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emory-of-the-World -훈민정음 (訓民正音)-국보제70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9. 8. 27. 17:46
훈민정음 (訓民正音)-국보제70호
The Proper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
종목 국보 제70호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관판본 수량 1책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전*** 간*** 설명
이 책은 새로 창제된 훈민정음을 왕의 명령으로 정인지 등 집현전 학사들이 중심이 되어 세종 28년(1446)에 만든 한문해설서이다. 책이름을 글자이름인 훈민정음과 똑같이 ‘훈민정음’이라고도 하고, 해례가 붙어 있어서 ‘훈민정음 해례본’또는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한다. 전권 33장 1책의 목판본이나, 앞 2장은 1940년경에 복원된 부분이다.
구성을 보면 총 33장 3부로 나누어, 제1부는 훈민정음의 본문을 4장 7면으로 하여 면마다 7행 11자씩, 제2부는 훈민정음해례를 26장 51면 3행으로 하여 면마다 8행 13자씩, 제3부는 정인지의 서문을 3장 6면에 1자 내려싣고, 그 끝에 ‘정통 11년’(1446)이라 명시하고 있다.
『세종실록』에 의하면 훈민정음은 세종 25년(1443)에 왕이 직접 만들었으며, 세종 28년(1446)에 반포한 것으로 되어있는데, 이 책에서 서문과 함께 정인지가 근작(謹作)하였다는 해례를 비로소 알게 되었다. 또한 한글의 제작원리도 확연하게 드러났다.언제 볼 수 있으려나
하던 차
KBS가
2019.08.25.09:40부터
KBS 1TV '역사저널 그날'에서 일제강점기, 국외로 약탈당할 위기에 놓인 문화재들을 지켜내며 문화 보국 운동에 힘썼던 간송 전형필의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열심히 지켜보았다.
간송미술관을 가보고 싶었지만 기회가 오지 않았다.
1936년 11월, 경성의 한 경매장. 젊은 조선인 남성과 세계적인 일본인 골동품상 야마나카가 조선백자를 놓고 치열한 경합을 벌인다. 백자의 가격은 당시 경매 최고가를 경신한 상태. ‘1만4천5백8십원!’ 마침내, 조선인의 입에서 당대로선 상상도 할 수 없는 가격이 불리는데... 기와집 14채와 맞먹는 돈을 주고 조선백자를 지킨 인물, 그는 바로 조선의 ‘문화 독립운동가’ 간송 전형필이다. 조선의 손꼽히는 부잣집에서 태어난 간송 전형필. 나라를 팔아 땅을 산 친일파 이완용과는 달리 전형필은 사비를 들여 문화재 수집에 나선다. 스승이었던 춘곡 고희동과 위창 오세창의 영향을 받은 그는 문화재를 지키는 일이 일제로부터 우리 민족정신을 보전하는 일이라 판단하고, 국외 반출 위기의 문화재 수장과 이미 반출된 문화재들을 되찾아 오는 일에 총력을 기울인다. 그 대표적인 일화가 바로 일본에서 활동 중이던 영국인 변호사 존 개스비의 고려청자 컬렉션을 되찾아 온 일! 당시 최고의 고려청자 컬렉션으로 유명했떤 개스비의 고려청자 20점을 사오기 위해 간송이 투자한 비용은 당시 경성의 기와집 400채 값. 개스비 컬렉션 일화를 비롯한 그의 흥미진진한 문화재 수장 비하인드 스토리가 '역사저널 그날'에서 공개되었다.간송이 개인의 재산을 들여 우리나라에 남아있을 수 있었던 문화재 4천여 점. 그 중 간송 미술관이 자랑하는 ‘간송 컬렉션’ 12선을 소개했다.
그 방송에서
국보 제70호 끝 부분에서 훈민정음 (訓民正音)도 소개되었다.
Category:Hunminjeongeum - Wikimedia Commons
훈민정음 -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wikisource.org)
세계기록유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훈민정음(해례본) 1977 대한민국 간송미술관 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錄] 1977 정족산본, 오대산본·상편 : 서울대학교 규장각 ,태백산본 : 국가기록원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2001 서울대학교 규장각 『불조직지심체요절』 하권-佛祖直指心體要節 (下卷) 2001 프랑스 국립도서관(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조선왕조 『의궤(儀軌)』 2007 규장각(奎章閣), 장서각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高麗大藏經板-諸經板) 2007 해인사(海印寺) 동의보감(東醫寶鑑) 2009 국립중앙도서관장 등 4곳 일성록(日省錄) 2011 서울대학교 규장각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록물 2011 국가기록원, 광주광역시, 육군본부, 5·18기념재단, 국회도서관, 미국 국무성, 국방부국가기관이 생산한 5·18민주화운동 자료:국가기록원, 광주광역시 소장군사법기관재판자료, 김대중내란음모사건자료:육군본부 소장
시민들이 생산한 성명서, 선언문, 취재수첩, 일기:광주광역시 소장
흑백필름, 사진:광주광역시, 5·18기념재단 소장
시민들의 기록과 증언:5·18기념재단 소장
피해자들의 병원치료기록:광주광역시 소장
국회의 5·18광주민주화운동 진상규명회의록:국회도서관 소장
국가의 피해자 보상자료:광주광역시 소장
미국의 5·18 관련 비밀해제 문서:미국 국무성, 국방부 소장난중일기(亂中日記)』: 이순신 장군의 진중일기(陣中日記) 2013 현충사(顯忠祠) 새마을운동 기록물 2013 국가기록원(國家記錄院), 새마을운동중앙회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2015 KBS 한국의 유교책판(儒敎冊版) 2015 한국국학진흥원(韓國國學振興院)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 – 17세기~19세기 한일 간 평화구축과 문화교류의 역사 2017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국립중앙도서관, 국사편찬위원회 외 25곳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2017 국립고궁박물관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2017 한국금융사박물관, 국사편찬위원회, 국가기록원, 독립기념관, 국립고궁박물관,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한국연구원,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고려대도서관, 연세대 학술정보원 등 세계기록유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https://youtu.be/Vv-6fJRTRTU?t=1178
'문화재 > 내가 본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 (海南 大興寺 北彌勒庵 磨崖如來坐像)-국보 제308호 (0) 2019.09.14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白磁 靑畵鐵彩銅彩草蟲文 甁)-국보제294호 (0) 2019.08.28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靑磁 母子猿形 硯滴)-Celadon Water Dropper in the Shape of Mother and Baby Monkeys-국보 제270호 (0) 2019.08.27 청자 오리모양 연적 (靑磁 鴨形 硯滴)-국보제74호 (0) 2019.08.27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靑磁 象嵌雲鶴文 梅甁)-국보제68호 (0) 2019.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