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보물
-
옥천 이지당 (沃川 二止堂)-Ijidang hall, Okcheon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2. 7. 15. 11:34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서당 수량 1동 지정일 2020.12.28 소재지 충청북도 옥천군 이백6길 126 (군북면, 문화재(옥천이지당)) 시대 조선시대(1674년 건립) 소유자 이지당계 관리자 이지당계 문화재 설명 「옥천 이지당」은 의병장이자 성리학자인 중봉 조헌이 16세기 말 옥천에 머물면서 빼어난 경치를 벗 삼아 유상하며 동네 이름을 따서 각신서당을 짓고 학생들을 가르쳤던 것에서 비롯되며, 그의 사후 80여 년 뒤인 1674년 무렵에 김만균이 주도하여 왼쪽 누를 첨건하는 등 면모를 일신하고 송시열이 명칭을 이지당으로 지었음. 김만균과 송시열, 조헌은 옥천이라는 지연과 기호학파라는 학연으로 연결되어 있은데, 이러한 관계는 조헌 사후에 이지당이 정사(精舍)로 활용되고 유지되는데 핵심..
-
건칠보살좌상(乾漆菩薩坐像)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2. 7. 2. 12:17
◉문화재청공고 제2022-255호 문화재보호법 시행령 제11조 제4항의 규정에 따라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가치가 있다고 평가된 총 6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예고합니다. 2022. 6. 30. 문 화 재 청 장 1. 공 고 명 :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예고 2. 공고사항 가.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예고 : 총 6건 나. 지정예고 사유 : 붙임 참조 3. 예고일자 : 관보 공고일 4. 예고기간 : 관보 공고일로부터 30일 이상 5. 연 락 처 : 문화재청 문화재보존국 유형문화재과 가. 주 소 : (우 : 35208) 대전광역시 서구 청사로 189 나. 전 화 : 042-481-4686 / 팩스 : 042-481-4939 다. 홈페이지 : http://www.cha.go.kr, 전자메일 hju..
-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 (慶州 方形臺座 石造如來坐像)-The Stone Buddha Seated on a Square Pedestal in Gyeongju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2. 6. 5. 16:01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 1구 지정일 2018.04.20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와대로 1 (세종로) 시대 9세기 소유자 국유 관리자 대통령비서실 문화재 설명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은 통일신라 9세기에 조성된 석불좌상으로, 1974년 1월 15일 서울시유형문화재로 지정․관리되어 오다가 이번에 문화재적 가치를 새롭게 인정받아 보물로 지정하게 되었다. 편단우견(偏袒右肩)에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중대석과 하대석은 손실되었지만 다른 부분은 큰 손상 없이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다. 당당하고 균형 잡힌 신체 비례와 풍부한 양감이 돋보이는 표현, 섬세한 부채꼴 옷주름 등에서 석굴암 본존상을 계승한 통일신라 불상조각의 높은 수준을 엿보게 한다. 특히 비대하고 무겁..
-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慶州 玉山書院 無邊樓)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2. 5. 27. 10:15
- 서원의 초기 문루 형식을 간직한 조선 중기 서원 -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慶州 玉山書院 無邊樓)」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는 2019년 「한국의 서원」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사적 「옥산서원(玉山書院)」 안에 자리하고 있으며, 옥산서원 외삼문을 지나면 나타나는 중층으로 된 문루이다. 무변루는 1572년 옥산서원이 창건되었을 때 함께 세워졌으며, 주변의 훌륭한 자연경관을 잘 조망할 수 있도록 서쪽을 바라보고 있다. 규모는 정면 7칸, 옆면 2칸이며, 지붕은 맞배지붕으로 좌·우 측면에는 가적지붕을 설치하였다. 건물의 아래층은 출입문으로 사용하고, 위층은 온돌방과 누마루(다락처럼 높게 만든 마루)로 구성되어 있는데, 위층은 가운데에 대청..
