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보물
-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 (瑞山 明宗大王 胎室 및 碑)-Placenta Chamber and Monument to King Myeonjong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12. 28. 05:08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왕실무덤 / 조선시대 수량 태실 1기, 비 3기 지정일 2018.03.26 소재지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태봉리 산 6-2 소유자 서산시 관리자 서산시 문화재 설명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는 조선 13대 왕 명종이 태어나던 1538년(중종 33년)에 의례에 따라 건립되었다. 조선 왕실의 많은 태실이 본래의 자리에서 옮겨졌거나, 변형된 경우가 상당한 데 비하여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는 『조선왕조실록』등에 관련 기록이 상세히 전해져 있고, 원래의 자리에 온전하게 남아 있으면서 주변 지형 등 환경까지도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어 문화재적 가치가 더욱 크다. 특히, 태실과 가봉태실, 가봉개수태실의 변천 과정까지 한눈에 살펴볼 수 있고 조선 왕실의 안태의례(安胎儀禮)의 역사..
-
달마대사관심론 목판 (達磨大師觀心論 木板)-Printing Woodblocks of Dalmadaesa gwansimnon (Treatise on Contemplation of the Mind by Bodhidharma)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12. 28. 04:32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목판각류 / 판목류 수량 8매 지정일 2016.09.01 소재지 충청남도 서산시 개심사로 321-86 (운산면, 개심사) 시대 1580년(선조 13) 소유자 개심사 관리자 개심사 문화재 설명 개심사에 소장된 ‘『달마대사관심론』 목판’은 모두 8매가 전하고 있다. 다만 제1장부터 제21장까지는 7판에 새겨져 있으나, 마지막 판에는 제22장과 함께 『도가논변모자리혹론(道家論辨牟子理惑論)』의 17장이 함께 새겨져 있다. 조선시대에 간행된 『달마대사관심론』은 고창 문수사간본(1538), 무등산 안심사간본(1570) 등이 있으나, 목판으로 현전하는 것은 개심사 소장본이 유일하다. 마지막 장인 제22장과 함께 새겨진 『도가논변모자리혹론』의 제17장에 남아 있는 ‘萬曆八年庚辰(1580)四..
-
오대진언 목판 (五大眞言 木板)-Printing Woodblocks for Odae jineon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12. 27. 21:31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목판각류 / 판목류 수량 9판 지정일 2017.12.26 소재지 충청남도 서산시 개심사로 321-86 (운산면, 개심사) 시대 1604년(선조 37) 소유자 대한불교조계종 개심사 관리자 대한불교조계종 개심사 문화재 설명 오대진언 목판은 1604년(선조 37)에 가야산 강당사(講堂寺)에서 간행된 것이다. 1619년 한여현(韓汝賢)이 지은 서산군 읍지류인 『호산록(湖山錄)』에 보원사가 강당사로 불린다는 기록이 있어 강당사는 보원사의 또 다른 이름인 것으로 보인다. 오대진언은 1485년(성종 16)에「사십이수진언(四十二手眞言)」,「신묘장구대다라니(神妙章句大陀羅尼)」,「수구즉득다라니(隨求卽得陀羅尼)」,「대불정다라니(大佛頂陀羅尼)」,「불정존승다라니(佛頂尊勝陀羅尼)」등 다라니 다섯 종류..
-
몽산화상육도보설 목판 (蒙山和尙六道普說 木板)-Printing Woodblocks for Mongsan hwasang yukdo boseol (Monk Mengshan Deyi’s Sermon on Six Paths Buddhism)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12. 27. 21:13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목판각류 / 판목류 수량 6판 지정일 2017.12.26 소재지 충청남도 서산시 개심사로 321-86 (운산면, 개심사) 시대 1584년(선조 17) 소유자 대한불교조계종 개심사 관리자 대한불교조계종 개심사 문화재 설명 『몽산화상육도보설』은 원(元)의 선승인 몽산 덕이(蒙山德異, 1231~1308)가 불가의 육도윤회(六道輪廻)를 설명하기 위해 지은 책으로, 몽산화상육도보설 목판은 1584년(선조 17) 현 소장처인 개심사에서 개판한 것으로 완전한 구성을 갖춘 6판이 전해지고 있다. 『몽산화상육도보설』은 15~16세기 가장 활발히 간행되어 현재 20여종의 판본이 전하는데, 진안 용출사 현암본(1497) 계통의 해서체 13자본이 가장 많으며, 개심사본은 행서체의 15자본인 일월사..
