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
기장향교 (機張鄕校)-부산광역시 기념물 제39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14. 15:29
기장향교 (機張鄕校)-부산광역시 기념물 제39호 종목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39호 명칭 기장향교 (機張鄕校)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교육기관/ 향교 수량 4,222㎡ 지정일 1996.05.25 소재지 부산 기장군 기장읍 교리 59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부산광역시향교재단 설명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기장향교는 조선 광해군 9년(1617)에 처음 지었다. 철종 6년(1855)의 성묘중수기(聖廟重修記)가 남아 있는데, 지금 있는 대부분의 건물은 이 때 지어진 것이다. 건물 배치는 교육 공간인 명륜당을 앞에 두고, 제사 공간인 대성전을 뒤로 한 전학후묘의 공간 구성을 이루고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 명륜당, 동재·서재..
-
해운대동백섬 (海雲臺冬栢섬)-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6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14. 14:31
해운대동백섬 (海雲臺冬栢섬)-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6호 종목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6호 명칭 해운대동백섬 (海雲臺冬栢섬)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지구과학기념물/ 지질지형 수량 일원 지정일 1999.03.09 소재지 부산 해운대구 우동 783-1일원 시대 소유.관리 설명 동백나무가 자생하는 남해안에는 동백섬이란 이름을 가진 섬들이 많다. 현재 부산 해운대구의 해안대도 일반 명칭은 동백섬으로 섬 전체를 붉게 물들이는 동백나무가 섬의 이름이 되었다. 해운대는 원래 섬이었으나, 육지에 가까이 있어 흐르는 물에 흙, 모래, 자갈 등이 내려와 쌓이면서 육지와 연결된 육계도이다. 군사보호지역이므로 해안의 모든 절경을 다 볼 수는 없지만, 인어상이 있는 해운대 바닷가쪽 암반과 절경만으로도 가히 천하제일이라 할 ..
-
양천 허씨의 허가바위-서울특별시 기념물 제11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14. 00:00
허가바위-서울특별시 기념물 제11호 종목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11호 명칭 허가바위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문화역사기념물/ 민속 수량 160㎡ 지정일 1991.12.24 소재지 서울 강서구 가양동 산1-2 시대 소유.관리 서울시,강서구 설명 허가바위는 옛날 석기시대 사람들이 조개와 물고기를 잡으며 살았으리라 추측 되는 강가에 있는 천연적인 바위동굴이다. 올림픽대로가 건설되면서 육지로 변하였으며, 현재는 영등포공고 정문 앞에 자리하고 있다. 이 굴이 속한 강서구의 최초 이름은 ‘제차파의현인데’, ‘제차’는 차례 또는 갯가, ‘파의’는 바위라는 의미로 강서구의 최초 이름이 이곳에서 나왔음을 알 수 있다. 이곳은 양천허씨의 시조 ‘허선문’이 태어났다는 설화가 있어, 이 굴을 양천 허씨의 발상지라고도 부른..
-
서울에 있는 유일한 양천향교터 (陽川鄕校 터)-서울특별시 기념물 제8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13. 23:57
양천향교터 (陽川鄕校 터)-서울특별시 기념물 제8호 종목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8호 명칭 양천향교터 (陽川鄕校 터)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교육기관/ 향교 수량 1,782㎡ (8동) 지정일 1990.06.18 소재지 서울 강서구 가양동 234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재단법인서울특별시향교재단 설명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양천향교는 조선 태종 11년(1411)에 처음 지었으며, 최근인 1981년에 전면 복원하였다. 지금 남아 있는 건물로는 제사 공간인 대성전, 교육 기능을 수행하는 강당인 명륜당, 학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서재, 내삼문, 외삼문 등이다.대성전의 안쪽에는 공자를 중심으로 그의 제자들과 중국과 우리나라의 성현의 위패..
-
제 2대 국회의장이었던 해공신익희가옥 (海公 申翼熙 家屋)-서울특별시 기념물 제23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2. 1. 15:07
해공신익희가옥 (海公 申翼熙 家屋)-서울특별시 기념물 제23호 종목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23호 명칭 해공신익희가옥 (海公 申翼熙 家屋)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건물 2동(-안채 60.2㎡, 사랑채 31.1㎡) 지정일 2005.02.11 소재지 서울 종로구 효자동 164-2 시대 기타 소유.관리 (사)해공신익희선생기념회 설명 이 집은 독립운동가로서 해방 후 초대 국회의장을 역임한 해공 신익희 선생(1894 ~1956)이 국회의장직에서 물러난 1954년 8월부터 1956년 5월 5일 민주당 대통령 후보 자격으로 호남 지역 유세를 위해 전주로 내려가던 중 갑자기 세상을 떠나기까지 약 1년 9개월 여 거주한 곳이다. ‘ㄱ'자형 안채와 사랑채 2동으로 구성 된이 집은 집장수들이 조선시..
-
세검정터 (洗劍亭 터)-서울특별시 기념물 제4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1. 30. 15:13
세검정터 (洗劍亭 터)-서울특별시 기념물 제4호 종목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4호 명칭 세검정터 (洗劍亭 터)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조경건축/ 누정 수량 일원 지정일 1976.11.11 소재지 서울 종로구 신영동 168-6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서울시,종로구 설명 세검정은 조선 숙종(재위 1674∼1720)때 북한산성을 축조하면서 군사들의 휴식처로 세웠다고도 하며, 연산군(재위 1494∼1506)의 유흥을 위해 지은 정자라고도 전한다. 세검정이란 이름은 광해군 15년(1623) 인조반정 때 이곳에서 광해군의 폐위를 의논하고 칼을 갈아 날을 세웠다고 한데서 세검(洗劍)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이 정자는 평면상 T자형이고,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영조 ..
-
단양금굴구석기유적 (丹陽금굴遺蹟)-충청북도 기념물 제102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1. 5. 12:44
단양금굴유적 (丹陽금굴遺蹟) 충청북도 기념물 제102호 종목 충청북도 기념물 제8호102 명칭 단양금굴유적 (丹陽금굴遺蹟) 분류 유적건조물 / 유물산포지유적산포지/ 유적분포지/ 유적분포지 수량 4,348㎡ 지정일 1994.12.30 소재지 충북 단양군 단양읍 도담리 산4-18 시대 소유.관리 장인환,단양군 설명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구석기 문화 유적으로 전기구석기부터 청동기시대에 이르는 거의 모든 시기의 유물층이 발견되어 각 문화층의 성격을 찾아볼 수 있다. 1980년 충주댐 건설로 인한 수몰지역에 실시된 문화유적 지표조사에서 구석기시대의 동굴유적임이 확인되었다. 이후 3차례에 걸친 발굴조사 결과 구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까지 여러 시기에 걸쳐 문화가 형성되었음이 밝혀졌으며, 출토된 유물을 통해 구석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