 지으면서 이름을 청평 사로 바꾼 것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
괴산 수월정 (槐山 水月亭)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3. 10. 31. 21:47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 일원 지정일 1987.03.31 소재지 충북 괴산군 칠성면 산막이옛길 315-20 (사은리) 소유 광*** 관리 광*** 문화재 설명 노수신 적소는 조선 중기의 유명한 신하인 노수신(1515∼1590)이 귀양살이를 하던 곳으로, 후에 건물명을 수월정(水月亭)이라 하였다. 노수신은 중종 38년(1543) 과거시험에 합격하여 이황과 같이 학문을 연구하다가 정권다툼으로 관직에서 물러나고 순천, 괴산 등지에서 귀양살이를 하다가 선조 즉위 후 다시 관직에 올라 영의정에까지 오른 인물이다. 건물은 앞면 3칸·옆면 2칸의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노수신 盧守愼과회, 寡悔, 소재, 蘇齋, 이재, 伊齋, 암실, 暗..
-
청도범곡리지석묘군 (淸道凡谷里支石墓群)-경상북도 기념물 제99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3. 10. 31. 17:39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지석묘 면적 6,774㎡ 지정일 1994.09.29 소재지 경북 청도군 화양읍 범곡리 507-5번지 13필 소유 청도군 관리 청도군 문화재 설명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을 세워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 놓은 탁자식과, 땅 속에 돌방을 만들고 작은 받침돌을 세운 뒤 그 위에 덮개돌을 올린 바둑판식으로 구분된다.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범곡리에 있는 바둑판식 고인돌로 받침돌이 없는 개석식 고인돌이 무리를 이루고 있다. 이곳의 고인돌은 범곡리 청도천 주변에 50m 정도의 간격을 두고 동쪽에 22기, 서쪽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