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보물
-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 (槐山 覺淵寺 通一大師塔)-Stupa of Buddhist Monk Tongil at Gagyeonsa Temple, Goesan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1. 1. 13:07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 1기 지정일 2003.03.14 소재지 충북 괴산군 칠성면 각연길 451 (태성리) 시대 고려시대 소유 각연사 관리 각연사주지 개별안내판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 槐山 覺淵寺 通一大師塔 보물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은 통일대사탑비의 동남쪽에 있는 보개산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를 향해 올라가는 8부 산등성이에 있다. 기단부, 탑신부, 상륜부를 갖춘 전형적인 팔각 원당형 승탑으로 전체 높이는 2.3m이다. 1965년 무너져 있던 탑이 발견되었고, 1982년 7월에 흩어진 부재를 찾아 복원하였다. 이 탑은 주인공이 통일 대사이고, 통일대사탑비가 고려 광종 9년(858년)에서 11년(960년)사이에 세워진 것으로 보아 탑비와 같은 시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한다. 지금..
-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槐山 覺淵寺 通一大師塔碑)-Stele for Buddhist Monk Tongil at Gagyeonsa Temple, Goesan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1. 1. 12:18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수량 1기 지정일 1999.06.23 소재지 충북 괴산군 칠성면 각연길 451 (태성리) 시대 광종 9년(958) 소유 각연사 관리 각연사 문화재 설명 고려 전기의 승려인 통일대사의 행적을 기록하고 있는 비로, 각연사 동남쪽의 보개산 계곡을 따라 1㎞쯤 떨어진 산 중턱에 자리잡고 있다. 통일대사는 고려 전기에 중국유학을 다녀온 이로, 그가 왕실에서 불교의 교리를 강의하자 각지에서 사람들이 구름처럼 몰려들었다고 한다. 대사가 입적하자 광종은 ‘통일대사’라는 시호를 내리고 당대의 문장가였던 김정언에게 비문을 짓도록 하였다. 돌로 쌓은 축대 위에 세워져 있는 비는 거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얹은 구조이다. 거북받침돌은 등에 아무런 장식을 하지 않았으며..
-
해남 명량대첩비 (海南 鳴梁大捷碑)-Monument for the Victory at Myeongnyang Battle, Haenam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0. 31. 12:19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수량 1기 지정일 1969.06.16 소재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동외리 955-6 시대 조선 숙종 14년(1688) 소유 이충무공유적보존회 관리 해남군 종합안내판 명량대첩비 문화유적 종합안내 이 일대는 해남군과 명량대첩기념사업회 및 지역주민 등이 명량대첩비 주변의 경관을 개선하고 성역화하기 위해 명량대첩비가 처음 세워진 곳을 중심으로 만든 문화유적지이다. 명량대첩비의 원형을 제대로 보존하고 주변 문화자원과 엮어 잘 활용하기 위하여 만든 이곳은 크게 비각영역, 강강술래마당, 사당영역으로 나뉜다. 비각영역은 명량대첩비와 보호시설인 비각, 주변 담장 및 협문으로 이루어진 공간이다. 명량대첩비는 1597년 명량해전을 승리로 이끈 이순신 장군의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
-
장말손 유품 (張末孫 遺品)-Relics Related to Jang Mal-son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0. 26. 15:12
분 류수량/면적지정(등록)일소 재 지시 대소유자(소유단체)관리자(관리단체) 분류 유물 / 생활공예 수량 2종 2점 지정일 1986.10.15 소재지 경상북도 영주시 시대 조선 세조 12년(1467) 소유 장*** 관리 장*** 개별안내판 장말손 유품 張末孫 遺品 보물 제881호 장말손 유품은 장말손이 남긴 패도(佩刀) 1점과 『적개공신회맹록』 1점이다. 패도는 허리춤에 차는 칼집이 있는 작은 칼로, 장말손이 세조 12년1466에 함경도 회령에서 오랑캐를 물리치는 공을 세우고 왕에게서 하사받은 것이다. 이는 조선 시대 왕실 공예품의 모습을 알려 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적개공신회맹록』은 예종 원년1469에 제작한 것으로, 이는 왕이 이시애의 난 때에 공을 세웠던 적개공신(敵愾功臣)*과 모여서 맹세한 사실,..
