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
성주옥성리의열각 (星州玉星里義烈閣)-경상북도 기념물 제145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2. 12. 7. 10:24
성주옥성리의열각 (星州玉星里義烈閣)-경상북도 기념물 제145호 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145호 명칭 성주옥성리의열각 (星州玉星里義烈閣)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근대인물/ 광복운동 수량 149㎡ 지정일 2003.08.14 소재지 경북 성주군 대기면 옥성리 산72-3 시대 소유.관리 이기칭 설명 1928년 일본으로 건너간 이경환은 일왕 히로히토(裕仁)가 교토를 방문했을 때 조선 침략의 부당성과 조선총독부 철폐를 요구하는 직소장(直訴狀)을 제출하려다 영어(囹圄)의 몸이 되었다. 옥고를 치르며 갖은 고통을 겪은 뒤 귀국, 1929년 11월 빼앗긴 나라에서 더 이상 살 수 없음을 탄식하며 목을 매 자결했다. 부인 배씨도 남편이 죽은 지 3일 만에 뒤따라 자결했다고 한다. http://cafe.daum.ne..
-
해동청풍비 (海東淸風碑)-경상북도 기념물 제82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2. 12. 6. 21:20
해동청풍비 (海東淸風碑)-경상북도 기념물 제82호 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82호 명칭 해동청풍비 (海東淸風碑)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 397㎡ 지정일 1990.08.07 소재지 경북 성주군 벽진면 봉계리 478-2 시대 일제강점기 소유.관리 장영환,장병주 설명 전국 유림들에게 항일의식을 드높인 자하 장기석 선생의 절개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이다. 장기석(1860∼1911)은 일찍 부모를 여의고 몹시 가난하여 공부를 하지 못하다 39세의 늦은 나이에 공부를 시작하여 43세에 학문을 두루 통달하였다. 그 뒤 후진양성을 위한 교육에 힘썼으며, 일제 때 경찰서장으로 부터 경축식에 참석할 것을 강요받았으나 이를 거절하여 대구형무소에 수감되었다. 그곳에서 단식을 시작하였고 의식을 잃어 일본경..
-
월회당 (月會堂)-경상북도 기념물 제48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2. 12. 6. 20:48
월회당 (月會堂)-경상북도 기념물 제48호 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48호 명칭 월회당 (月會堂)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교육기관/ 서당 수량 982㎡ 지정일 1984.05.21 소재지 경북 성주군 벽진면 성주로 2495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여문환 설명 조선 전기 문신 여희림(1481∼1553)이 여씨향약을 교육하기 위해 세운 것이다. 조선 중종 11년(1516)에 세운 것을 현종 5년(1664) 여희림의 자손 여효회가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 세웠다고 한다. 건물은 앞면 7칸·옆면 1칸 규모의 월회당, 앞면 3칸·옆면 1칸 규모의 전사청, 앞면 4칸·옆면 1칸 규모의 교직사와 솟을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초의 여씨향약 강당인 동시에 1919년 파리만국평화회의에 보낼 『파리장서』를 써서 송준필..
-
성주해평동측백나무 (星州海平洞측백나무)-경상북도 기념물 제49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2. 12. 6. 19:12
성주해평동측백나무 (星州海平洞측백나무) -경상북도 기념물 제49호 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49호 명칭 성주해평동측백나무 (星州海平洞측백나무)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생물과학기념물/ 생물상 수량 214.9㎡ 지정일 1984.05.21 소재지 경북 성주군 벽진면 수촌3길 40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여중환 설명 측백나무는 중국 및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단양, 달성, 안동, 영양 등지에서 자라고 있다. 절벽 바위에 뿌리를 내리고 숲을 이루는 경우가 많으며, 주변환경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 주택과 마을 주변에 많이 심고 있다. 해평동 측백나무의 나이는 32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약 25m이다. 가지는 다섯 개로 갈라져 있는데 두 가지만이 정상적으로 자라고 있다. 조선 인조(16..
