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
청원 손병희 생가 (淸原 孫秉熙 生家)-충청북도 기념물 제30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3. 24. 16:35
청원 손병희 생가 (淸原 孫秉熙 生家)-충청북도 기념물 제30호 종목 충청북도 기념물 제30호 명칭 청원 손병희 생가 (淸原 孫秉熙 生家)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인물기념/ 순절지 수량 일원 지정일 1979.09.29 소재지 충북 청원군 북이면 금암리 385-2 시대 소유.관리 사유,손기호 설명 구한말 동학자이자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 분인 손병희(1861∼1922) 선생이 태어난 곳이다. 고종 19년(1882) 22세 때 동학(후에 천도교)에 입문하여, 1894년 동학농민운동 당시 충청도와 경상도에서 관군과 싸웠으며, 1897년에는 동학의 3대 교주가 되었다. 1919년 천도교측의 대표로 3.1운동의 주축이 되어 독립을 선언하였다가 일본경찰에 체포된 후, 서대문 형무소에서 복역 ..
-
산청생초고분군 (山淸生草古墳群)-경상남도 기념물 제7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3. 20. 22:38
산청생초고분군 (山淸生草古墳群)-경상남도 기념물 제7호 종목 경상남도 기념물 제7호 명칭 산청생초고분군 (山淸生草古墳群)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고분군 수량 26,234㎡ 지정일 1974.02.16 소재지 경남 산청군 생초면 어서리 산93-1번지외 1필지 시대 가야 소유.관리 산청군 설명 태봉산 남쪽의 언덕에 위치한 무덤들이다. 원래는 100여기 이상의 무덤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개간과 도굴로 대부분 파헤쳐져 지금은 능선을 따라 2∼3기만 확인할 수 있다. 봉분의 규모는 외형상 대형이 지름 25∼30m·높이 6∼8m이며, 중형은 지름 15∼20m·높이 4∼5m, 소형은 지름 10m 내외, 높이 3m 정도이다. 내부는 돌로 돌방(석실)을 만들고 천장을 좁혀 뚜껑돌을 덮고, 입구와 통로가 있는..
-
지리산대원사일원 (智異山大源寺一圓)-경상북도 기념물 제114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3. 20. 17:35
지리산대원사일원 (智異山大源寺一圓) -경상북도 기념물 제114호 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114호 명칭 지리산대원사일원 (智異山大源寺一圓) 분류 자연유산 / 명승/ 문화경관/ 건물지 수량 104,800㎡ 지정일 1991.12.23 소재지 경남 산청군 삼장면 유평리 산4-1번지외 3필지 시대 소유.관리 대한불교조계종대원사 설명 지리산의 대원사 주변은 자연의 아름다움과 신비로움을 볼 수 있다. 비구니의 수도장으로 유명한 대원사는 신라 진흥왕 때 연기조사가 처음 지었다고 한다. 그 후 1948년 여순반란 사건으로 불탄 것을 1959년 다시 지었다. 사찰 안에는 대웅전, 사리전, 종각들의 건물과 조선 전기의 대원사다층석탑(보물 제1112호)이 남아 있다. 대원사 입구 주차장에서 대원사까지 약 2㎞에 이르는 계곡은..
-
문무왕의 화장터로 추정되는 경주능지탑지 (慶州陵只塔址)-경상북도 기념물 제34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3. 13. 19:40
경주능지탑지 (慶州陵只塔址) -경상북도 기념물 제34호 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34호 명칭 경주능지탑지 (慶州陵只塔址)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역사사건/ 역사사건 수량 일원 지정일 1982.08.04 소재지 경북 경주시 배반동 621-1 시대 소유.관리 국유,중생사 설명 경북 경주시 남산에 흐트러져 있던 탑의 재료를 새로 맞추어 놓은 것으로 예로부터 능지탑 또는 연화탑이라 불려왔다고 한다. 원래는 기단 사방에 12지신상을 새긴 돌을 세우고 그 위에 연꽃무늬가 있는 석재를 쌓아올린 5층석탑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 문무왕(재위 661∼681)은 임종 후 10일 내에 왕궁 밖 뜰에서 검소하게 화장하라고 유언하였는데, 탑 주변에서 문무왕릉비 조각이 발견되고 사천왕사, 선덕여왕릉..
-
서악서원 (西岳書院)-경상북도 기념물 제19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3. 12. 17:27
서악서원 (西岳書院)-경상북도 기념물 제19호 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19호 명칭 서악서원 (西岳書院)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교육기관/ 서원 수량 3,699㎡ 지정일 1975.12.30 소재지 경북 경주시 서악동 615 시대 소유.관리 김창우외2명 설명 신라 삼국통일의 중심인물인 김유신 장군과 신라 학자인 최치원, 설총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조선 명종 때 문신인 이정(1512∼1571)이 경주부윤이라는 벼슬을 지낼 때 지방 유림과 뜻을 같이하여 명종 18년(1563)에 세운 것이다. 선도산 아래에 ‘서악정사’로 세운 것은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고 1602년 묘우, 1610년 강당과 동·서재를 새로 지었다. 인조 원년(1623)에 국가가 인정한 사액서원으로 ‘서악’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