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국보
-
삼국사기 (三國史記)-국보 제322-1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12. 22. 16:20
삼국사기 (三國史記) 국보 제322-1호 종목 국보 제322-1호 명칭 삼국사기 (三國史記)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 50권 9책 지정일 2018.02.22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7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옥*** 설명 『삼국사기』는 김부식(金富軾, 1075∼1151)이 1145년(고려 인종 23년)에 삼국시대의 역사를 기전체(紀傳體)로 편찬한 것이다.『삼국유사(三國遺事)』와 함께 삼국시대 연구의 기본사료로 인식되고 있다. 국보 제322-1호 『삼국사기』는 1573년(선조 6) 경주부(慶州府)에서 인출(印出)하여 옥산서원에 보내준 것으로, 고려시대에 처음 새긴 원판(原板)과 조선 태조 때에 개각(改刻)한 것, 중종 때 다시 개각한 것 등 3종의 판(板)이 종류별로 섞여 ..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忠州 淨土寺址 弘法國師塔)-Stupa of State Preceptor Hongbeop from Jeongtosa Temple Site, Chungju-국보 제102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11. 28. 16:02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忠州 淨土寺址 弘法國師塔) 국보 제102호 종목 국보 제 102호 명칭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忠州 淨土寺址 弘法國師塔)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 1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국유,국립중앙박물관 설명 고려 목종 때의 승려인 홍법국사의 탑으로, 충청북도 중원군(현 충주시)의 정토사 옛터에 있던 것을 1915년에 경복궁으로 옮겨 왔으며,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홍법국사는 통일신라 말부터 고려 초에 활약하였던 유명한 승려로서 당나라에서 수행하고 돌아와 선(禪)을 유행시켰으며, 고려 성종 때 대선사(大禪師)를 거쳐 목종 때 국사(國師)의 칭호..
-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軍威 阿彌陀如來三尊 石窟)-Grotto of Amitabha Buddha Triad, Gunwi- 국보 제109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10. 28. 16:11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軍威 阿彌陀如來三尊 石窟) 국보 제109호 종목 국보 제 109호 명칭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軍威 阿彌陀如來三尊 石窟)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 1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경북 군위군 부계면 남산리 1477번지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국유,군위군 설명 경상북도 군위군 팔공산 절벽의 자연동굴에 만들어진 통일신라 초기의 석굴사원으로,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경주 석굴암 석굴(국보 제24호)보다 연대가 앞선다. 이 석굴에는 700년경에 만들어진 삼존석불이 모셔져 있다. 가운데 본존불은 사각형의 대좌(臺座) 위에 양 발을 무릎 위에 올리고 발바닥이 위로 향한 자세로 앉아 있는 모습이다. 민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큼직한 머리(육계)가 있으며,..
-
천마총 관모 (天馬塚 金製冠帽)-국보 제189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10. 10. 12:27
천마총 관모 (天馬塚 金製冠帽) 국보 제189호 종목 국보 제 189호 명칭 천마총 관모 (天馬塚 金製冠帽) 분류 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장신구 수량 1구 지정일 1978.12.07 소재지 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 시대 신라 소유.관리 국유,국립경주박물관 설명 천마총에서 발견된 신라 때 내관으로 쓰였던 모자형 관이다. 천마총은 경주 고분 제155호 무덤으로 불리던 것을 1973년 발굴을 통해 금관, 팔찌 등 많은 유물과 함께 천마도가 발견되어 천마총이라 부르게 되었다. 금모(金帽)란 금으로 만든 관(冠) 안에 쓰는 모자의 일종으로 높이 16㎝, 너비 19㎝인 이 금모는 널 바깥 머리쪽에 있던 껴묻거리(부장품) 구덩이와 널 사이에서 발견되었다. 각각 모..
-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靑陽 長谷寺 鐵造藥師如來坐像 및 石造臺座)-국보 제58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7. 1. 20:03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靑陽 長谷寺 鐵造藥師如來坐像 및 石造臺座) 국보 제58호 종목 국보 제 58호 명칭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靑陽 長谷寺 鐵造藥師如來坐像 및 石造臺座) 분류 유물/불교조각/금속조/불상 수량 1구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충남 청양군 대치면 장곡길 241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장곡사 설명 충청남도 청양군 칠갑산에 자리잡은 장곡사 상대웅전(보물 제162호) 안에 모셔져 있는 철불좌상으로, 나무로 된 광배(光背)를 배경으로 거대한 사각형의 돌로 만든 대좌(臺座) 위에 높직하게 앉아 있다. 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아담하게 표현되어 있고, 얼굴은 둥글고 단아한 모습이다. 신체는 건장하고 당당한 편이지만 양감이 풍부하지 않고 ..
-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論山 灌燭寺 石造彌勒菩薩立像)-Stone Standing Maitreya Bodhisattva of Gwanchoksa Temple, Nonsan-국보 제323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6. 30. 19:42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論山 灌燭寺 石造彌勒菩薩立像) -국보 제323호 종목 국보 제 323호 명칭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論山 灌燭寺 石造彌勒菩薩立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수량 1구 지정일 2018.04.20 소재지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로1번길 25 (관촉동)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대*** 설명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고려 광종(光宗, 재위 949~975)의 명으로 968년경 승려 조각장 혜명(慧明)이 제작한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석불로서,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218호로 지정․관리되어 오다가, 이번에 고려시대 신앙과 불교조각사에 있어서의 위상을 재평가 받아 국보로 승격하게 되었다. 석불과 관련된 기록은 고려 말 승려 무외(無畏)가 쓴 「용화회소(龍華會䟽..
-
백자 철화포도원숭이문 항아리 (白磁 鐵畵葡萄猿文 壺)-국보 제93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6. 29. 13:08
백자 철화포도원숭이문 항아리 (白磁 鐵畵葡萄猿文 壺)-국보 제93호 종목국보 제 93호명칭백자 철화포도원숭이문 항아리 (白磁 鐵畵葡萄猿文 壺)분류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백자수량1개지정일1962.12.20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조선시대소유.관리국유,국립중앙박물관설명조선 후기 백자 항아리로 적당한 높이의 아가리에 어깨부분이 불룩하고 아래로 갈수록 서서히 좁아지는 모양이다. 크기는 높이 30.8㎝, 입지름 15㎝, 밑지름 16.4㎝이다. 직각으로 올라 선 아가리 둘레에도 무늬를 두르고 몸통에는 능숙한 솜씨로 포도 덩굴을 그려 넣었다. 검은색 안료를 사용하여 그린 포도 덩굴의 잎과 줄기의 생생한 표현으로 보아 도공(陶工)들이 그린 그림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