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
허유전묘 (許有全墓)-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6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3. 23:47
허유전묘 (許有全墓)-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6호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6호 명칭 허유전묘 (許有全墓)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봉토묘 수량 2개소 지정일 1995.03.01 소재지 인천 강화군 불은면 두운리 산297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김해허씨종중,강화군 설명 고려 충숙왕 때의 문신인 충목공 허유전(1243∼1323) 선생의 묘소이다. 고려 원종 때 문과에 급제하였고 충렬왕 때에는 밀직사사에 올라 지공거(知貢擧)가 되어 여러 인물을 선발하는 일을 맡았다. 충숙왕 초에는 가락군에 봉해지고 충숙왕 8년(1321)에 수첨의찬성사를 거쳐 정승에 올랐다. 1988년 6월 묘지 발굴 당시 고려시대의 청자잔, 토기병, 송나라와 금나라의 엽전 등이 출토되었다.
-
갑곶나루선착장석축로 (甲串나루船着場石築路)-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5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3. 23:20
갑곶나루선착장석축로 (甲串나루船着場石築路)-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5호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5호 명칭 갑곶나루선착장석축로 (甲串나루船着場石築路) 분류 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교통/ 수상교통 수량 2개소 지정일 1995.03.01 소재지 인천 강화군 불은면 두문리 산297외 1필지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김해허씨시중공파중앙회,강화군 설명 강화읍 갑곶리와 김포군 월곶면을 배로 연결해 주던 곳이다. 갑곶이란 지명은 고려 고종 때 몽고가 침입하자 왕이 강화도로 천도하게 되었을 때 이 곳이 강건너와의 거리도 짧고 수심이 얕아서 군사들이 갑옷을 벗어 쌓아 놓고 건널 수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이 곳은 정묘호란(1627) 당시 인조가 건넜던 나루터로, 병자호란(1636) 때에도 봉림대군이 임금을 모셨던 ..
-
계룡돈대 (鷄龍墩臺)-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2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3. 20:58
계룡돈대 (鷄龍墩臺)-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2호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2호 명칭 계룡돈대 (鷄龍墩臺)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시설 수량 1 기 지정일 1995.03.01 소재지 인천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 282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강화군 설명 돈대는 적의 움직임을 살피거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서 영토내 접경지역이나 해안지역의 감시가 쉬운 곳에 마련한 초소로, 대개 높은 평지에 쌓아두는데 밖은 성곽으로 높게 하고, 안은 낮게 하여 포를 설치해두는 시설물이다. 망월평야 남서방향의 언덕 위에 자리하고 있는 이 돈대는 바깥벽 측면에 기록이 남아 있으며, 망월돈대와 함께 관아에서 관리하던 돈대이다. 남아 있는 기록에 의해 조선 숙종 5년(1679)에 설치된 것임을 알 수 있는데, 이처럼..
-
장곶돈대 (長串墩臺)-인천광역시 기념물 제19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3. 18:45
장곶돈대 (長串墩臺)-인천광역시 기념물 제19호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19호 명칭 장곶돈대 (長串墩臺)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시설 수량 1 기 지정일 1995.03.01 소재지 인천 강화군 화도면 장화리 113외 2필지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국(재정경제부)외 2인강화군 설명 돈대는 적의 움직임을 살피거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서 영토내 접경지역 또는 해안지역의 감시가 쉬운 곳에 마련해 두는 초소이다. 대개 높은 평지에 쌓아두는데 밖은 성곽으로 높게하고 안은 낮게 하여 포를 설치해 둔다. 이 돈대는 자연적인 지형을 이용하여 그 위에 작은 요새를 만든 것이다. 장곶돈대는 40∼120㎝의 네모난 돌을 3m 높이의 둥근 형태로 쌓은 후, 해안을 향해 4개의 포좌(포를 놓는 자리)를 설치해..
-
보문사향나무 (普門寺향나무)-인천광역시 기념물 제17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3. 18:10
보문사향나무 (普門寺향나무)-인천광역시 기념물 제17호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17호 명칭 보문사향나무 (普門寺향나무)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생물과학기념물/ 생물상 수량 1 주 지정일 1995.03.01 소재지 인천 강화군 삼산면 매음리 629-1 시대 소유.관리 보문사 설명 향나무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을 비롯해 울릉도와 일본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상나무·노송나무로도 불린다. 이 나무는 강한 향기를 지니고 있어 제사 때 향을 피우는 용도로 쓰이며 정원수·공원수로도 많이 심는다. 보문사의 향나무는 보문사 석실(石室) 앞 큰 바위틈에서 자라고 있다. 나무의 나이는 7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20m, 둘레는 3.2m 정도이다. 높이 1.7m에서 두 줄기로 갈라지는데 동쪽 줄기의 둘레는 1...
-
숭현서원지 (崇賢書院址)-대전광역시 기념물 제27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19. 09:17
숭현서원지 (崇賢書院址)-대전광역시 기념물 제27호 종목 대전광역시 기념물 제27호 명칭 숭현서원지 (崇賢書院址)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교육기관/ 서원 수량 7,000㎡(비1기) 지정일 1992.07.22 소재지 대전 유성구 엑스포로 269번길 67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재단법인 대전광역시 향교재단,이규석 설명 숭현서원은 정광필·김정·송인수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정광필(1462∼1538)은 조선 전기 문신으로 우의정과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을 역임한 분이다. 김정은 조선 전기 문신이며 학자로 이조참판, 대사헌 등을 거쳐 형조판서를 역임하였다. 시문에도 능하였고 조광조와 함께 사림파의 대표적인 인물로 알려져 있다. 송인수는 조선 중기 문신으로 사헌부 대사헌과 관찰사 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