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국보
-
공주 충청감영 측우기 (公州 忠淸監營 測雨器)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0. 7. 2. 17:26
국보 제329호 분류 유물 / 과학기술 / 천문지리기구 / 천문 수량 1점 지정일 2020.02.27 소재지 서울특별시 동작구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국유 관리자 기상청 국보 제329호 ‘공주 충청감영 측우기(公州 忠淸監營 測雨器)’는 1837년(헌종 3)에 제작된 것으로, 측우대는 없고 측우기만 전해오고 있다. 조선시대 충남지역 감독관청이었던 공주감영[錦營]에 설치되었던 것으로, 1915년 경 일본인 기상학자 와다 유지[和田雄治]가 국외로 반출한 뒤 1971년 일본에서 환수되어 기상청이 보관해 오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중앙정부에서 측우기를 제작해 전국의 감영에 보냈기 때문에 여러 점이 만들어졌으리라 예상되지만, 지금까지 ‘공주 충청감영 측우기’만 유일하게 알려져 있다. 1442년(세종 24)에 발명된 측..
-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旌善 淨岩寺 水瑪瑙塔)-Sumanotap Pagoda of Jeongamsa Temple, Jeongseon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0. 7. 2. 16:51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1기 지정(등록) 2020.06.25 소재지 강원도 정선군 함백산로 1410 (고한읍, 정암사) 시대 고려시대 소유자 정암사 관리자 정암사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이 있는 정암사는 「삼국유사」가 전하는 바에 따르면 신라 자장율사(慈藏律師)가 당나라 오대산에서 문수보살로부터 석가모니의 몸에서 나온 진신사리(眞身舍利)를 받아 귀국한 후, 643년(선덕여왕 12년)에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 사찰임. 정암사에는 수마노탑을 바라보는 자리에 적멸보궁이 자리 잡고 있으며, 이는 통도사, 오대산 중대, 법흥사, 봉정암의 적멸보궁과 더불어 우리나라 5대 적멸보궁으로서의 위상을 가지고 있음. 수마노탑이라는 명칭은 불교에서 금·은과 함께 7보석 중의 하나인 마노(瑪瑙)와..
-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 (海南 大興寺 北彌勒庵 磨崖如來坐像)-국보 제308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9. 9. 14. 09:04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 (海南 大興寺 北彌勒庵 磨崖如來坐像) 국보 제308호 종목 국보 제308호 명칭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 (海南 大興寺 北彌勒庵 磨崖如來坐像)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 1좌 지정일 2005.09.28 소재지 전라남도 해남군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대*** 설명 바위면에 고부조(高浮彫)되어 있는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은 공양천인상이 함께 표현된 독특한 도상의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여래좌상으로 규모가 크고 조각수법도 양감이 있고 유려하여 한국의 마애불상 중에서는 그 예가 매우 드물고 뛰어난 상으로 평가된다. 본존불의 육계(肉髻)가 뚜렷한 머리는 언뜻 머리칼이 없는 민머리(素髮)처럼 보이나 나발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이목구비의 표현이 ..
-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白磁 靑畵鐵彩銅彩草蟲文 甁)-국보제294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9. 8. 28. 15:59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白磁 靑鐵彩銅彩草蟲文 甁)-국보제94호 종목국보 제294호 명칭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白磁 靑畵鐵彩銅彩草蟲文 甁)분류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백자수량1점지정일1997.01.01소재지서울특별시 성북구 시대조선시대소유.관리전*** 간***설명조선시대 백자들은 대개 단순한 형태와 문양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며, 다채로운 색채의 사용을 절제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그런 면에서 볼 때 높이 42.3㎝, 아가리 지름 4.1㎝, 밑 지름 13.3㎝인 이 병처럼 하나의 작품에 붉은색 안료인 진사, 검은색 안료인 철사, 푸른색 안료인 청화를 함께 장식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형태는 가늘고 긴 목에 풍만한 몸통과 약간 낮은 굽을 하고 있다. 굽은 선을 ..
