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국보
-
부석사 조사당 벽화 (浮石寺 祖師堂 壁畵)-Mural Painting in Josadang Shrine of Buseoksa Temple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3. 10. 26. 10:10
분류 유물 / 불교회화 / 벽화 / 토벽화 수량 6면(부석사 성보박물관 내 보관 중)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9 부석사 시대 고려 말기 소유 부석사 관리 부석사 문화재 설명 이 벽화는 부석사를 창건하고 우리나라에서 화엄종을 처음 시작한 의상대사를 모시고 있는 부석사 조사당(국보) 안쪽 벽면에 사천왕과 제석천, 범천을 6폭으로 나누어 그린 그림이다. 현재는 일제강점기에 해체 분리된 벽화를 별도로 보관하고 있다. 흙벽 위에 녹색으로 바탕을 칠하고 붉은색·백색·금색 등으로 채색하였으며, 각각의 크기는 길이 205㎝, 폭 75㎝ 가량이다. 양쪽의 두 천부상은 우아한 귀족풍으로 양감이 풍만하며, 가운데 사천왕은 악귀를 밟고 서서 무섭게 노려 보는 건장한 모습이다. 훼손된 ..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河東 雙磎寺 眞鑑禪師塔碑)-Stele of Master Jingam at Ssanggyesa Temple, Hadong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3. 10. 23. 19:40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수량 1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경남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길 59, 쌍계사 (운수리) 시대 통일신라 정강왕2년(888) 소유 쌍계사 관리 쌍계사 문화재 설명 통일신라 후기의 유명한 승려인 진감선사의 탑비이다. 진감선사(774∼850)는 불교 음악인 범패를 도입하여 널리 대중화시킨 인물로, 애장왕 5년(804)에 당나라에 유학하여 승려가 되었으며, 흥덕왕 5년(830)에 귀국하여 높은 도덕과 법력으로 당시 왕들의 우러름을 받다가 77세의 나이로 쌍계사에서 입적하였다. 비는 몸돌에 손상을 입긴 하였으나, 아래로는 거북받침돌을, 위로는 머릿돌을 고루 갖추고 있는 모습이다. 통일신라 후기의 탑비양식에 따라 거북받침돌은 머리가 용머리로 꾸며져 있으며, 등에..
-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 (泰安 東門里 磨崖三尊佛立像)-Rock-carved Standing Buddha Triad in Dongmun-ri, Taean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3. 3. 17. 10:57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 1좌(3구) 지정일 2004.08.31 소재지 충청남도 태안군 태안읍 동문리 산 5 시대 삼국시대(6세기 말∼7세기 초) 소유자 국유 관리자 태안군 문화재 설명 우리나라 마애불상의 초기 예로 부채꼴 바위 면에 사각형 감실을 마련하여 중앙에 보살상을 두고 좌우에 불상을 배치해 놓음으로써, 1구의 불상과 2구의 보살상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삼존불상과 달리 2구의 불입상과 1구의 보살입상이 한 조를 이루는 특이한 삼존불상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2구의 불입상은 양감 풍부한 얼굴에 크게 번지는 미소, 넓게 벌어진 당당한 어깨와 장대한 체구, U자형 주름과 y형 내의가 보이는 착의법, 도톰한 듯 날카로운 대좌의 연꽃무늬 등 세부적으로는 거의 동일한 양식 특징을 보인..
-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益山 彌勒寺址 西塔 出土 舍利莊嚴具)-The Sarira Reliquaries of the West Pagoda at the Mireuksa Temple Site, Iksan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2. 11. 18. 16:39
분류 유물 / 불교공예 / 사리장치 수량 총9점(사리외호 1점, 사리내호 1점, 사리봉영기 1점, 청동합 6점) 지정일 2022.12.0 소재지 전라북도 익산시 미륵사지로 362 (금마면, 국립미륵사지유물전시관) 시대 639년(무왕 40) 경 소유자 국유 관리자 국립익산박물관 문화재 설명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는 2009년 익산 미륵사지 서탑 심주석(心柱石)의 사리공(舍利孔) 및 기단부에서 출토된 유물로서, 639년(무왕 40) 절대연대를 기록한 금제사리봉영기(金製舍利奉迎記)와 함께 금동제 사리외호(金銅製舍利外壺), 금제사리내호(金製舍利內壺)를 비롯해 각종 구슬 및 공양품을 담은 청동합 6점으로 구성되었다. ‘금동제 사리외호 및 금제사리내호’는 모두 동체의 허리 부분을 돌려 여는 구조로서..
