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국보
-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長興 寶林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Iron Seated Vairocana Buddha of Borimsa Temple, Jangheung- 국보 제117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4. 20. 15:04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長興 寶林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국보 제117호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長興 寶林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종목 국보 제117호 명칭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長興 寶林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분류 유물 / 불교조각/ 금속조/ 불상 수량 1 구 지정일 1963.02.21 소재지 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45 보림사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보림사 설명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의 대적광전에 모셔진 철로 만든 불상으로, 현재 대좌(臺座)와 광배(光背)를 잃고 불신(佛身)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불상의 왼팔 뒷면에 신라 헌안왕 2년(858) 무주장사(지금의 광주와 장흥)의 부관이었던 김수종이 시주하여 불상을 만들었다는 내용의 글이 적혀 있어서 정확한 조성연대를..
-
장흥 보림사 남ㆍ북 삼층석탑 및 석등 (長興 寶林寺 南ㆍ北 三層石塔 및 石燈)-South and North Three-story Stone Pagodas and Stone Lantern of Borimsa Temple, Jangheung- 국보 제44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4. 20. 14:23
장흥 보림사 남ㆍ북 삼층석탑 및 석등 (長興 寶林寺 南ㆍ北 三層石塔 및 石燈)-국보 제44호 장흥 보림사 남ㆍ북 삼층석탑 및 석등 (長興 寶林寺 南ㆍ北 三層石塔 및 石燈) 종목 국보 제44호 명칭 장흥 보림사 남ㆍ북 삼층석탑 및 석등 (長興 寶林寺 南ㆍ北 三層石塔 및 石燈)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 3 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45 보림사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보림사 설명 가지산 남쪽 기슭에 있는 보림사는 통일신라 헌안왕의 권유로 체징(體澄)이 터를 잡아 헌안왕 4년(860)에 창건하였다. 그 뒤 계속 번창하여 20여 동의 부속 건물을 갖추었으나, 한국전쟁 때 대부분이 불에 타 없어졌다. 절 앞뜰에는 2기의 석탑과 1기의 석등이 나란히 놓여..
-
순천 송광사 국사전 (順天 松廣寺 國師殿)-Guksajeon Shrine of Songgwangsa Temple, Suncheon-국보 제56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4. 14. 14:18
순천 송광사 국사전 (順天 松廣寺 國師殿)-국보 제56호 순천 송광사 국사전 (順天 松廣寺 國師殿) 종목 국보 제56호 명칭 순천 송광사 국사전 (順天 松廣寺 國師殿)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 1 동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 (신평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송광사 설명 조계산에 있는 송광사는 우리나라 3대 사찰 중 하나로 매우 유서 깊은 절이다. ‘송광’이라는 절 이름은 조계산의 옛 이름인 송광산에서 따 왔다고 하는데, 절을 언제 세웠는지 정확한 자료는 없고 신라 말기에 체징이 세웠다는 기록이 있다. 송광사 국사전은 나라를 빛낸 큰 스님 16분의 영정을 모시고 그 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건물로, 옛날에는 참선을 하던 곳이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