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보물
-
의령 보천사지 삼층석탑 (宜寧 寶泉寺址 三層石塔)-Three-story Stone Pagoda at Bocheonsa Temple Site, Uiryeong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2. 9. 26. 17:11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 1기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남 의령군 의령읍 하리 797-1번지 시대 고려시대 소유자 국유 관리자 의령군 문화재 설명 보천사터에 세워진 고려 전기의 탑이다. 보천사는 통일신라 경덕왕 때 창건된 사찰로, 세운 이후의 역사는 전해지지 않고 있다. 전해지는 바에 의하면, 이 절에 빈대가 많아 살기가 힘들자 승려들이 다른 절로 떠나게 되었고 곧바로 폐사되었다고 하는데, 조선 중기 이전에 이미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절터에는 이 탑 외에도 의령 보천사지 승탑이 남아있다.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얹었는데, 고려탑이긴 하나 신라의 일반적인 양식을 이어받고 있다. 탑의 바닥돌은 아래에 네 모서리마다 큰 괴임돌을 두었다..
-
밀양향교 대성전 (密陽鄕校 大成殿)-Daeseongjeon Shrine of Mirya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2. 9. 25. 14:55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수량 1동 지정일 2020.12.28 소재지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향교3길 19 (교동) 시대 조선시대(1602년 중건, 1617년‧1820년 이건, 1803년 중수) 소유자 경상남도향교재단 관리자 밀양향교 문화재 설명 「밀양향교」는 좌묘우학(左廟右學)의 배치를 보이는 병렬식 향교의 대표사례로 경상남도 30여개 향교 가운데 병렬식배치를 취하고 있는 향교는 거창향교를 비롯하여 4곳으로 직렬식배치법의 다른 향교와 차별성을 보이며, 특히 대성전과 명륜당이 좌향을 달리하는 경우는 밀양향교가 유일함. 「밀양향교 대성전」은 임란 때 소실된 후 1602년에 중건되어 건립시기가 빠른 편에 속하며, 1617년, 1820년 2차에 걸쳐 이건을 하였으나 기둥, 익공, 창호 등..
-
함안 방어산 마애약사여래삼존입상 (咸安 防禦山 磨崖藥師如來三尊立像)Rock-carved Standing Bhaisajyaguru Buddha Triad in Bangeosan Mountain, Haman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2. 9. 23. 10:27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 3구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남 함안군 군북면 하림리 산131번지 시대 통일신라시대 소유자 국유 관리자 함안군 개별안내판 함안 방어산 마애약사여래삼존입상 咸安 防禦山 磨崖藥師如來三尊立像 보물 제159호 함안 방어산 마애약사여래삼존입상은 방어산 절벽 바위에 약사여래와 두 보살이 새겨져 있는 마애불이다. 바위에 새겨놓은 부처를 마애불이라 부른다. 약사여래는 사람들의 질병을 고쳐주는 부처인데 왼손에 약그릇을 들고 있다. 약사여래 양쪽 옆으로 해와 달을 상징하는 일광보살(日光菩薩)과 월광보살(月光菩薩)이 약사여래를 향해 서 있다. 약사여래의 오른쪽에 있는 월광보살의 오른쪽 암벽에는 801년(애장왕 2)에 제작되었다는 글자가 새겨져 있어 통일신라시대의 작..
-
영주 부석사 범종각(榮州 浮石寺 梵鐘閣)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2. 9. 16. 16:12
◉문화재청공고제2022-307호「문화재보호법」제23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1조 제4항에 따라 「영주 부석사 범종각」의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에 관한 사항을 다음과 같이 예고합니다.2022년 8월 26일문화재청장1. 공 고 명 : 「영주 부석사 범종각」보물 지정 예고2.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내용ㅇ 종 별 : 보물ㅇ 문화재명 : 영주 부석사 범종각(榮州 浮石寺 梵鐘閣)ㅇ 지정내용- 소 재 지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56- 구조/형식/형태 : 목조/ 5량가/ 팔작지붕+맞배지붕- 수량 : 1동(131.04㎡)- 조성연대 : 조선시대- 소유자(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 부석사(대한불교조계종 부석사)- 지정면적 : 131.04㎡ https://youtu.be/Nsx2_YbxTrMhttps://..
