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국보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蔚州 大谷里 盤龜臺 岩刻畫)-Petroglyphs of Bangudae Terrace in Daegok-ri, Ulju-국보 제285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11. 12. 13:05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 (蔚州 大谷里 盤龜臺 岩刻畫)-국보 제285호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蔚州 大谷里 盤龜臺 岩刻畫) 종목 국보 제285호 명칭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蔚州 大谷里 盤龜臺 岩刻畫) 분류 유물 / 일반조각/ 암벽조각/ 암각화 수량 1 기 지정일 1995.06.23 소재지 울산 울주군 언양읍 반구대안길 285 (대곡리) 시대 석기시대 소유.관리 국유,울주군 설명 높이 3m, 너비 10m의 ‘ㄱ’자 모양으로 꺾인 절벽암반에 여러 가지 모양을 새긴 바위그림이다. 바위그림을 암각화라고도 하는데, 암각화란 선사인들이 자신의 바램을 기원하는 마음으로 커다란 바위 등 성스러운 장소에 새긴 그림을 말한다. 전세계적으로 암각화는 북방문화권과 관련된 유적으로 우리민족의 기원과 이동을 알..
-
울주 천전리 각석 (蔚州 川前里 刻石)-국보 제147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11. 12. 13:03
울주 천전리 각석 (蔚州 川前里 刻石)-국보 제147호 울주 천전리 각석 (蔚州 川前里 刻石) 종목 국보 제147호 명칭 울주 천전리 각석 (蔚州 川前里 刻石) 분류 유물 / 일반조각/ 암벽조각/ 각석 수량 1기 지정일 1973.05.04 소재지 울산 울주군 두동면 천전리 산210 시대 청동시대 소유.관리 국유,울주군 설명 태화강 물줄기인 내곡천 중류의 기슭에 각종 도형과 글, 그림이 새겨진 암석으로, 아래 · 위 2단으로 나누어 서로 다른 내용이 다른 기법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조각이 가득하다. 윗단에는 쪼아서 새기는 기법으로 기하학적 무늬와 동물, 추상화된 인물 등이 조각되어 있다. 사실성이 떨어지는 단순화된 형태인데 중앙부의 태양을 상징하는 듯한 원을 중심으로, 양 옆에 네 마리의 사슴이..
-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李舜臣 亂中日記 및 書簡帖 壬辰狀草)-국보 제76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10. 2. 16:51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李舜臣 亂中日記 및 書簡帖 壬辰狀草)-국보 제76호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李舜臣 亂中日記 및 書簡帖 壬辰狀草) 종목 국보 제76호 명칭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李舜臣 亂中日記 및 書簡帖 壬辰狀草)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필사본/ 일기류 수량 합9책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충남 아산시 염치읍 현충사길 48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최순선,현충사관리소 설명 . 이 책은 임진왜란(1592∼1598) 때에 이순신(1545∼1598)이 친필로 작성한 일기로 연도별로 7권이다. 이순신은 28살되던 해에 무인 선발시험인 훈련원별과에 응시했으나, 불행하게도 달리던 말이 거꾸러지는 바람에 ..
-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安東 法興寺址 七層塼塔)-국보 제16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9. 9. 17:45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安東 法興寺址 七層塼塔)-국보 제16호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安東 法興寺址 七層塼塔) 종목 국보 제16호 명칭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安東 法興寺址 七層塼塔)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 1 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경북 안동시 법흥동 8-1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국유,안동시 설명 전탑(塼塔)이란 흙으로 만든 벽돌을 이용하여 쌓아 올린 탑으로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법흥사에 속해있던 탑으로 추정된다. 탑은 1단의 기단(基壇)위로 7층의 탑신(塔身)을 착실히 쌓아올린 모습이다. 기단의 각 면에는 화강암으로 조각된 8부중상(八部衆像)과 사천왕상(四天王像)을 세워놓았고, 기단 남쪽 면에는 계단을 설치하여 1층 몸돌에 만들어진 감실(龕室:불상을 모시..
-
완주 화암사 극락전 (完州 花巖寺 極樂殿)-국보 제316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8. 23. 14:06
완주 화암사 극락전 (完州 花巖寺 極樂殿)-국보 제316호 완주 화암사 극락전 (完州 花巖寺 極樂殿) 종목 국보 제316호 명칭 완주 화암사 극락전 (完州 花巖寺 極樂殿)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 1 동 지정일 2011.11.28 소재지 전북 완주군 경천면 가천리 1078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화암사 설명 화암사는 불명산 시루봉 남쪽에 있는 절로 본사인 금산사에 딸린 절이다. 절을 지을 당시의 자세한 기록은 없으나 원효와 의상이 유학하고 돌아와 수도하였다는 기록으로 보아 신라 문무왕 이전에 지은 것으로 보인다. 극락정토를 상징하는 극락전은 1981년 해체·수리 때 발견한 기록에 따르면, 조선 선조 38년(1605)에 세운 것으로 되어 있다. 앞면 3칸·옆면 3칸 크기에 지붕은 ..
-
World Cultural Heritage-익산 미륵사지 석탑 (益山 彌勒寺址 石塔)-Stone Pagoda at Mireuksa Temple Site, Iksan-국보 제11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8. 20. 14:45
World Cultural Heritage익산 미륵사지 석탑 (益山 彌勒寺址 石塔)-국보 제11호 World Cultural Heritage 백제역사유적지구 [Baekje Historic Areas ] 익산 미륵사지 석탑 (益山 彌勒寺址 石塔) 종목 국보 제11호 명칭 익산 미륵사지 석탑 (益山 彌勒寺址 石塔)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 1 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97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국유,익산시 설명 백제 최대의 절이었던 익산 미륵사터에 있는 탑으로, 무너진 뒤쪽을 시멘트로 보강하여 아쉽게도 반쪽탑의 형태만 남아 있다. 6층까지만 남아 있으며, 정확한 층수는 알 수 없다. 기단(基壇)은 목탑과 같이 낮은 1단을 이루었다. 탑신(塔身)..
-
World Cultural Heritage-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益山 王宮里 五層石塔)-국보 제289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8. 20. 12:56
World Cultural Heritage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益山 王宮里 五層石塔)-국보 제289호 World Cultural Heritage 백제역사유적지구 [Baekje Historic Areas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益山 王宮里 五層石塔) 종목 국보 제289호 명칭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益山 王宮里 五層石塔)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 1 기 지정일 1997.01.01 소재지 전북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 산80-1 시대 소유.관리 국유,익산시 설명 마한시대의 도읍지로 알려진 익산 왕궁면에서 남쪽으로 2㎞쯤 떨어진 언덕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이다. 1단의 기단(基壇)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기단부가 파묻혀 있던 것을 1965년 해체하여 수리하면서 원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