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국보
-
기사계첩 및 함 (耆社契帖및 函)-국보 제334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1. 3. 5. 15:19
분류 유물 / 일반회화 / 풍속화 수량 화첩 1첩, 내함 1점, 호갑 1점, 외궤 1점 지정(등록)일 2020.12.22 소재지 충청남도 아산시 시대 1719∼1720년(숙종 45∼숙종 46) 소유자 홍*** ‘기사계첩’은 1719년(숙종 45) 59세가 된 숙종이 태조 이성계의 전례를 따라 기로소(耆老所)에 들어 간 것을 기념해 기로소에서 주관한 계첩(契帖)으로, 18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궁중기록화이다. 기로 소는 70세 이상, 정2품 이상 직책을 가진 노년의 문관(文官)들을 우대하던 기관이다. 행사는 1719년에 실시되었으나 계첩은 초상화를 그리는데 오랜 시간이 걸려 1720년(숙종 46)에 완 성되었다. ‘기사계첩’은 기로신들에게 나눠줄 11첩과 기로소에 보관할 1첩을 포함해 총 12첩이 제작 되었..
-
갑사 삼신불 괘불탱 (甲寺 三身佛 掛佛幀)-국보 제298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1. 2. 16. 11:27
분류 유물 / 불교회화 / 괘불화 / 삼신불도 수량 1폭 지정(등록)일 1997.09.22 소재지 충남 공주시 계룡면 갑사로 567-3 갑사 시대 조선 효종 원년(1650) 소유자 갑사 관리자 갑사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석가와 노사나불 등 삼신불이 진리를 설법하고 있는 장면을 그린 괘불이다.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던 대형 불교그림을 말한다. 이 그림은 길이 12.47m, 폭 9.48m의 크기로 전체적으로 상·중·하 3단 구도를 이루고 있다. 맨 윗부분에는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상, 제자상, 금강역사상 등이 배치되어 있고, 가운데에는 비로자나불, 석가, 노사나불 등 삼신불이 묘사되어 있고, 맨 아래에는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상, 사천왕상, 사리불 등이 있..
-
안심사 영산회 괘불탱 (安心寺 靈山會 掛佛幀)-국보 제297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1. 2. 14. 06:08
분류 유물 / 불교회화 / 괘불화 / 석가불도 수량 1폭 지정(등록)일 1997.09.22 소재지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사동길 169-28 (남이면, 안심사) 시대 조선 효종 3년(1652) 소유자 안심사 관리자 안심사 석가불이 영취산에서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한 영산회상을 그린 괘불이다.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대형 불교그림이다. 안심사에 있는 이 괘불은 길이 7.26m, 폭 4.72m의 크기로, 본존인 석가불을 중심으로,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비롯하여 설법을 듣기 위해 모여든 여러 무리들과 석가를 호위하는 사천왕상 등이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석가불은 오른쪽 어깨가 드러나는 우견편단을 걸치고 손가락을 땅으로 향하게 하여 마귀를 물리치는 의..
-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 (慶州 天馬塚 障泥 天馬圖)-Jangni cheonmado (Painting of Heavenly Horse on a Saddle Flap) from Cheonmachong Tomb, Gyeongju-국보 제207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0. 12. 31. 17:58
분류 유물 / 일반회화 / 영모화조화 / 동물화 수량 2점 지정(등록)일 1982.11.16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일정로 186-0 (인왕동, 국립경주박물관) 시대 신라시대(5세기) 소유자 국유 관리자 국립경주박물관 경주 천마총 는 말의 안장 양쪽에 달아 늘어뜨리는 장니에 그려진 말(천마)그림이다. 가로 75㎝, 세로 53㎝, 두께는 약 6㎜로 1973년 경주 황남동고분 155호분(천마총)에서 발견되었다. 천마도가 그려져 있는 채화판은 자작나무껍질을 여러 겹 겹치고 맨 위에 고운 껍질로 누빈 후, 가장자리에 가죽을 대어 만든 것이다. 중앙에는 흰색으로 천마가 그려져 있으며, 테두리는 흰색·붉은색·갈색·검정색의 덩굴무늬로 장식되어 있다. 천마는 꼬리를 세우고 하늘을 달리는 모습으로, 다리 앞뒤에 고리모양..