-
Memory-of-the-World -훈민정음 (訓民正音)-국보제70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9. 8. 27. 17:46
훈민정음 (訓民正音)-국보제70호 The Proper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 종목 국보 제70호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관판본 수량 1책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전*** 간*** 설명 이 책은 새로 창제된 훈민정음을 왕의 명령으로 정인지 등 집현전 학사들이 중심이 되어 세종 28년(1446)에 만든 한문해설서이다. 책이름을 글자이름인 훈민정음과 똑같이 ‘훈민정음’이라고도 하고, 해례가 붙어 있어서 ‘훈민정음 해례본’또는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한다. 전권 33장 1책의 목판본이나, 앞 2장은 1940년경에 복원된 부분이다. 구성을 보면 총 33장 3부로 나누어, 제1부는 훈민정음의 본..
-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靑磁 母子猿形 硯滴)-Celadon Water Dropper in the Shape of Mother and Baby Monkeys-국보 제270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9. 8. 27. 14:53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靑磁 母子猿形 硯滴)국보 제270호 종목국보 제270호 명칭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靑磁 母子猿形 硯滴)분류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수량1점지정일1992.04.20소재지서울특별시 성북구 시대고려시대소유.관리전*** 간***설명고려시대 만들어진 원숭이 모양의 청자 연적으로,크기는 높이 9.8㎝, 몸통 지름 6.0㎝이다. 어미 원숭이 머리 위에는 지름 1.0㎝ 정도의 물을 넣는 구멍이, 새끼의 머리 위에는 지름 0.3㎝인 물을 벼루에 따라내는 구멍이 각각 뚫려 있어 연적임을 알 수 있다. 두 원숭이의 손가락과 발가락은 그 사이사이를 파내어 도드라지게 표현하였고, 어미 원숭이의 눈, 코와 새끼 원숭이의 눈은 검은 색 안료로 점을 찍어 나타냈다. ..
-
청자 오리모양 연적 (靑磁 鴨形 硯滴)-국보제74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9. 8. 27. 14:23
청자 오리모양 연적 (靑磁 鴨形 硯滴) 국보제74 종목국보 제74호 명칭청자 오리모양 연적 (靑磁 鴨形 硯滴)분류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수량1개지정일1962.12.20소재지서울특별시 성북구 시대고려시대소유.관리전*** 간***설명오리 모양으로 만든 고려시대의 청자 연적으로 높이 8㎝, 너비 12.5㎝의 크기이다. 물위에 뜬 오리가 연꽃줄기를 물고 있으며 연잎과 봉오리는 오리의 등에 자연스럽게 붙어있다. 오리의 등의 연잎으로 장식된 부분에는 구멍이 있어서 물을 넣도록 되어있고, 연꽃 봉오리 모양의 작은 마개를 꽂아서 덮고 있다. 물을 따르는 부리는 오리 주둥이 오른편에 붙어 있는데, 이 부리가 연줄기에 달린 봉오리 끝으로 통했으리라 짐작되지만, 지금은 그 부분이 부서져 있어 원형을..
-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靑磁 象嵌雲鶴文 梅甁)-국보제68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9. 8. 27. 13:34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靑磁 象嵌雲鶴文 梅甁)국보제68호 종목국보 제68호 명칭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靑磁 象嵌雲鶴文 梅甁)분류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수량1개지정일1962.12.20소재지서울특별시 성북구 시대고려시대소유.관리전*** 간***설명고려 매병(梅甁)은 중국 송(宋)나라 매병에서 유래된 것이지만, 12세기경에 이르러서는 고려만의 풍만하면서도 유연한 선의 아름다움이 나타난다. 이러한 고려 매병의 양식은 이 작품에서 세련미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다. 높이 42.1㎝, 입지름 6.2㎝, 밑지름 17㎝의 크기의 매병의 구연부는 작고 낮으며 밖으로 살짝 벌어져 있다. 어깨는 넓고 당당한 모습을 보여준다. 구연부의 아랫부분에는 꽃무늬를 둘렀으며 굽 위로는 연꽃무늬를 둘렀다. 몸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