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
망양돈대 (望洋墩臺)-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7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4. 09:04
망양돈대 (望洋墩臺)-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7호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7호 명칭 망양돈대 (望洋墩臺)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시설 수량 1일원 지정일 1999.03.29 소재지 인천 강화군 내가면 외포리 680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국(재무부),강화군 설명 돈대는 적의 움직임을 살피거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하여 영토내 접경지역 또는 해안지역의 감시가 쉬운 곳에 마련해 두는 초소이다. 대개 높은 평지에 쌓아두는데, 밖은 성곽으로 높게 하고, 안은 낮게 하여 포를 설치해 둔다. 망양돈대는 남쪽으로 건평돈대까지 3,200m, 서쪽의 삼암돈대까지 1,300m 떨어진 곳에 자리하고 있으며, 정포보의 관리하에 있었다. 높이 3m, 폭 2.5m, 둘레 120m의 원형돈대로 포좌(대포를 설치하는..
-
양헌수승전비 (梁憲洙勝戰碑)-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6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4. 08:47
양헌수승전비 (梁憲洙勝戰碑)-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6호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6호 명칭 양헌수승전비 (梁憲洙勝戰碑)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 1 기 지정일 1995.11.14 소재지 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산42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전등사 설명 병인양요(1866) 때 프랑스군을 물리쳐 승리를 한 양헌수(1816∼1888) 장군의 공적을 기리고 있는 비이다. 프랑스는 조선 고종 3년(1866) 10월 천주교 탄압을 구실 삼아 극동함대 소속 군함 7척으로 우리나라를 침입하였는데 당시 순무천총 양헌수 장군이 정족산성에 포수 500여 명을 매복 시켰다가 밤에 기습 공격하여 물리쳤다. 양헌수 장군은 헌종 4년(1838)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이 되었고, 병인양요 때 공을 세워 ..
-
김상용순절비 (金尙容殉節碑)-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5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4. 08:36
김상용순절비 (金尙容殉節碑)-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5호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5호 명칭 김상용순절비 (金尙容殉節碑)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 1 기 지정일 1995.11.14 소재지 인천 강화군 강화읍 관청리 416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국(재무부),강화군 설명 조선 인조 때의 문신인 김상용 선생의 충의를 추모하고 기리기 위해 세워놓은 비이다. 선원 김상용(1561∼1637) 선생은 선조 23년(1590) 문과에 급제하여 판동녕부사, 병조·예조·이조의 판서, 유도대장, 우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종묘를 모시고 빈궁과 원손을 수행하여 강화도로 피란했으나 성이 함락되자 성의 남문루에 있던 화약에 불을 지른 후 순절하였다. 이러한 그의 충절을 기리고자 비를 세웠..
-
강화부근리점골지석묘 (江華富近里점골지석묘)-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2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4. 08:25
강화부근리점골지석묘 (江華富近里점골지석묘)-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2호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2호 명칭 강화부근리점골지석묘 (江華富近里점골지석묘)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지석묘 수량 1 기 지정일 1995.03.01 소재지 인천 강화군 하점면 부근리 743-6외 1필지 시대 청동시대 소유.관리 강화군외 1인,강화군 설명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을 세워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 놓은 탁자식과, 땅속에 돌방을 만들고 작은 받침돌을 세운 뒤 그 위에 덮개돌을 올린 바둑판식으로 구분된다. 강화군 하점면 고려산 북쪽에서 흘러내린 능..
-
강화대산리고인돌 (江華大山里고인돌)->강화 대산리 지석묘 (江華 大山里 支石墓)-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1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4. 08:02
강화대산리고인돌 (江華大山里고인돌)-> 강화 대산리 지석묘 (江華 大山里 支石墓)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1호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1호 명칭 강화 대산리 지석묘 (江華 大山里 支石墓)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지석묘 수량 1 기 지정일 1995.03.01 소재지 인천 강화군 강화읍 대산리 1189-1 시대 청동시대 소유.관리 강화군 설명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계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을 세워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 놓은 탁자식과, 땅 속에 돌방을 만들고 작은 받침돌을 세운 뒤 그 위에 덮개돌을 올린 바둑판식으로 구분된다. 강화 고려산 동쪽 봉..
-
이건창생가 (李建昌生家)-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0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4. 00:26
이건창생가 (李建昌生家)-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0호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0호 명칭 이건창생가 (李建昌生家)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인물기념/ 탄생지 수량 일곽 지정일 1995.03.01 소재지 인천 강화군 화도읍 사기리 167-3 시대 일제강점기 소유.관리 강화군 설명 문장가로 이름이 높았던 조선 후기의 문신 영재 이건창(1852∼1898) 선생이 살았던 생가이다. 고종 3년(1866) 15세의 어린 나이로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고종 11년(1874) 서장관으로 발탁되었고 충청우도 암행어사 등을 지냈다. 강직한 성격 탓에 세 번씩이나 유배되고 또 풀려났다. 그의 저서 『당의통략』은 파당을 초월하고 친족을 초월하여 공정한 입장에서 당쟁의 원인과 전개과정을 기술한 명저로 평가 받고 있다. 저서로..
-
이건창묘 (李建昌墓)-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9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4. 00:10
이건창묘 (李建昌墓)-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9호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9호 명칭 이건창묘 (李建昌墓)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봉토묘 수량 1 기 지정일 1995.03.01 소재지 인천 강화군 양도면 건평리 665-27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이익상 설명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대문장가였던 영재 이건창(1852∼1898) 선생의 묘소이다. 어렸을 때부터 할아버지에게 충의와 문학을 배웠으며 5살 때 문장을 구사할 만큼 재주가 뛰어나 신동이라는 말을 들었다. 고종 4년(1866) 15세의 어린 나이로 문과에 급제하였고 고종 11년(1874)에는 사신을 수행하여 기록을 맡았던 서장관에 발탁되어 크게 이름을 떨쳤다. 그 후 고종 12년(1875)에 충청도·전라도·경상도·황해도의 서쪽 지역에 파견되..
-
강화능내리석실분 (江華陵內里石室墳)-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8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24. 00:05
강화능내리석실분 (江華陵內里石室墳)-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8호 종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8호 명칭 강화능내리석실분 (江華陵內里石室墳)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적석묘 수량 1 기 지정일 1995.03.01 소재지 인천 강화군 양도면 능내리 산 16-1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국(산림청),강화군 설명 고려시대 지배계층의 무덤로 생각되는 곳이다. 무덤의 크기는 남북 방향 길이가 270㎝ 정도, 깊이가 195㎝의 규모로 내부는 잘 다듬어진 화강암으로 쌓았다. 무덤 앞쪽에는 사각형의 석주가 있는데 3면에 문양이 양각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