-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 (陜川 海印寺 乾漆希朗大師坐像)-국보 제333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0. 12. 26. 15:26
분류 유물 / 불교조각 수량 1구 지정(등록)일 2020.10.21 소재지 경상남도 합천군 시대 고려시대 소유자 대*** 관리자 해*** 국보 333호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은 신라 말∼고려 초에 활동한 승려인 희랑대사(希朗大師, 10세기)의 모습을 조각한 것이다.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유일한 초상조각[祖師像;僧像]으로서, 고려 10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유사한 시기 중국과 일본에서는 고승(高僧)의 모습을 조각한 조사상을 많이 제작했으나, 우리나라에는 유례가 거의 전하지 않으며 이 작품이 실제 생존했던 고승의 모습을 재현한 유일한 조각품으로 남아 있다. 희랑대사는 화엄학(華嚴學)에 조예가 깊었던 학승(學僧)으로, 해인사의 희랑대(希朗臺)에 머물며 수도에 정진했다고 전하며 태조 왕건(..
-
문경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聞慶 大乘寺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국보 제321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0. 11. 20. 15:18
국보 제321호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1점 지정(등록)일 2017.08.31 소 재 지 경상북도 문경시 대승사길 283 (산북면, 대승사) 시대 조선시대(숙종 1) 소유자(소유단체) 대한불교조계종 대승사 관리자(관리단체) 대한불교조계종 대승사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은 후불탱화 형식을 조각으로 표현한 목각탱으로 총 10매의 판목을 조합하여 아미타극락세계를 장엄하게 표현하였다. 화면의 중앙에 자리 잡은 본존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주변에 보살 및 제자, 천왕상 등 24구의 존상을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정연하게 배치하였다. 각 존상 및 모티프에는 이름을 적어 목각아미타설법상 도상의 이해도를 높였다. 이 곳에 등장하는 도상은 기본적으로『관무량수경』과「근수정업왕생첩경변상도」를 융..
-
예천 용문사 대장전과 윤장대 (醴泉 龍門寺 大藏殿과 輪藏臺)-국보 제328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0. 7. 4. 11:33
국보 제328호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 대장전 1동/윤장대 2좌 지정일 2019.12.02 소재지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사길 285-30 (용문면, 용문사) 시대 대장전(조선시대), 윤장대(고려시대) 소유자 용문사 관리자 용문사 ㅇ 예천 용문사는 신라 경문왕대 두운선사(杜雲禪師)가 당나라에서 돌아와 초암을 짓고 정진한데서부터 비롯되었으며, 후삼국 쟁탈기에 왕건과 관계를 맺으며 사찰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ㅇ 대장전과 윤장대는 고려 명종 3년(1173년) 국난(김보당의 난) 극복을 위해 조응대선사(祖膺大禪師)가 발원하고 조성한 것으로, 고대 건축물로는 매우 드물게 발원자와 건립시기, 건립목적이 분명하게(重修龍門寺記/1185년) 드러나 있다. 대장전과 윤장대는 초창 이래 여러..
-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 (大邱 慶尙監營 測雨臺)-국보 제330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0. 7. 3. 09:49
국보 제330호 분류 유물 / 과학기술 / 천문지리기구 / 천문 수량 1점 지정일 2020.02.27 소재지 서울특별시 동작구 시대 조선 영조 소유자 국유 관리자 기상청 국보 제330호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大邱 慶尙監營 測雨臺)’는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높이 46cm의 장방형 석재로, 원래 대구감영(大邱監營)에 설치되어 있었다. 전면에 ‘측우대, 건륭 경인년 5월에 만듦(測雨臺, 乾隆庚寅五月造)’이라고 새겨진 명문을 통해 1770년(영조 46)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제강점기 일본인 기상학자였던 와다 유지[和田雄治]의 기록을 따르면, 이 측우대는 경상감영 선화당(宣化堂)의 뜰에 있다가 총독부관측소로 옮겨졌다고 하며, 지금은 기상청이 소장하고 있다. 조선 15세기 측우기와 측우대 제도는 임진왜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