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
화진포 (花津浦)-강원도 기념물 제10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3. 2. 13:01
화진포 (花津浦)-강원도 기념물 제10호 종목강원도 기념물 제10호 명칭화진포 (花津浦) 분류자연유산 / 명승/ 자연경관/ 지형지질경관 수량일원(2,389,843㎡)지정일1971.12.16소재지강원 고성군 거진읍 화포리 산24-1외 7필지 시대 소유.관리고성군설명동해안 최대의 호수로 둘레가 약 16㎞나 되며 명사십리(明沙十里)에 버금가는 경치를 이루고 있다. 수천 년 동안 조개껍질과 바위가 부서져서 이룩된 이 호수는 잉어 등 민물고기와 도미·전어와 같은 바닷물고기가 많아 낚시꾼들이 즐겨 찾는다. 넓은 백사장과 아름다운 소나무로 여름철에는 해수욕을 하려는 사람들도 많이 찾는다. 또한 호수 주위에 피어 있는 해당화는 아름다운 경관을 이루고 있어 고성군의 꽃으로 지정되어 있다. 화진포는 동해안에서 모래빛이..
-
고성건봉사지 (高城乾鳳寺址)-강원도 기념물 제51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3. 1. 23:09
고성건봉사지 (高城乾鳳寺址)-강원도 기념물 제51호 종목 강원도 기념물 제51호 명칭 고성건봉사지 (高城乾鳳寺址)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사찰 수량 27,570㎡ 지정일 1982.11.03 소재지 강원 고성군 거진읍 냉천리 36 시대 소유.관리 건봉사 설명 건봉사는 전국 4대 사찰의 하나로, 신라 법흥왕 7년(520) 때 아도화상이 지은 절이다. 처음에는 ‘원각사’라고 불렀으나, 이 절의 서쪽에 새모양으로 생긴 바위가 있어 건(乾)과 봉(鳳)을 합쳐 ‘건봉사’로 바뀌게 되었다. 경덕왕 17년(758)에 발징화상이 고쳐 지었고, 고려 공민왕 7년(1358)에 나옹화상이 다시 고쳤다고 한다. 전설에 의하면 임진왜란 때 이곳에서 사명대사가 승병을 모집하였는데 모두 6,000여 명이 모여서 왜적을..
-
청·일조계지경계계단 (淸·日租界地境界階段)-인천광역시 기념물 제51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8. 16:35
청·일조계지경계계단 (淸·日租界地境界階段)-인천광역시 기념물 제51호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51호 명칭 청·일조계지경계계단 (淸·日租界地境界階段)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근대사건/ 근대사건 수량 840㎡ 지정일 2002.12.23 소재지 인천 중구 전동 24외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건설교통부 설명 이 지역은 1883년 일본 조계(租界)를 시작으로 1884년 청국 조계(租界)가 설정되는 경계지역으로 만국공원(현 자유공원)으로 연결되어 계단과 조경이 마련된 공간이다. 약 120년의 역사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본 조계지 경계계단은 중앙에 석조 계단이 형성되어 있고, 양단을 중심으로 급한 경사인 점을 감안하여 계단참을 두고, 조경식재 공간을 마련하여 공간의 이용적 측면과 인천항 경관을 여유롭게 ..
-
양주성금속비 (梁柱星金屬碑)-인천광역시 기념물 제13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8. 14:13
양주성금속비 (梁柱星金屬碑)-인천광역시 기념물 제13호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13호 명칭 양주성금속비 (梁柱星金屬碑)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 1 기 지정일 1993.07.06 소재지 인천 중구 운남동 444-3 (동민회관 앞 비석군)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중구청 설명 영종첨절제사를 지낸 양주성 선생의 공덕을 기리고 있는 비이다. 조선 고종 12년(1875) 8월 강화도에 침입하여 초지진을 공격하고 돌아가던 일본 군함 운양호가 도중에 영종진을 공격하며 뭍에 올라와 진을 점령하고 관아에 불을 질렀다. 이에 조정에서는 인천부를 방어영으로 승격시키는 동시에 강화유수부에 속해 있던 영종진을 인천방어영에 속하게 하였으며, 10월에는 홍문관 제학 양주성을 영종첨절제사로 임명하여 관아를 ..
