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국보
-
최치원의 글과 글씨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河東 雙磎寺 眞鑑禪師塔碑)-국보 제47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4. 8. 00:11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河東 雙磎寺 眞鑑禪師塔碑)-국보 제47호 종목 국보 제47호 명칭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河東 雙磎寺 眞鑑禪師塔碑)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 1 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경남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길 59, 쌍계사 (운수리)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쌍계사 설명 통일신라 후기의 유명한 승려인 진감선사의 탑비이다. 진감선사(774∼850)는 불교 음악인 범패를 도입하여 널리 대중화시킨 인물로, 애장왕 5년(804)에 당나라에 유학하여 승려가 되었으며, 흥덕왕 5년(830)에 귀국하여 높은 도덕과 법력으로 당시 왕들의 우러름을 받다가 77세의 나이로 쌍계사에서 입적하였다. 비는 몸돌에 손상을 입긴 하였으나, 아래로는 거북받침돌을, 위로는 머릿돌을..
-
우리나라에서 가장 규모가 큰 건물에 속하는 통영 세병관 (統營 洗兵館)-Sebyeonggwan Hall, Tongyeong- 국보 제305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4. 6. 11:40
통영 세병관 (統營 洗兵館)-국보 제305호 통영 세병관 (統營 洗兵館) 종목 국보 제305호 명칭 통영 세병관 (統營 洗兵館)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관아 수량 1 동 지정일 2002.10.14 소재지 경남 창녕군 창녕읍 시장2길 37 (술정리)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국유,통영시 설명 세병관은 조선 선조 당시 이경준(李慶濬) 제6대 통제사가 두릉포에서 통제영을 이곳으로 옮겨 완공한 통제영의 중심건물이다. 이 건물은 창건 후 약 290년 동안 3도(경상·전라·충청도) 수군을 총 지휘했던 곳으로 그 후 몇 차례의 보수를 거치긴 했지만 아직도 멀리 남해를 바라보며 당시의 위용을 자랑하고 있는 건물 중 최고의 건물이다. 앞면 9칸·옆면 5칸 규모의 웅장한 건물로,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
-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昌寧 述亭里 東 三層石塔)-East Three-story Stone Pagoda in Suljeong-ri, Changnyeong-국보 제34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4. 3. 22:25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昌寧 述亭里 東 三層石塔) -국보 제34호 종목 국보 제34호 명칭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昌寧 述亭里 東 三層石塔)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 1 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경남 창녕군 창녕읍 시장2길 37 (술정리)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국유,창녕군 설명 탑이 세워져 있는 창녕군 지역은 삼국시대부터 신라의 영역에 속해 있던 곳이며, 진흥왕 때부터 신라의 정치·군사상의 요지가 되었다. 탑은 2단의 기단(基壇)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로, 통일신라 석탑의 일반적인 모습이다. 기단에는 위·아래층 모두 각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고, 탑신 역시 몸돌의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한 조각이 있다. 지붕돌은 수평을 이루던 처..
-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昌寧 新羅 眞興王 拓境碑)-국보 제33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4. 3. 20:31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昌寧 新羅 眞興王 拓境碑)-국보 제33호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昌寧 新羅 眞興王 拓境碑) 종목 국보 제33호 명칭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昌寧 新羅 眞興王 拓境碑)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 1 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상리 28-1 시대 신라 소유.관리 국유,창녕군 설명 빛벌가야(지금의 창녕군)를 신라 영토로 편입한 진흥왕이 이곳을 순시하면서 민심을 살핀 후 그 기념으로 세운 비이다. 당시 창녕군은 신라가 서쪽으로 진출하는데 있어 마치 부채살의 꼭지와 같은 중요한 길목이었는데, 진흥왕 16년(555) 신라에 병합되었고, 565년에는 대야주(지금의 합천군)와 합쳐져 비사벌군(比斯伐郡) 또는 비자화군(比自化郡)으로 불..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국보 제13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3. 29. 12:18
강진무위사극락보전(康津 無爲寺 極樂寶殿)-국보 제13호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국보 제13호 종목 국보 제13호 명칭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 1 동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전남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로 308, 무위사 (월하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무위사 설명 무위사는 신라 진평왕 39년(617)에 원효대사가 관음사라는 이름으로 처음 지은 절로, 여러 차례에 걸쳐 보수공사가 진행되면서 이름도 무위사로 바뀌게 되었다. 이 절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인 극락보전은 세종 12년(1430)에 지었으며, 앞면 3칸·옆면 3칸 크기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지붕 처마를 ..
-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慶州 淨惠寺址 十三層石塔)-Thirteen-story Stone Pagoda at Jeonghyesa Temple Site, Gyeongju-국보 제40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3. 13. 13:56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慶州 淨惠寺址 十三層石塔)-국보 제40호 종목국보 제40호 명칭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慶州 淨惠寺址 十三層石塔) 분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2기지정일1962.12.20소재지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1654 시대통일신라소유.관리국유,경주시설명경주 정혜사터에 세워져 있는 탑으로, 흙으로 쌓은 1단의 기단(基壇) 위에 1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인데, 통일신라시대에서는 그 비슷한 예를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모습이다. 1층 탑몸돌이 거대한데 비해 2층부터는 몸돌과 지붕돌 모두가 급격히 작아져서 2층 이상은 마치 1층탑 위에 덧붙여진 머리장식처럼 보인다. 큰 규모로 만들어진 1층 몸돌은 네 모서리에 사각형의 돌기둥을 세웠으며, 그 안에 다시 보조기둥을 ..
-
한국석탑을 대표할만 할 경주 감은사지 동ㆍ서 삼층석탑 (慶州 感恩寺址 東ㆍ西 三層石塔)-국보 제112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3. 12. 13:01
경주 감은사지 동ㆍ서 삼층석탑(慶州 感恩寺址 東ㆍ西 三層石塔)-국보 제112호 종목 국보 제112호 명칭 경주 감은사지 동ㆍ서 삼층석탑 (慶州 感恩寺址 東ㆍ西 三層石塔)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 2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경북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 55-3, 55-9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국유,경주시 설명 감은사터 넓은 앞뜰에 나란히 서 있는 쌍탑이다.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서로 같은 규모와 양식을 하고 있으며, 옛신라의 1탑 중심에서 삼국통일 직후 쌍탑가람으로 가는 최초의 배치를 보이고 있다. 감은사는 삼국을 통일한 문무왕이 새 나라의 위엄을 세우고, 당시 틈만 나면 동해로 쳐들어 오던 왜구를 부처의 힘으로 막아내어 나라의 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