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국보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保寧 聖住寺址 郎慧和尙塔碑)-국보 제8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8. 8. 23:43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保寧 聖住寺址 郎慧和尙塔碑)-국보 제8호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保寧 聖住寺址 郎慧和尙塔碑) 종목 국보 제8호 명칭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保寧 聖住寺址 郎慧和尙塔碑)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 1 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8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국유,부여군 설명 성주사터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 낭혜화상 무염(無染)의 탑비이다. 낭혜화상은 무열왕의 8세손으로 애장왕 2년(801)에 태어나 열세 살 되던 해에 출가, 헌덕왕 13년(821)에 당나라로 유학하여 수도를 통해 깨달음을 얻게 되었고 문성왕 7년(845)에 귀국하여 당시 웅천(지금의 보령)에 있던 오합사(烏合寺)의 주지가 되었다. 이 ..
-
world cultural heritage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扶餘 定林寺址 五層石塔)-Five-story Stone Pagoda at Jeongnimsa Temple Site, Buyeo-국보 제9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8. 8. 20:29
World Cultural Heritage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扶餘 定林寺址 五層石塔)-국보 제9호 World Cultural Heritage 백제역사유적지구 [Baekje Historic Areas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扶餘 定林寺址 五層石塔) 종목 국보 제9호 명칭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扶餘 定林寺址 五層石塔)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 1 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54 시대 백제 소유.관리 국유,부여군 설명 부여 정림사터에 세워져 있는 석탑으로, 좁고 낮은 1단의 기단(基壇)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신라와의 연합군으로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백제를 정벌한 기념탑’이라는 뜻의 글귀를 이 탑에..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瑞山 龍賢里 磨崖如來三尊像)-Rock-carved Buddha Triad in Yonghyeon-ri, Seosan-국보 제84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8. 6. 22:29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瑞山 龍賢里 磨崖如來三尊像)-국보 제84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瑞山 龍賢里 磨崖如來三尊像) 종목 국보 제84호 명칭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瑞山 龍賢里 磨崖如來三尊像) 분류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량 3 구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2-10 시대 백제시대 소유.관리 국유,서산시 설명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가야산 계곡을 따라 들어가면 층암절벽에 거대한 여래입상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보살입상, 왼쪽에는 반가사유상이 조각되어 있다. 흔히 ‘백제의 미소’로 널리 알려진 이 마애불은 암벽을 조금 파고 들어가 불상을 조각하여 형성되었다. 연꽃잎을 새긴 대좌(臺座) 위에 서 있는 여래입상은 살이 많이 오른 얼굴에 반원형의 눈썹..
-
예산 수덕사 대웅전 (禮山 修德寺 大雄殿)-Daeungjeon Hall of Sudeoksa Temple, Yesan- 국보 제49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7. 29. 23:43
예산 수덕사 대웅전 (禮山 修德寺 大雄殿)-국보 제49호 예산 수덕사 대웅전 (禮山 修德寺 大雄殿) 종목국보 제49호명칭예산 수덕사 대웅전 (禮山 修德寺 大雄殿) 분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1 동지정일1962.12.20소재지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2길 79, 수덕사 (사천리) 시대고려시대소유.관리수덕사설명수덕사는 덕숭산에 자리잡고 있는 절로, 절에 남겨진 기록에는 백제 후기 숭제법사가 처음 짓고 고려 공민왕 때 나옹이 다시 고친 것으로 기록되어 있고, 또 다른 기록에는 백제 법왕 1년(599)에 지명법사가 짓고 원효가 다시 고쳤다고도 전한다. 석가모니불상을 모셔 놓은 대웅전은 고려 충렬왕 34년(1308)에 지은 건물로, 지은 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우리 나라에서 가장..
-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天安 奉先弘慶寺 碣記碑)-국보 제7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7. 28. 23:00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天安 奉先弘慶寺 碣記碑)-국보 제7호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天安 奉先弘慶寺 碣記碑) 종목 국보 제7호 명칭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天安 奉先弘慶寺 碣記碑)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 1 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대홍3길 77-48 (대홍리)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국유,천안시 설명 봉선홍경사는 고려 현종 12년(1021)에 창건된 절이다. 절이름 앞의 ‘봉선(奉先)’은 불교의 교리를 전하고자 절을 짓기 시작한 고려 안종(安宗)이 그 완성을 보지 못하고 목숨을 다하자, 아들인 현종(顯宗)이 절을 완성한 후 아버지의 뜻을 받든다는 의미로 붙인 이름이다. 현재 절터에는 절의 창건에 관한 기록을 담은 비석만이 남아 있다...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忠州 靑龍寺址 普覺國師塔)-국보 제197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7. 22. 18:10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忠州 靑龍寺址 普覺國師塔)-국보 제197호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忠州 靑龍寺址 普覺國師塔) 종목 국보 제197호 명칭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忠州 靑龍寺址 普覺國師塔)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 1 기 지정일 1979.05.22 소재지 충북 충주시 소태면 오량리 산32-2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국유,충주시 설명 청계산 중턱의 청룡사에 자리한 탑으로, 보각국사의 사리를 모셔놓았다. 보각국사(1320∼1392)는 고려 후기의 승려로, 12세에 어머니의 권유로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으며, 이후 불교의 경전을 두루 연구하여 높은 명성을 떨쳤다. 특히 계율을 굳게 지키고 도를 지킴에 조심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도 능하였다. 조선 태조 원년(1392)에 73..
-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淸州 龍頭寺址 鐵幢竿)-Iron Flagpole at Yongdusa Temple Site, Cheongju- 국보 제41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7. 22. 16:05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淸州 龍頭寺址 鐵幢竿)-국보 제41호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淸州 龍頭寺址 鐵幢竿) 종목 국보 제41호 명칭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淸州 龍頭寺址 鐵幢竿)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당간 수량 1 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충북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 48-19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국유,청주시 설명 절에 행사가 있을 때, 그 입구에는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이를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당간이 서 있는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는 예전에 용두사라는 절이 자리잡고 있던 곳이다. 용두사는 고려 광종 13년(962)에 창건되었으나 고려말의 잦은 전쟁과 난으로 인해 폐허가 되었고, 절이 있던 ..
-
보은 법주사 석련지 (報恩 法住寺 石蓮池)-국보 제64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7. 17. 00:41
보은 법주사 석련지 (報恩 法住寺 石蓮池)-국보 제64호 보은 법주사 석련지 (報恩 法住寺 石蓮池) 종목 국보 제64호 명칭 보은 법주사 석련지 (報恩 法住寺 石蓮池)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기타 수량 1 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79, 법주사 (사내리)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법주사 설명 법주사 천왕문을 들어서면 동쪽에 위치한 돌로 만든 작은 연못으로, 연꽃을 띄워 두었다고 한다. 불교에서의 연꽃은 극락세계를 뜻하여 사찰 곳곳에서 이를 본뜬 여러 형상들을 만날 수 있다. 석련지는 8각의 받침돌 위에 버섯 모양의 구름무늬를 새긴 사잇돌을 끼워서 큼지막한 몸돌을 떠받치고 있는 모습이다. 몸돌은 커다란 돌의 내부를 깎아 만들었는데, 반쯤 피어난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