-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2. 9. 16. 14:11
⊙문화재청공고 제2022-310호 문화재보호법 시행령 제11조 제4항의 규정에 따라 국가지정문화재(국보ㆍ보물) 지정 가치가 있다고 평가된 총 11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예고합니다. 2022. 9. 1. 문 화 재 청 장 1. 공 고 명 : 국가지정문화재(국보ㆍ보물) 지정 및 해제 예고 2. 공고사항 가. 국가지정문화재(국보) 지정 예고 : 총 2건 1) (보물)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2) (보물)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문화재 들어있나…해인사 불상 X-레이 찍어봤더니 / SBS https://youtu.be/SwKLCOewVqo [BBS뉴스] 국내 최고 목불 '해인사 쌍둥이 비로자나불' 국보 된다 https://youtu.be/tPtD3C82xGs..
-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2. 9. 16. 14:09
⊙문화재청공고 제2022-310호 문화재보호법 시행령 제11조 제4항의 규정에 따라 국가지정문화재(국보ㆍ보물) 지정 가치가 있다고 평가된 총 11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예고합니다. 2022. 9. 1. 문 화 재 청 장 1. 공 고 명 : 국가지정문화재(국보ㆍ보물) 지정 및 해제 예고 2. 공고사항 가. 국가지정문화재(국보) 지정 예고 : 총 2건 1) (보물)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2) (보물)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문화재 들어있나…해인사 불상 X-레이 찍어봤더니 / SBS https://youtu.be/SwKLCOewVqo [BBS뉴스] 국내 최고 목불 '해인사 쌍둥이 비로자나불' 국보 된다 https://youtu.be/tPtD3C82xGs..
-
김정희 필 세한도 (金正喜 筆 歲寒圖)-Sehando (Winter Scene) by Kim Jeong-hui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2. 9. 8. 15:30
분류 유물 / 일반회화 / 산수화 수량 1축 지정일 1974.12.31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조선 헌종 10년(1844) 소유 국유 관리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 설명 추사 김정희(1786∼1856)는 실학자로 청나라 고증학의 영향을 받아 금석학을 연구하였으며 뛰어난 예술가로 추사체를 만들었고 문인화의 대가였다. 이 작품은 김정희의 대표작으로 가로 69.2㎝, 세로 23㎝의 크기이다. 이 그림은 그가 1844년 제주도에서 귀양살이를 하고 있을 때 그린 것으로 그림의 끝부분에는 자신이 직접 쓴 글이 있다. 이 글에서는 사제간의 의리를 잊지 않고 북경으로부터 귀한 책들을 구해다 준 제자 이상적의 인품을 소나무와 잣나무에 비유하며 답례로 그려 준 것임을 밝히..
-
정선 필 인왕제색도 (鄭敾 筆 仁王霽色圖)Inwang jesaekdo (Scene of Inwangsan Mountain After Rain) by Jeong Seon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2. 8. 25. 11:37
정선필 인왕제색도 분류 유물 / 일반회화 / 산수화 수량 1축 지정일 1984.08.06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조선 영조 27년(1751) 소유자 국*** 관리자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 설명 조선 후기 화가인 겸재 정선(1676∼1759)이 비온 뒤의 인왕산 모습을 그린 그림으로 크기는 가로 138.2㎝, 세로 79.2㎝이다. 직접 인왕산을 보고 그렸는데, 비온 뒤 안개가 피어오르는 인상적 순간을 포착하여 그 느낌을 잘 표현하였다. 산 아래에는 나무와 숲, 그리고 자욱한 안개를 표현하고 위쪽으로 인왕산의 바위를 가득 배치하였다. 산 아래는 위에서 내려다보는 시선으로 그리고, 산 위쪽은 멀리서 위로 쳐다보는 시선으로 그려 바로 앞에서 바라보는 듯한 생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