-
영주 부석사 안양루 (榮州 浮石寺 安養樓)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2. 9. 16. 16:06
◉문화재청공고제2022-306호「문화재보호법」제23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1조 제4항에 따라 「영주 부석사 안양루」의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에 관한 사항을 다음과 같이 예고합니다.2022년 8월 26일문화재청장1. 공 고 명 : 「영주 부석사 안양루」보물 지정 예고2.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내용ㅇ 종 별 : 보물ㅇ 문화재명 : 영주 부석사 안양루(榮州 浮石寺 安養樓)ㅇ 지정내용- 소 재 지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로 345(북지리 148)- 구조/형식/형태 : 목조/ 5량가/ 팔작지붕- 수량 : 1동(85.31㎡)- 조성연대 : 조선시대- 소유자(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 부석사(대한불교조계종 부석사)- 지정면적 : 85.31㎡ https://youtu.be/ytJglsisnuI무량수전의..
-
서울 조계사 목조여래좌상 (서울 曹溪寺 木造如來坐像)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2. 8. 26. 11:52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 1구 지정일 2022.04.26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우정국로 55 (견지동, 조계사) 시대 조선 15세기 소유자 대한불교조계종 조계사 관리자 대한불교조계종 조계사 문화재 설명 ‘서울 조계사 목조여래좌상’은 조선 15세기에 제작된 작품으로, 전라남도 영암 도갑사(道岬寺)에 봉안되었으나, 1938년 6월 조선불교 총본산(總本山) 건립에 맞춰 총본산(당시 太古寺, 지금의 조계사)의 주존불로 봉안하기 위해 이안된 상징적인 불상이다. 이 불상은 일제강점기 왜색불교를 배척하고 조선불교의 자주성과 정통성 확보를 위해 건립된 조계종 총본산의 주불(主佛)로 봉안된 것으로, 조선불교의 전통을 회복하고자 했던 당시 불교계의 염원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에서 한국불교사 및 불교미..
-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 (宗親府 敬近堂과 玉牒堂)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2. 8. 26. 10:39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 (宗親府 敬近堂과 玉牒堂)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수량 3동 지정일 2021.12.27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30 (소격동)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국유 관리자 문화재청 경복궁관리소 문화재 설명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은 조선시대 관공서 중 최고 등급인 정1품아문의 하나인 종친부(宗親府)의 중심건물로, 관아건축이면서 궁궐건축의 격식을 갖춘 건물이다. 흥선대원군 집권 당시 왕권강화의 일환으로 종친부의 권한과 조직을 확대하면서 종친부 건물이 대규모로 늘어날 당시 중건(1866)되었다. 경근당(敬近堂)은 대군, 왕자군 등 종친들의 대청으로 종친부의 중심 건물로서, 좌우로 각각 옥첩당(玉牒堂)과 이승당 (貳丞堂)을 두고 복도각으로 연결되어 있었지만 ..
-
함양 용추사 일주문(龍湫寺 一柱門)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2. 7. 26. 12:31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 수량 1동 지정일 1972.02.12 소재지 경남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 관리자 용추사 합천 해인사 홍하문 등 6건 지정예고 합니다. - 합천 해인사 홍하문 - 함양 용추사 일주문 - 곡성 태안사 일주문 - 하동 쌍계사 일주문 - 달성 용연사 자운문 - 순천 송광사 일주문 문화재청 > 문화재 지정예고 상세 > 합천 해인사 홍하문 등 6건 (cha.go.kr) 문화재 설명 덕유산에 있는 용추사는 원래 신라 소지왕 9년(487) 각연대사가 지은 장수사에 속해있던 암자이다. 장수사는 한국전쟁 때 불타 버리고 문만 남아있다가 1975년에 복원되었다. 용추사 일주문은 2개의 기둥만으로 지붕을 지탱하는 건물이며, 조선 숙종 28년(1702) 호남사혜가 세웠다고 한다. 일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