-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 목판 (聖觀自在求修六字禪定 木板)-Printing Woodblocks for Seonggwanjajae gusu yukjaseonjeong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12. 27. 20:55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목판각류 / 판목류 수량 5판 지정일 2017.12.26 소재지 충청남도 서산시 개심사로 321-86 (운산면, 개심사) 시대 1621년(광해 13) 소유자 대한불교조계종 개심사 관리자 대한불교조계종 개심사 문화재 설명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 목판은 불가에서 육자진언(六字眞言)으로 선정을 닦는 공덕을 담은 책인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을 간행하기 위해 판각한 것으로, 1621년(광해 1) 충청도 덕산(德山) 상왕산(象王山) 가야사(伽倻寺)에서 개판해서 현재 개심사에 전래되고 있다. 한 면에 2장씩 판각하여 1판에 모두 4장이 새겨진 형태로 총 5판에 19장이 새겨져 있다. 마지막 제16장에 새겨진 간기(刊記)를 통해 발원문과 더불어 목판이 판각된 시기와 판각처, 불사를 시주한 김국..
-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 목판 (豫修十王生七齋儀纂要 木板)-The Printing Woodblocks for Yesu siwangsaeng chiljaeui chanyo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12. 27. 19:11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목판각류 / 판목류 수량 26판 지정일 2017.12.26 소재지 충청남도 서산시 개심사로 321-86 (운산면, 개심사) 시대 1577년(선조 10) 소유자 대한불교조계종 개심사 관리자 대한불교조계종 개심사 문화재 설명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 목판은 1577년(선조 10) 충청도 서산 가야산 보원사(普願寺)에서 개판한 것으로, 현재 개심사에 26판이 소장되어 있다.『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는 살아있는 동안 공덕을 미리 닦아 사후에 극락왕생하고자 하는 의식인 예수재(豫修齋)에 대한 의식집이다. 개심사 소장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 목판은 여러 가지 의식문을 합철하여 새긴 것으로, 본문 42장과 「예수천왕통의」, 「소청사자소」 등과 함께 총 26판에 55장이 전한다. 구성과 행자수가 동..
-
도가논변모자리혹론 목판 (道家論辨牟子理惑論 木板)-Printing Woodblocks for The Taoist School of Thought Debates - Mouze Lihurolun (Master Mou’s Treatise on Clarifying Doubts)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12. 27. 18:49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목판각류 / 판목류 수량 4판 지정일 2017.12.26 소재지 충청남도 서산시 개심사로 321-86 (운산면, 개심사) 시대 1580년(선조 13) 소유자 대한불교조계종 개심사 관리자 대한불교조계종 개심사 문화재 설명 『도가논변모자리혹론』은 중국 한(漢)나라 사람으로 전하는 모자(牟子)가 당시 사람들이 불교에 가지고 있던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쓴 글로, 일반적으로 『모자리혹론(牟子理惑論)』 혹은 『리혹론(理惑論)』으로 불린다. 도가논변모자리혹론 목판은 1580년(선조 13) 가야산 보원사(普願寺)에서 개판된 것으로, 총5판 중에서 제1장 등에 해당하는 1판이 결판되어 현재 4판이 개심사에 전해지고 있다. 조선시대 동안 『도가논변모자리혹론』은 목판으로 간행된 사례가 매우 희소..
-
서산 개심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瑞山 開心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of Gaesimsa Temple, Seosan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12. 27. 18:24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 1구 지정일 2009.10.20 소재지 충남 서산시 운산면 개심사로 321-86, 개심사 (신창리) 시대 (12세기 ~13 세기) 소유자 대한불교조계종 관리지 개심사 이 아미타불상은 최근(2004년) 발견된 복장물 의 수보묵서명(修補墨書銘)에 의해 고려 충렬왕 6년(1280) 불사를 위해 특별히 설립된 승재색(僧齋色)의 주관 하에 내시 시흥위위(內侍試興威衛)의 장사(長史) 송(宋)씨가 보수를 담당한 것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이 불상의 제작연대가 중수연대인 1280년보다 앞선 시기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불사를 주관한 승재색은 고려 충렬왕 무렵에 설치되어 경전의 간행, 사찰의 중수, 불상의 개금과 보수, 불교제의 등을 담당하던 관부로 생각되며, 위의 아미타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