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보물
-
독서당계회도(讀書堂契會圖)-Dokseodang gyehoedo (Gathering of Officials at Dokseodang Study)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3. 22. 18:20
분류 유물 / 일반회화 / 기록화 / 계회도 수량 1축 지정일 2023.04.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국립고궁박물관 시대 조선시대 소유 국유 관리 국립고궁박물관 정의 1531년(중종 26)에 제작된 작자미상의 계회도. 개설 1531년(중종 26)에 제작된 계회도로 족자 형식이며 비단 바탕에 수묵담채로 그렸다. 크기는 세로 91.5㎝, 가로 62.3㎝이며, 일본인의 개인 소장품이었으나, 2022년 3월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미국 경매에서 구매해 국내에 들여왔다. 현재까지 발견된 계회도 중 가장 오래된 작품이다. 조선 초기에 유행했던 계회도의 전형적인 형식을 보여 주는 동시에 16세기 전반기의 한국적인 화풍을 잘 드러내고 있다. 내용 족자로 되어 있는 이 작품의 화면은 상단·중단·하단의 3단으로 ..
-
안성청룡사금동관음보살좌상 (安城靑龍寺金銅觀音菩薩坐像)Gilt-bronze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of Cheongnyongsa Temple, Anseong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3. 15. 16:26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금속조 / 보살상 수량 1구 지정일 2023.04. 소재지 경기 안성시 서운면 청룡길 140 (청용리) 시대 조선시대 초기 소유자 대한불교조계종 청룡사 관리자 대한불교조계종 청룡사 문화재 설명 고려 시대 후기인 13, 14세기에 크게 유행했던 이른바 ‘단아한’ 느낌의 불상 양식을 그대로 이어받아 조선 초기에 만든 금동불이다. 특히 조선 초기 경북 지역에는 화려한 보관과 도포 모양의 옷차림새, 네모진 얼굴과 굴곡 없는 원통형의 신체가 특징인 비슷한 모습의 보살상들이 유행하였는데, 이 청룡사 금동보살상 역시 이와 같은 양식 계열의 작품이다. 머리에 쓴 보관과 대좌는 뒤에 고친 것이다. 살이 붙어 통통한 달걀형의 얼굴은 눈썹과 콧날 선이 굵고 딱딱해져 근엄한 표정을 자아내며, 눈썹 ..
-
창녕 관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昌寧 觀龍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2. 12. 29. 17:42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명부상 수량/면적 17구 지정(등록)일 2023.01.29 소재지 경상남도 창녕군 화왕산관룡사길 171 (창녕읍) 관룡사 시대 조선시대(1652년) 소유자 관룡사 관리자 관룡사 창녕 관룡사 명부전에는 주존불인 목조지장보살좌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도명존자상과 무독귀왕상이 서 있으며 시왕상, 판관상, 귀왕상, 인왕상 2구 등 모두 17구가 서로 대칭을 이루며 봉안되어 있다. 이 가운데 무독귀왕입상과 제8평등대왕상에서 나온 원문에 의하면 명부전 존상은 모두 효종3년(1652)에 應惠, 戒贊, 密云, 印戒, 笁閑, 海機, 思敏 등 9명의 조각승에 의해 조성되어 관룡사에 봉안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함께 수습된 후령통과 1638년 밀양 영정사에서 간행된 『묘법연화경 권1』 등..
-
봉화 청암정 (奉化 青巖亭)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2. 11. 17. 21:00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수량/면적 1동 / 102.24㎡ 지정일 2022.10.31 소재지 경상북도 봉화군 충재길 44 (봉화읍, 충재권벌선생 관계유적)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안동권씨충정공파문중 관리자 안동권씨충정공파문중 문화재 설명 봉화 청암정은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충재길 44에 위치하고 있으며, 안동권씨 충재종택 경역 내에 자리하고 있는 정자로, 인근에 위치한 석천계곡의 석천정(石泉亭) 등과 함께 현재 명승으로 지정되어 있다. 봉화 청암정은 『충재집(盅齋集)』『석천지(石泉志)』등의 역사 문헌에 따르면, 1526년 충재 권벌(冲齋 權橃, 1478~1548)이 살림집의 서쪽에 건립한 정자이다. 창건 당시에는 마루로 된 6칸 규모의 건물이었으며, 16세기 말에 2칸 규모의 온..
