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국보
-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報恩 法住寺 雙獅子 石燈)-국보 제5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7. 17. 00:23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報恩 法住寺 雙獅子 石燈)-국보 제5호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報恩 法住寺 雙獅子 石燈) 종목 국보 제5호 명칭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報恩 法住寺 雙獅子 石燈)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석등 수량 1 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79, 법주사 (사내리)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법주사 설명 법주사 대웅전과 팔상전 사이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등으로, 사자를 조각한 석조물 가운데 가장 오래되었으며 매우 독특한 형태를 하고 있다. 넓다란 8각의 바닥돌 위에 올려진 사자 조각은 두 마리가 서로 가슴을 맞대고 뒷발로 아래돌을 디디고 서서 앞발과 주둥이로는 윗돌을 받치고 있는 모습이다. 아랫돌과 윗돌에는 각각 연꽃을 새겨 두..
-
보은 법주사 팔상전 (報恩 法住寺 捌相殿)-국보 제55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7. 17. 00:20
보은 법주사 팔상전 (報恩 法住寺 捌相殿)-국보 제55호 보은 법주사 팔상전 (報恩 法住寺 捌相殿) 종목 국보 제55호 명칭 보은 법주사 팔상전 (報恩 法住寺 捌相殿)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 1 동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79, 법주사 (사내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법주사 설명 법주사는 신라 진흥왕 14년(553)에 인도에서 공부를 하고 돌아온 승려 의신이 처음 지은 절이다. 법주사 팔상전은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유일한 5층 목조탑으로 지금의 건물은 임진왜란 이후에 다시 짓고 1968년에 해체·수리한 것이다. 벽 면에 부처의 일생을 8장면으로 구분하여 그린 팔상도(八相圖)가 그려져 있어 팔상전이라 이름 붙였다. 1층과 2층은 앞·옆면..
-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 (表忠寺 靑銅銀入絲香垸)-국보 제75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7. 8. 22:20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 (表忠寺 靑銅銀入絲香垸)-국보 제75호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 (表忠寺 靑銅銀入絲香垸) 종목 국보 제75호 명칭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 (表忠寺 靑銅銀入絲香垸) 분류 유물 / 불교공예/ 공양구/ 공양구 수량 1 점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경남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산31-2 표충사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표충사 설명 향완이란 절에서 마음의 때를 씻어준다는 향을 피우는데 사용하는 도구로서 향로라고도 부른다. 경상남도 밀양 표충사에 있는 청동 향완은 높이 27.5㎝, 아가리 지름 26.1㎝의 크기이다. 향완에 무늬를 새기고 그 틈에 은실을 박아서 장식한 은입사(銀入絲) 기술이 매우 세련된 작품이다. 향완의 형태는 주둥이 부분에 넓은 전이 달린 몸체와 나팔모양의 받침을..
-
영주 부석사 조사당 (榮州 浮石寺 祖師堂)-Josadang Shrine of Buseoksa Temple, Yeongju- 국보 제19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6. 25. 17:04
영주 부석사 조사당 (榮州 浮石寺 祖師堂)-국보 제19호 영주 부석사 조사당 (榮州 浮石寺 祖師堂) 종목 국보 제19호 명칭 영주 부석사 조사당 (榮州 浮石寺 祖師堂)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 1 동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로 345 (북지리)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부석사 설명 봉황산 중턱에 있는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에 의상대사가 왕명을 받들어 화엄의 큰 가르침을 펴던 곳이다. 무량수전 뒤에는 ‘부석(浮石)’이라고 새겨져 있는 바위가 있는데, 『삼국유사』에 있는 설화를 보면,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할 때 그를 흠모한 여인 선묘가 용으로 변해 이곳까지 따라와서 줄곧 의상대사를 보호하면서 절을 지을 수 있게 도왔..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榮州 浮石寺 無量壽殿)-Muryangsujeon Hall of Buseoksa Temple, Yeongju-국보 제18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6. 25. 17:01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榮州 浮石寺 無量壽殿)-국보 제18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榮州 浮石寺 無量壽殿) 종목 국보 제18호 명칭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榮州 浮石寺 無量壽殿)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 1 동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 부석사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부석사 설명 봉황산 중턱에 있는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에 의상대사가 왕명을 받들어 화엄의 큰 가르침을 펴던 곳이다. 무량수전 뒤에는 ‘부석(浮石)’이라고 새겨져 있는 바위가 있는데, 『삼국유사』에 있는 설화를 보면,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할 때 그를 흠모한 여인 선묘가 용으로 변해 이곳까지 따라와서 줄곧 의상대사를 보호하면서 절을 지을 수 있게..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榮州 浮石寺 無量壽殿 앞 石燈)-Stone Lantern at Muryangsujeon Hall of Buseoksa Temple, Yeongju- 국보 제17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6. 25. 16:58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榮州 浮石寺 無量壽殿 앞 石燈)-국보 제17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榮州 浮石寺 無量壽殿 앞 石燈) 종목 국보 제17호 명칭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榮州 浮石寺 無量壽殿 앞 石燈)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석등 수량 1 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 부석사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부석사 설명 부석사 무량수전 앞에 세워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등으로 부처의 광명을 상징한다 하여 광명등(光明燈)이라고도 하며, 대개 대웅전이나 탑과 같은 중요한 건축물 앞에 세워진다.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로는 3단의 받침돌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을 올린 후 꼭대기에 머리장식을 얹어 마무리한다. ..
-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榮州 黑石寺 木造阿彌陀如來 坐像 및 腹藏遺物) -국보 제282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6. 25. 16:47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榮州 黑石寺 木造阿彌陀如來 坐像 및 腹藏遺物)-국보 제282호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榮州 黑石寺 木造阿彌陀如來 坐像 및 腹藏遺物) 종목 국보 제282호 명칭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榮州 黑石寺 木造阿彌陀如來 坐像 및 腹藏遺物) 분류 유물 / 불교조각/ 목조/ 불상 수량 일괄 지정일 1993.11.05 소재지 경북 영주시 이산면 이산로 390-40, 흑석사, 대구 수성구 청호로 321 국립대구박물관 (석포리) 시대 소유.관리 흑석사, 국립대구박물관 설명 흑석사는 삼국시대 석조마애여래상과 통일신라의 석조여래좌상(보물 제681호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이 있는 절로, 늦어도 통일신라 때 창건된 절이라고 할 수 있다. 임..
-
여주 고달사지 승탑 (驪州 高達寺址 僧塔)-Stupa at Godalsa Temple Site, Yeoju-국보 제4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5. 1. 10:31
여주 고달사지 승탑 (驪州 高達寺址 僧塔)-국보 제4호 여주 고달사지 승탑 (驪州 高達寺址 僧塔) 종목 국보 제4호 명칭 여주 고달사지 승탑 (驪州 高達寺址 僧塔)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 1 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경기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 411-1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국유,여주군 설명 고달사터에 남아 있는 고려시대의 승탑이다. 고달사는 통일신라시대 경덕왕 23년(764)에 창건된 절로, 고려 광종 이후에는 왕들의 보호를 받아 큰 사찰로서의 면모를 유지하기도 하였으나, 언제 문을 닫게 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이 승탑은 바닥의 형태가 8각을 이루고 있으며, 꼭대기의 머리장식이 완전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면 대부분 잘 남아 있다. 전체의 무게를 지탱하고 있는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