-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 (慶州 芬皇寺 幢竿支柱)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2. 2. 14. 18:15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당간 수량 1기 지정일 2021.11.26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315-2 시대 통일신라시대 소유자 경주시 관리자 경주시 문화재 설명 1. 경주 분황사의 연혁과 당간지주 경주 芬皇寺는 경주시 구황동에 있는 사찰로 『三國遺事』의 기록에 의하면 七處伽藍 중의 하나로 634년(선덕여왕 3년) 용궁의 북쪽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당시 분황사는 황룡사와 함께 왕실 차원에서 건립되었으며, 선덕여왕을 비롯한 여러 국왕과도 밀접한 관계에 있었다. 신라 선덕여왕은 643년 당나라에서 귀국한 慈藏(590~658년)을 분황사에 머물게 하였으며, 645년에는 자장의 요청으로 皇龍寺塔이 처음 만들기 시작했다. 창건된 이후 황룡사와 함께 중요 사찰로서 중앙 정부나 왕실과 밀접한 관..
-
서산 문수사 금동여래좌상 복장유물 (瑞山 文殊寺 金銅如來坐像 腹藏遺物)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12. 29. 18:22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 수량 지류-17종 504점, 직물류-37종77점, 기타8종 지정일 2008.08.28 소재지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20번지 수덕사 시대 고려시대 소유자 문수사 관리자 수덕사 문화재 설명 서산 문수사 금동여래좌상 복장유물은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4호로 지정된 금동여래좌상에서 나온 것인데, 1993년 불상은 도난당하고 복장유물만이 전해진다. 문수사 금동여래좌상의 복장에서는 경전·다라니 등의 인쇄자료와 발원문 및 물목을 기재한 필사자료 등 17종 504종에 이르는 다양한 전적류와 함께 고려말 제작된 복식(답호)과 각종 직물류 및 팔엽통 등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전적류 복장유물에서 인쇄자료 중 ‘묘법연화경’과 ‘인왕호국반야바라밀경(仁王護國般若波羅蜜經)’은 각각 각필과 ..
-
달마대사혈맥론 목판 (達磨大師血脈論 木板)-Printing Woodblocks of Dalmadaesa hyeolmaengnon (Treatise on the Blood Pulse)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12. 28. 15:56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목판각류 / 판목류 수량 7매 지정일 2016.09.01 소재지 충청남도 서산시 개심사로 321-86 (운산면, 개심사) 시대 1579년(선조 12) 소유자 개심사 관리자 개심사 문화재 설명 개심사에 소장된 ‘『달마대사혈맥론』 목판’은 모두 7매가 전한다. 한 면에 1장에서 3장까지 새긴 판도 있고, 더욱이 “팔(八)”자형으로 굽어진 목판도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굽어진 형태에 맞추어 해당 장을 새겨 놓았다. 이렇게 서적을 목판의 크기나 모양에 맞추어 자유분방하게 새긴 사례는 매우 특이한 경우에 속한다. 『달마대사혈맥론 목판』은 1579년 5월에 간행되어 지금까지 거의 완전하게 전하는 것이다. 간행은 마지막 장의 “萬曆七年乙卯(1579)仲夏忠淸道瑞山地伽耶山普願寺留鎭”과 ..
-
개심사 영산회 괘불탱 (開心寺 靈山會 掛佛幀)-Hanging Painting of Gaesimsa Temple (The Vulture Peak Assembly)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12. 28. 15:46
분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 1폭 지정일 1997.08.08 소재지 충남 서산시 운산면 개심사로 321-86, 개심사 (신창리) 시대 조선 영조48년(1772,乾隆37) 소유자 개심사 관리자 개심사 문화재 설명 석가가 영축산에서 설법하는 장면을 그린 영산회괘불탱으로,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 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대형 불교그림이다. 화면을 가득 채운 석가불은 오른쪽 어깨가 드러난 우견편단의 옷을 걸치고 화면 중앙에 서 있으며 둥근 얼굴, 비대한 어깨, 유난히 길고 굵은 팔, 짧은 하체가 비현실적으로 보인다. 옷에는 둥글고 변형된 덩굴무늬가 빽빽하게 장식되어 있고, 석가모니불 뒤의 광배에는 모란 줄기와 연꽃무늬 등이 새겨져 있다. 석가의 머리 주변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