-
산청 법계사 삼층석탑 (山淸 法界寺 三層石塔)-Three-story Stone Pagoda of Beopgyesa Temple, Sancheong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2. 10. 17. 13:48
분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수량1기지정일1968.12.19소재지경남 산청군 시천면 지리산대로 320-292, 법계사 (중산리)시대고려시대소유자법계사 관리자법계사 문화재 설명지리산 천왕봉 동쪽 중턱에 자리잡은 법계사는 신라 진흥왕 5년(544)에 연기조사가 세운 절이라 전한다. 해발 1400m로 우리 나라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사찰이다. 한국전쟁 당시의 화재로 토굴만으로 명맥을 이어오다가 최근에 법당을 지으면서 사찰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법당 왼쪽에 위치한 이 탑은 바위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탑신부의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었으며, 몸돌 각 모서리에는 기둥을 넓게 새겼다. 각 층의 지붕돌은 두터운 편이며, 지붕돌 밑면의 받침은 3단이다. 탑의 머리..
-
영양 화천리 삼층석탑 (英陽 化川里 三層石塔)-Three-story Stone Pagoda in Hwacheon-ri, Yeongyang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2. 10. 14. 19:25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 1기 지정일 1977.08.22 소재지 경북 영양군 영양읍 화천리 835번지 시대 신라시대 소유자 국유 관리자 영양군 문화재 설명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의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 석탑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십이지신상(十二支神像)을 한 면에 3구씩 도드라지게 새겨 놓았는데, 손에는 각각 무기를 들고 앉아있는 모습이다. 위층 기단은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으며, 조각으로 나뉘어진 8곳에 팔부중상(八部衆像)을 새겨 놓았다.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한 돌로 조성된 탑신은 몸돌의 모서리마다 기둥조각을 새겼다. 1층 몸돌에는 4면에 사천왕상(四天王像) 1구씩을 뚜렷이 드러나도록 조각했는데, 악귀를 밟고 있는 모..
-
달성 하목정 (達城 霞鶩亭)-Hamokjeong Pavilion, Dalseong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2. 10. 7. 16:59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수량 1동 지정일 2019.12.30 소재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하산리 1043-1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전의이씨 기곡동이유재종중 외 1인 관리자 달성하목정보존회 개별안내판 달성 하목정 達城 霞鶩亭 보물 제2053호 달성 하목정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었던 낙포 이종문(洛浦 李宗文)이 선조 37년(1604)에 세운 것으로, 원래는 주택의 사랑채였으나 안채가 없어진 후 정자로 사용하고 있다. 조선 인조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이곳에 머문 적이 있어, '하목정' 이라는 이름을 이종문의 장남인 이지영에게 직접 써 주었다고 한다. 일반 백성들의 주택에는 서까래 위에 부연(附椽)*을 달지 않는 것이 관례였으나, 인조의 명으로 부연을 달았다고 한다. 이 정자는 앞..
-
의령 보천사지 승탑 (宜寧 寶泉寺址 僧塔)-Stupa at Bocheonsa Temple Site, Uiryeong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2. 9. 26. 17:59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 1기 지정일 1968.12.19 소재지 경남 의령군 의령읍 하리 산96-1, 781-4 시대 고려시대 소유자 국유 관리자 의령군 문화재 설명 보천사는 수암사(水巖寺)라고도 전해지고 있으며, 통일신라시대 경덕왕 때 창건되었던 사찰이다. 승탑은 절터의 북쪽 산기슭 계곡에 세워져 있고, 위아래 모두 8각형의 기본형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정사각형의 바닥돌 위로 기단의 아래받침돌·가운데받침돌·윗받침돌을 올렸다. 아래받침돌은 2단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사이에 돌띠를 돌려 구분하였으며, 윗단에는 용과 구름무늬를 얕게 돋을새김하였다. 가운데받침돌도 8각으로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새긴 후, 면에 타원형의 조각을 두었다. 윗받침돌에는 2겹으로 16장의 연꽃잎을 조각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