-
인제 백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麟蹄 百潭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및 腹藏遺物)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and Excavated Relics of Baekdamsa Temple, Inje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0. 23. 14:32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 일괄 (불상 1구, 발원문 4매, 저고리 1점, 기타) 지정일 1993.11.05 소재지 강원 인제군 북면 백담로 746, 백담사 (용대리) 소유 백담사 관리 백담사 백담사 극락보전 안에 주불(主佛)로 모셔져 있는 이 목불좌상은 서방 극락세계에 살면서 중생을 위해 자비를 베푼다는 아미타불을 형상화한 것으로 조선 영조 24년(1748)에 만들어졌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정수리 부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큼직하게 솟아 있다. 얼굴은 둥글고 단아하며 가는 눈, 작은 입, 오똑한 코로 인해 독특한 인상을 나타낸다. 넓은 가슴과 둥근 어깨가 당당한 인상을 주는 상체는 다소 평판적이며, 하체는 넓고 큼직하여 상체와 조화되고 있는..
-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奉化 淸凉寺 乾漆藥師如來坐像 및 腹藏遺物)-Dry-lacquered Seated Bhaisajyaguru Buddha and Excavated Relics of Cheongnyangsa Temple, Bonghwa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0. 23. 10:33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건칠조 / 불상 수량 불상 1구, 복장유물 일괄(19건 208점) 지정일 2016.11.16 소재지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북곡리 247 청량사 시대 통일신라~고려 초 소유 대한불교조계종 청량사 관리 대한불교조계종 청량사 문화재 설명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은 흙으로 형태를 만든 뒤 그 위에 삼베를 입히고 칠을 바르고 말리는 과정을 반복해서 일정한 두께를 얻은 후 조각하여 만든 건칠불상이다. 이 불상은 오래전부터 청량사의 주불전인 유리보전의 주불로 봉안되어 온 것으로 추정되며, 엄숙한 상호, 당당하고 육감적인 양감, 균형 잡힌 신체, 탄력과 절제된 선묘 등에서 석굴암 본존불 계통의 통일신라 전성기 불상의 양식계통을 따르고 있다. 불상의 초창 기록이 확인되지 않아 정확한 제작..
-
봉화 청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奉化 淸凉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Wooden Ksitigarbha Bodhisattva Triad of Cheongnyangsa Temple, Bonghwa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0. 22. 16:56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보살상 수량 3구(발원문 1점 포함) 지정일 2010.10.25 소재지 경북 봉화군 명호면 북곡리 청량사 시대 1578년 소유 청량사 관리 청량사 문화재 설명 지장보살상은 지옥중생의 구제를 위해 깊은 사유에 잠긴 듯 고요하게 처리된 상호(相好)에서 높은 종교성을 읽을 수 있고, 불신의 구성 요소요소가 상호 유기적이고 이지러짐이 없어 조각적 완성도도 높다. 불신에 표현된 선 역시 불필요한 선들은 최대한 배제하고 힘과 강약이 있는 직선과 곡선을 적절하게 구사하여 유려하면서도 탄력 넘치는 세련된 선묘를 보여준다. 형태가 다소 둔중한 느낌이 없지 않으나 이러한 점이 오히려 중후한 안정감을 주어 보살상의 종교적 완성미를 이루는데 공헌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 삼존상..
-
곡성 태안사 일주문(谷城 泰安寺 一柱門)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0. 16. 16:19
합천 해인사 홍하문 등 6건 지정예고 합니다. - 합천 해인사 홍하문 - 함양 용추사 일주문 - 곡성 태안사 일주문 - 하동 쌍계사 일주문 - 달성 용연사 자운문 - 순천 송광사 일주문 문화재청 > 문화재 지정예고 상세 > 합천 해인사 홍하문 등 6건 (cha.go.kr) 곡성 태안사 일주문(谷城 泰安寺 一柱門)는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 태안사에 있는 일주문이다. 1981년 10월 20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83호로 지정되었다. 개요 태안사 입구에 있는 일주문(속세와 불계의 경계 역할을 하는 의식적인 상징물)으로, 능파각에서 약 200m쯤 지나 높직한 돌계단에 올라서 있다. 조선 숙종 9년(1683) 각현선사가 다시 지은 후, 1917년과 1980년에 보수하였다. 태안사 일주문은 위로 갈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