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국보
-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Gilt-bronze Seated Bhaisajyaguru Buddha of Janggoksa Temple, Cheongyang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2. 5. 26. 22:50
가. 국가지정문화재(국보) 지정 예고 : 총 1건 ㅇ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2022. 5. 3. 문 화 재 청 장 나. 국가지정문화재(국보) 확정 2022.06.03 문화재청장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금속조 / 불상 수량 1구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충남 청양군 대치면 장곡길 241, 장곡사 (장곡리) 시대 고려시대 소유자 장곡사 관리자 장곡사 문화재 설명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靑陽 長谷寺 金銅藥師如來坐像)은 충청남도 청양의 장곡사에 있는 상·하 2채의 대웅전 가운데 하대웅전에 모신 불상이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정수리 부분에 있는 상투 모양의 넙적한 머리(육계)는 구분이 잘 되지 않는다. 갸름한 타원형의 얼굴은 단정하고 우아하지만 ..
-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 (慶州 斷石山 神仙寺 磨崖佛像群)-Rock-carved Buddhas of Sinseonsa Temple in Danseoksan Mountain, Gyeongju-국보제199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2. 5. 15. 11:12
언제 가 볼 수 있으려나 했는데 마침 KBS 다큐인사이드로 방영되어 문화재를 볼 수 있었다. 살아 있어 다행이다. 마눌님하고 같이 오르기는 어려운 곳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 1군 지정일 1979.05.22 소재지 경북 경주시 건천읍 단석산길 175-143 (송선리) 시대 신라시대 소유자 국유 관리자 경주시 문화재 설명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단석산 중턱에 이르면 거대한 암벽이 ㄷ자 모양으로 높이 솟아 하나의 석실(石室)을 이루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여기에 인공적으로 지붕을 덮어서 석굴 법당을 만들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바위면에는 10구의 불상과 보살상이 새겨져 있어 장관을 이루고 있다. 동북쪽의 독립된 바위면에는 도드라지게 새긴 높이 8.2m의 여래입상이 1구 서 있다. 둥근 ..
-
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 (慶州 南山 七佛庵 磨崖佛像群)-Rock-carved Buddhas at Chilburam Hermitage in Namsan Mountain, Gyeongju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2. 5. 4. 18:27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 7구 지정일 2009.09.02 소재지 경북 경주시 남산동 산36-4번지 시대 통일신라시대 소유자 국유 관리자 경주시 가파른 산비탈을 평지로 만들기 위해서 동쪽과 북쪽으로 높이 4m 가량되는 돌축대를 쌓아 불단을 만들고 이 위에 사방불(四方佛)을 모셨으며, 1.74m의 간격을 두고 뒤쪽의 병풍바위에는 삼존불(三尊佛)을 새겼다. 삼존불은 중앙에 여래좌상을 두고 좌우에는 협시보살입상을 배치하였다. 화려한 연꽃위에 앉아 있는 본존불은 미소가 가득 담긴 양감있는 얼굴과 풍만하고 당당한 자세를 통해 자비로운 부처님의 힘을 드러내고 있다. 왼쪽 어깨에만 걸치고 있는 옷은 몸에 그대로 밀착되어 굴곡을 실감나게 표현하고 있다. 손은 오른손을 무릎 위에 올려 손끝이 땅을 향..