-
매학정일원 (梅鶴亭一圓)-경상북도 기념물 제16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2. 11. 18. 18:37
매학정일원 (梅鶴亭一圓)-경상북도 기념물 제16호 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16호 명칭 매학정일원 (梅鶴亭一圓) 분류 자연유산 / 명승/ 문화경관/ 건물지 수량 3,332㎡ 지정일 1974.12.10 소재지 경북 구미시 고아면 예강리 257-2 시대 소유.관리 매학정 설명 매학정은 초성이라 불리는 고산 황기로의 유적이다. 황기로는 이곳에서 자연을 벗삼아 서예를 즐겼으며, 진사시험에 합격했으나 벼슬길을 버리고 은둔하면서 학문에 임했다고 한다. 특히 초서를 잘 써서 초성(草聖)이라 불릴 정도의 명필가였다. 중종 28년(1533)에 처음 지어진 이곳은 본래 황기로의 할아버지인 상정공 황필의 휴양지였으나, 할아버지의 뜻을 받들어 정자를 다시 짓고 매학정이라 하여 서재로 사용하였다. 뒤에 그의의 사위인 옥산 이우의..
-
금오서원 (金烏書院)-경상북도 기념물 제60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2. 11. 18. 16:34
금오서원 (金烏書院)-경상북도 기념물 제60호 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60호 명칭 금오서원 (金烏書院)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교육기관/ 서원 수량 5,577㎡ 지정일 1985.10.15 소재지 경북 구미시 선산읍 원리 276 시대 소유.관리 금오서원 설명 야은 길재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길재(1353∼1419)는 정몽주·이색과 함께 고려 후기에 절의를 지킨 ‘고려삼은(三隱)’으로 불리는 학자이다. 그는 과거에 합격하여 벼슬길에 올랐으나 고려가 망하는 것을 알고 두 왕조를 섬길 수 없다하여 관직을 버리고 고향에 은거하였다. 조선이 건국되고 세자 이방원(태종)이 관직에 임명하였으나 거절하고 학문과 후학양성에만 전념했다. 금오서원은 선조 3년(1570)에 금오산 자락에 세웠으며 선조 ..
-
박정희대통령생가 (朴正熙大統領生家)-경상북도 기념물 제86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2. 11. 17. 10:57
박정희대통령생가 (朴正熙大統領生家)-경상북도 기념물 제86호 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86호 명칭 박정희대통령생가 (朴正熙大統領生家)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인물기념/ 탄생지 수량 2,672㎡ 지정일 1993.02.25 소재지 경북 구미시 상모동 171 외3필 시대 소유.관리 구미시 설명 이 건물은 우리나라의 제5대∼제9대 대통령을 역임한 박정희(朴正熙, 1917-1979) 대통령이 태어난 가옥이다 1917년 11월 14일 아버지 박성빈(朴成彬) 공과 어머니 백남의(白南義) 여사의 5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나서 구미초등학교와 1937년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살았던 곳이다. 대통령이 태어난 아래채는 좌측에는 앞뒤로 1칸씩의 온돌방, 우측에는 방앗간과 외양간 1칸씩이 배치되었으며, 앞쪽 온돌방이..
-
옥천 송시열 유허비 (沃川 宋時烈 遺墟碑 )-충청북도 기념물 제 45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2. 11. 14. 08:03
옥천 송시열 유허비 (沃川 宋時烈 遺墟碑 )-충청북도 기념물 제 45호 종목 충청북도 기념물 제45호 명칭 옥천 송시열 유허비 (沃川 宋時烈 遺墟碑 )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 1 기 지정일 1979.09.29 소재지 충북 옥천군 이원면 용방리 134-2 시대 소유.관리 은진송씨종중,조석호 설명 유허비란 한 인물의 행적을 기리고, 그의 옛 자취를 밝혀 후세에 알리고자 세우는 비로, 이 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송시열 선생을 기리고 있다. 우암 송시열(1607∼1689) 선생은 옥천 지방에서 출생한 조선의 대유학자이다. 그의 유학사상은 이율곡의 학통을 계승하여 기호학파의 주류를 이루었으며, 조선 인조 대 부터 숙종 대에 이르는 4대에 걸친 노론의 대표로서 정계에서 크게 활약하였고, 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