-
능허대지 (凌虛臺址)-인천광역시 기념물 제8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7. 22:34
능허대지 (凌虛臺址)-인천광역시 기념물 제8호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8호 명칭 능허대지 (凌虛臺址)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역사사건/ 역사사건 수량 2,500㎡ 지정일 1990.11.09 소재지 인천 연수구 옥련동 194-54 시대 백제시대 소유.관리 국(재무부),연수구 설명 능허대는 백제 근초고왕 27년(372)부터 웅진으로 도읍을 옮긴, 문주왕 1년(475)까지 사신들이 중국 동진(東晋)을 왕래할 때 출항하던 곳이다. 당시 백제의 정치 상황은 고구려, 신라와 적대관계에 놓여 있었으며, 중국도 남·북조(南·北朝)로 나뉘어 서로 대립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 남조와 교류하고 있던 백제 사신들은 고구려를 거쳐가는 육로를 이용하지 못하고, 이곳 능허대를 통해 산동반도의 등주와 내주에 이르..
-
화도진지 (花島鎭址)-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7. 21:56
화도진지 (花島鎭址)-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호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호 명칭 화도진지 (花島鎭址)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시설 수량 20,667㎡ 지정일 1990.11.09 소재지 인천 동구 화수동 138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동구 설명 진은 진영(鎭營)을 줄여 부르는 말로 지방의 군사를 관리하던 지방관제의 하나이다. 화도진은 조선 후기 자주 나타나는 서구의 함선을 감시하기 위해 군대가 주둔하던 곳으로 장도포대와 논현포대를 관장하였다. 화도진의 설치는 인천 항구의 개방을 요구하는 일본에 대비하여, 조정에서 어영대장 신정희와 강화유수 이경하에게 만들도록 하여, 1879년 완성되었다. 그러나 갑오개혁에 따른 군대 관리제도 개혁으로, 진이 철폐되고 건물도 철거되었다. 화도진은 1882..
-
장수동은행나무 (長壽洞銀杏나무)-천연기념물 제562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7. 18:49
장수동은행나무 (長壽洞銀杏나무)-천연기념물 제562호 종목 천연기념물 제562호 명칭 장수동은행나무 (長壽洞銀杏나무)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생물과학기념물/ 생물상 수량 1 주 지정일 1992.12.09 소재지 인천 남동구 장수동 63-6외 3필지 시대 소유.관리 국(건설부)외 3인,남동구 설명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정자나무 또는 가로수로도 많이 심는다. 장수동의 은행나무는 나이가 8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30m, 둘레 8.6m이다. 5개의 가지가 ..
-
조정만묘 (趙正萬墓)-인천광역시 기념물 제7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7. 18:21
조정만묘 (趙正萬墓)-인천광역시 기념물 제7호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7호 명칭 조정만묘 (趙正萬墓)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봉토묘 수량 1 기 지정일 1990.11.09 소재지 인천 남동구 도림동 산46-3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임천조씨오제공파종중 설명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학자인 정이(定而) 조정만(1658∼1739) 선생의 묘소이다. 송준길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우고 숙종 7년(1681)에 진사시에 장원 급제하여 성균관에 입학하였으며, 관직에 나아가서는 여러 관직을 거쳐 정헌대부, 지중추부사에 올랐다. 그는 경(經)·사(史)·백가서(百家書)에 두루 능통하였으며, 시와 서예에도 뛰어났다. 저서로는『오재집』이 있다. 현재 묘역에는 묘비와 문인석 등이 배치되어 있으며, 묘역 근처에 이의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