-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 (朝鮮王朝實錄 五臺山史庫本)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2. 1. 19. 08:53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 수량 75책 지정일 1973.12.31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 (세종로, 국립고궁박물관) 소유자 국유 관리자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 문화재 설명 『조선왕조실록』은 조선 태조에서부터 조선 철종 때까지 25대 472년간(1392∼1863)의 역사를 편년체(編年體: 역사적 사실을 일어난 순서대로 기술하는 역사서술의 한 방식)로 기록한 책이다. 오대산사고는 1606년(선조 39) 경에 설치되었다. 임진왜란으로 전주사고본을 제외한 나머지 실록들이 모두 소실되자 조선정부는 1603년(선조 36) 7월부터 1606년 3월까지 전주사고본을 바탕으로 태조부터 명종까지의 실록 4부를 재간행했다. 그리고 강화·태백산·묘향산·오대산 등지에 사고를 새로 건축하여 서울의 춘추관사..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原州 法泉寺址 智光國師塔碑)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1. 12. 6. 18:07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수량 1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강원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 산70번지 시대 고려시대 소유자 국유 관리자 원주시 개별안내판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原州 法泉寺址 智光國師塔碑 국보 제59호 탑비란 승려의 출생에서 사망까지의 행적을 기록한 것이다.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 탑비는 고려 선종 2년(1085)에 지광국사의 삶과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지광국사는 원주 출신으로 8살의 나이에 출가하여, 21세에 승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성종에서 문종에 이르는 다섯 왕을 거치면서 최고의 승려로 활약하였다. 역대 왕들은 자주 지광국사를 왕실로 초청해 말씀을 들었고, 임금과 함께 국왕의 수레인 어가를 타고 다녔다. 특히 문종은 지광국사를 스승으로 모시..
-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求禮 華嚴寺 木造毘盧遮那三身佛坐像)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1. 10. 10. 17:43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 불상 3구, 후령통 2건 일괄, 시주질 2건 지정일 2021.06.23 소재지 전라남도 구례군 시대 1635년(인조 13) 소유자 대*** 관리자 대***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은 화엄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으며, 1635년(인조 13) 조선 후기 유명 조각승인 청헌(淸軒, 淸憲)과 응원(應元), 인균(印均)을 비롯해 이들의 제자들이 협업해 완성한 17세기를 대표하는 불교조각이다. ‘삼신불’은 법신(法身) 비로자나불(毘盧舍那佛), 보신(報身) 노사나불(盧舍那佛), 화신(化身) 석가불(釋迦佛)을 말하며 화엄사상에 근원을 둔 도상으로서, 변상도나 사경(寫經), 불화에서는 많이 보이지만, 조각작품으로는 유일해 조선 후기 불교사상사와 조각사에서 빼놓을..
-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 (昌德宮 摛文院 測雨臺)-국보 제331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1. 3. 20. 08:54
Rain Gauge Pedestal of Imunwon hall 분류 유물 / 과학기술 / 천문지리기구 / 천문 수량 1점 지정(등록)일 2020.02.27 소재지 서울 종로구 효자로 12, 국립고궁박물관 (세종로,국립고궁박물관) 시대 조선 정조 소유자 국유 관리자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 국보 제331호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昌德宮 摛文院 測雨臺)’는 1782년(정조 6) 정조의 명에 의해 창덕궁 규장각의 부속 건물인 이문원(摛文院) 앞에 설치되었던 것으로, 이는 측우대 좌우 네 면에 새겨진 ‘측우기명(測雨器銘)’과 19세기 궁궐그림인 를 통해 확인된다. 에는 이문원 앞뜰에 받침돌 없이 놓인 것으로 그려진 측우대 한 기가 그려진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이다. 석재는 조선..
-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 (長谷寺 彌勒佛 掛佛幀)-국보 제300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1. 3. 7. 12:42
분류 유물 / 불교회화 / 괘불화 / 미륵불도 수량 1폭 지정(등록)일 1997.09.22 소재지 충남 청양군 대치면 장곡길 241, 장곡사 (장곡리) 시대 조선 현종 14년(1673) 소유자 장곡사 관리자 장곡사 용화수 가지를 들고 있는 미륵불을 그린 괘불이다. 괘불이란 야외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진행할 때 법당 앞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던 대형 불교그림을 말한다. 장곡사에 있는 이 그림은 가로 5.99m, 세로 8.69m로 미륵불을 화면 중심에 두고 6대 여래, 6대 보살 등 여러 인물들로 화면을 가득 채우고 있다. 인간세계에 내려와 중생을 구제한다는 부처인 미륵불은 사각형의 얼굴에 머리에 4구의 작은 불상이 있는 화려한 보관을 쓰고, 풍만하고 살찐 모습으로 유난히 긴 팔과 커다란 상체를 가지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