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국보
-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申潤福筆 風俗圖 畵帖)-국보제135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9. 8. 27. 12:21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申潤福筆 風俗圖 畵帖) -국보제135호 종목 국보 제135호 명칭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申潤福筆 風俗圖 畵帖) 분류 유물 / 일반회화 / 풍속화 / 풍속화 수량 1첩(30면) 지정일 1970.12.30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전*** 간*** 설명 조선 후기의 화가인 혜원 신윤복(1758∼?)이 그린 , 등 연작 풍속화 30여 점이 들어 있는 화첩으로 각 면 가로 28㎝, 세로 35㎝이다. 아버지 신한평의 뒤를 이어 한때 도화서의 화원이기도 하였던 신윤복은 참신한 색채가 돋보이는 산수화 작품을 남기기도 하였지만, 특히 풍속화에서 그만의 독특한 경지를 나타내고 있다. 신윤복필 은 주로 한량과 기녀를 중심으로 한 남녀 간의 애정과 낭만, 양반사회의 풍류를 다루..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Gilt-bronze Pensive Maitreya Bodhisattva(1962-1)-국보 제78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9. 7. 2. 12:35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국보 제78호 종목국보 제78호 명칭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분류유물 / 불교조각 / 금속조 / 불상수량1구지정일1962.12.20소재지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삼국시대소유.관리국유,국립중앙박물관설명의자 위에 앉아 오른발을 왼쪽다리 위에 올려 놓고, 오른쪽 팔꿈치를 무릎 위에 올린 채 손가락을 뺨에 댄 모습의 보살상으로 높이는 80㎝이다. 1912년에 일본인이 입수하여 조선총독부에 기증했던 것을 1916년 총독부박물관으로 옮겨 놓았고,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다. 머리에는 화려한 관(冠)을 쓰고 있으며, 여기에서 나온 2가닥의 장식은 좌우로 어깨까지 늘어져 있다. 네모꼴에 가까..
-
영양 산해리 오층모전석탑 (英陽 山海里 五層模塼石塔)-Five-story Stone Brick Pagoda in Sanhae-ri, Yeongyang-국보 제187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9. 7. 1. 15:11
영양 산해리 오층모전석탑 (英陽 山海里 五層模塼石塔) -국보 제187호 종목 국보 제187호 명칭 영양 산해리 오층모전석탑 (英陽 山海里 五層模塼石塔)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 1기 지정일 1977.08.22 소재지 경북 영양군 입암면 산해리 391-6번지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국유,영양군 설명 경북 영양군 입암면 산해리 강가의 밭 가운데에 서 있는 탑으로, 이 마을을 ‘봉감(鳳甘)’이라고 부르기도 하여 ‘봉감탑’이라 이름붙여졌었다. 석탑 주변의 논밭에 기와조각과 청자조각이 많이 흩어져 있어, 이 일대가 절터였음을 알수 있다. 탑은 벽돌 모양으로 돌을 다듬어 쌓아올린 모전석탑(模塼石塔)으로, 1단의 기단(基壇)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흙과 돌을 섞어 ..
-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 (奉化 北枝里 磨崖如來坐像)-국보 제201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9. 7. 1. 14:37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 (奉化 北枝里 磨崖如來坐像) 국보 제201호 종목 국보 제201호 명칭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 (奉化 北枝里 磨崖如來坐像)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 1구 지정일 1980.09.16 소재지 경북 봉화군 물야면 북지리 산108-2번지 시대 신라 소유.관리 국유,봉화군 설명 경상북도 봉화군 북지리에는 신라시대의 ‘한절’이라는 대사찰이 있었고, 부근에 27개의 사찰이 있어 500여 명의 승려들이 수도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 작품은 자연암벽을 파서 불상이 들어앉을 거대한 방모양의 공간을 만들고, 그 안에 높이 4.3m의 마애불을 매우 도드라지게 새긴 것이다. 넓고 큼직한 얼굴은 양감이 풍부하며 전면에 미소를 머금고 있어서 박진감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어깨..
-
안향 초상 (安珦 肖像)-국보 제111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9. 6. 27. 14:20
안향 초상 (安珦 肖像) 국보 제111호 종목 국보 제111호 명칭 안향 초상 (安珦 肖像) 분류 유물 / 일반회화 / 인물화 / 초상화 수량 1폭(幅)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경상북도 영주시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소수서원 설명 고려 중기 문신인 회헌 안향(1243∼1306) 선생의 초상화로 가로 29㎝, 세로 37㎝의 반신상이다. 안향은 고려 원종 1년(1260)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하였으며, 여러 차례에 걸쳐 원나라에 다녀오면서 주자학을 우리나라에 보급한 인물로 우리나라 최초의 주자학자라고 할 수 있다. 그림의 화면은 상하로 2등분되어 위에는 글이 쓰여 있고 아래에는 선생의 인물상이 그려져 있다. 머리에 평정건(平頂巾)을 쓰고 왼쪽을 바라보며 붉은 선으로 얼굴의 윤곽을 나타내었..
-
백제 최고(最古)의 마애불상-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 (泰安 東門里 磨崖三尊佛立像)-국보 제307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9. 1. 12. 19:27
백제 최고(最古)의 마애불상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 (泰安 東門里 磨崖三尊佛立像) 국보 제307호 종목 국보 제307호 명칭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 (泰安 東門里 磨崖三尊佛立像)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 1좌(3구) 지정일 2004.08.31 소재지 충청남도 태안군 태안읍 동문리 산 5 시대 삼국시대 소유.관리 국유,태안군 설명 우리나라 마애불상의 초기 예로 부채꼴 바위 면에 사각형 감실을 마련하여 중앙에 보살상을 두고 좌우에 불상을 배치해 놓음으로써, 1구의 불상과 2구의 보살상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삼존불상과 달리 2구의 불입상과 1구의 보살입상이 한 조를 이루는 특이한 삼존불상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2구의 불입상은 양감 풍부한 얼굴에 크게 번지는 미소, 넓게 벌어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