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
강화오상리고인돌군 (江華鰲上里고인돌群)-인천광역시 기념물 제47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5. 11:26
강화오상리고인돌군 (江華鰲上里고인돌群)-인천광역시 기념물 제47호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47호 명칭 강화오상리고인돌군 (江華鰲上里고인돌群)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지석묘 수량 12 기 지정일 1999.04.26 소재지 인천 강화군 내가면 오상리 산124번지외 15필지 시대 청동시대 소유.관리 강화군외 12인 설명 오상리 고인돌군에서는 모두 12기의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는데, 2000년 실시된 발굴조사에 의하면 모두 북방식 고인돌이라 한다. 고인돌의 묘실구조는 'ㅍ'자 형태이고, 크기는 대·중·소형으로 구분된다. 무문토기와 대롱옥, 반달돌칼, 화살촉 등 매우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
정제두묘-인천광역시 기념물 제56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4. 17:54
정제두묘-인천광역시 기념물 제56호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56호 명칭 정제두묘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수량 3,900㎡ 지정일 2007.02.20 소재지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도면 하일리 산 62-6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정시종 설명 조선 후기 학자이자 강화학의 태두인 정제두(1649~1736)의 묘이다. 정제두의 본관은 영일(迎日), 자는 사앙(士仰), 호는 하곡(霞谷)이며, 시호는 문강(文康)이다. 정몽주의 후손으로 우의정 유성(維城)의 손자이고, 진사 상징(尙徵)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한산 이 씨로 호조판서 기조(基祚)의 딸이다. 1649년(효종1년) 한양에서 출생하였다. 1668년(현종 9) 별시문과 초시에 급제했다. 1680년(숙종 6)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의 천거로 사포서별제..
-
강화통제영학당지 (江華統制營學堂址)-인천광역시 기념물 제49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4. 15:00
강화통제영학당지 (江華統制營學堂址)-인천광역시 기념물 제49호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49호 명칭 강화통제영학당지 (江華統制營學堂址)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근대교육문화/ 학교시설 수량 6,381㎡ 지정일 2001.04.02 소재지 인천 강화군 강화읍 갑곶리 1061번지외 4필지 시대 소유.관리 최기산외 8인, 설명 1893년 2월 기존의 수군편제를 해군편제로 개편하면서 그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고자 같은해 3월 해군사관 및 하사관 양성학교인 통제영학당 설치령을 공표하고 갑곶진 인근에 교사를 신축하여 1893년 10월에 사관생도 50명, 수병 300명을 모집하면서 개교하였다. 개교와 함께 W.H.Callwell 등 영국장교들이 교관으로 부임하여 교육하였으나 이듬해 발발한 동학농민전쟁과 청일전쟁 ..
-
강화고천리고인돌군 (江華古川里고인돌群)-인천광역시 기념물 제46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4. 12:45
강화고천리고인돌군 (江華古川里고인돌群)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46호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46호 명칭 강화고천리고인돌군 (江華古川里고인돌群)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지석묘 수량 18 기 지정일 1999.04.26 소재지 인천 강화군 내가면 고천리 산 96외 8필지 시대 청동시대 소유.관리 오승근외 12인,강화군 설명 고려산(해발 436m)의 서쪽 능선을 따라 해발 350∼250m 지점에 18기의 고인돌무덤이 흩어져 있다. 우리나라 고인돌무덤이 분포하는 평균 고도보다 훨씬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대부분의 고인돌모덤들은 무너져 원형이 많이 훼손된 상태이다. 그 중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는 북방식 고인돌무덤은 덮개돌의 크기가 가로 3.35m, 세로 2.47m, 두께 0.65m이다. 가까운 거..
-
강화삼거리고인돌군 (江華三巨里고인돌群)-인천광역시 기념물 제45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4. 11:58
강화삼거리고인돌군 (江華三巨里고인돌群)-인천광역시 기념물 제45호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45호 명칭 강화삼거리고인돌군 (江華三巨里고인돌群)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지석묘 수량 9 기 지정일 1999.04.26 소재지 인천 강화군 하점면 삼거리 산188외 15필지 시대 청동시대 소유.관리 고춘길외 23인,강화군 설명 삼거리 진촌마을 앞산인 고려산 서쪽 능선 상에 북방식 고인돌무덤 9기가 일렬로 분포되어 있다. 어떤 고인돌무덤은 덮개돌 위에 작은 구멍이 여러 개 패여 있는데 이러한 모양을 남한에서는 성혈이라고 하고 북한에서는 별자리와 연관 짓고 있다. 작은 구멍이 고인돌무덤의 크기는 굄돌을 높이 2.80m, 너비 0.90m, 두께 0.38m이다. 고인돌무덤 가까이에는 돌을 떼낸 흔적이 남아 있..
-
용진진 (龍津鎭)-인천광역시 기념물 제42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4. 11:42
용진진 (龍津鎭)-인천광역시 기념물 제42호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42호 명칭 용진진 (龍津鎭)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시설 수량 일원 지정일 1999.03.29 소재지 인천 강화군 선원면 연리 215외 9필지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국(산림청)외 5인,강화군 설명 진이란 군인이 머물러 있던 무장 성곽도시를 이른다. 용진진은 조선시대 각 진에 배치되었던 병마만호의 관리하에 있었던 곳으로, 101명의 병력이 주둔해 있었다 한다. 포좌(포를 놓는 자리) 4개소, 총좌(총을 놓는 자리) 26개소의 시설물이 있었으나 석축 대부분은 남아 있지 않다. 다만 윗부분이 무지개 모양을 이루고 있는 출입문 2곳만이 남아 있었는데, 1999년 그 위로 누각을 새로이 복원해 놓았다. 조선 효종 7년(16..
-
미루지돈대 (彌樓只墩臺)-인천광역시 기념물 제40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4. 11:04
미루지돈대 (彌樓只墩臺)-인천광역시 기념물 제40호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40호 명칭 미루지돈대 (彌樓只墩臺)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시설 수량 일원 지정일 1999.03.29 소재지 인천 강화군 화도면 여차리 170-2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국(재무부),강화군 설명 돈대는 적의 움직임을 살피거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하여 영토 내 접경지역 또는 해안지역의 감시가 쉬운 곳에 마련한 초소이다. 대개 높은 평지에 쌓아두는데, 밖은 성곽으로 높게 하고, 안은 낮게 하여 포를 설치해 두는 시설물이다. 이 돈대는 높이 2.2m, 둘레 128m의 규모로, 성곽은 돌을 이용해 직사각형으로 쌓고, 해안쪽을 향해 4개소의 포좌(포놓는 자리)를 설치해 놓았다. 성곽 위에는 몸을 숨길 수 있도록 낮게 쌓..
-
굴암돈대 (屈岩墩臺)-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9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4. 10:49
굴암돈대 (屈岩墩臺)-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9호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9호 명칭 굴암돈대 (屈岩墩臺)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시설 수량 일원 지정일 1999.03.29 소재지 인천 강화군 양도면 하일리 487번지외 1필지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국(재무부)외 1인,강화군 설명 돈대는 적의 움직임을 살피거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서 영토 내 접경지역 이나, 해안지역의 감시가 쉬운 곳에 마련해 두는 초소이다. 대개 높은 평지에 쌓아두는데, 밖은 성곽을 높게 하고, 안은 낮게 하여 포를 설치해 두는 시설물이다. 정포보 소속의 이 돈대는 타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포를 설치해 두기 위한 포좌를 4곳에 설치하였다. 조선 숙종 5년(1679) 윤이제가 강화유수로 재임해 있을 때, 병조판서 김석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