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
청도명대리뚝향나무 (淸道明大里뚝향나무)-경상북도 기념물 제100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1. 4. 25. 07:17
분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생물과학기념물 / 생물상 수량(면적) : 1주(588㎡) 지정(등록)일 : 1994.09.29 소재지 : 경북 청도군 각북면 명대리 30번지 소유자.관리자 : 김해김씨절효문중 향나무는 상나무 또는 노송나무라고 부르기도 한다. 잎에는 바늘 모양과 비늘 모양 두 가지 형이 있는데, 한 나무에 함께 나기도 한다. 꽃은 4월에 피며 둥근 열매를 맺는다. 목재는 단단하고 치밀하며, 나무결은 곧고 아름다운 광택이 있다. 나무 속부분은 강한 향기를 가지고 있어 제사 때 향료로 사용되었으며, 정원이나 공원의 울타리용으로 많이 심고 있다. 청도 명대리의 뚝향나무는 운계사(雲溪祠) 앞 우물가 언덕배기에 위치하고 있다. 나이는 32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약 5m, 동서로 퍼진 가지폭..
-
오졸재박한주여표비및비각 (迂拙齋朴漢株閭表碑및碑閣)-경상북도 기념물 제104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1. 4. 24. 17:19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면적 420㎡ 지정(등록)일 1995.01.14 소재지 경북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 178-1번지 소유자 밀양박씨 흑석문중 조선 전기의 문신인 박한주 선생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비이다. 오졸재 박한주(1459∼1504) 선생은 김종직의 문인으로, 성종 16년(1485)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정언, 성균관전적 등의 벼슬에 종사하였다. 연산군의 어지러운 정치를 강직한 언행으로 아뢰다가 왕과 훈구파에게 미움을 받아 무오사화 때 유배되었으며, 연산군 10년(1504) 갑자사화에 관련되어 처형당하였다. 중종 반정 후 명예가 회복되어 도승지 겸 예문관직제학에 추증되었다. 비는 네모난 받침돌 위에 거대한 비몸돌을 세우고 머릿돌을 올린 모습이다. 인조 7년(1692)에 세..
-
청도 탁영종택 (淸道 濯纓宗宅)-경상북도 기념물 제161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1. 4. 24. 12:18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인물기념 / 생활유적 수량 1곽(1,418미터제곱) 지정(등록)일 2008.02.18 소재지 화양읍 토평리 145-1 소유자 관리자 이 건물은 조선초 사림파의 대표적인 인물인 탁영 김일손(1464~1498) 선생의 종택이다. 선생의 자는 계운(季雲), 호는 탁영(濯纓), 본관은 김해로 토평리(백곡)에서 김맹(金孟)의 三子로 태어났다. 1498년에 {성종실록}을 편찬할 때 스승 김종직이 쓴 {조의제문}을 사초에 실은 것이 문제가 되어 연산군의 무오사화때 화를 입었다. 중종반정(1506) 후 신원 되었고 이후 이조판서에 추증, 문민(文愍) 이라는 시호가 내렸다. 종택은 선생의 문집 등을 보관한 영모각, 안채, 사랑채, 행랑채 그리고 선생 내외분의 위패를 봉안한 부조묘로 구성되..
-
청도읍성 (淸道邑城)-경상북도 기념물 제103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1. 4. 24. 11:36
분류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면적6,570㎡지정(등록)일1995.01.14소재지경북 청도군 화양읍 교촌리,동삼리,동천리관리자청도군읍성이란 군이나 현의 주민을 보호하고, 군사적·행정적인 기능을 함께 하는 성을 말한다.청도읍성은 남쪽이 높고 북쪽이 낮은 자연지형을 이용하여 지은 성으로, 산성과 평지성의 중간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읍지』의 기록에 따르면 성의 둘레는 1570보(1880m)이고, 높이는 5자 5촌(1.7m)이었다고 하나, 일제시대 때 읍성 철거정책에 따라 대부분이 헐리었고, 지금은 성벽의 바닥과 일부만이 남아있다. 성의 평면형은 사각형에 가까우며, 동·서·북쪽에 문터가 남아 있다.청도읍성은 고려 때부터 있었으며, 당시에는 돌과 흙을 섞어 쌓은 것이었는데, 조선 선조 23년(1590..
-
교산리고인돌군 (橋山里 고인돌群)-인천광역시 기념물 제48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1. 3. 23. 13:44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지석묘 수량 11기 / 보호구역 287,625㎡ 지정(등록)일 1999.04.26 소재지 인천 강화군 양사면 교산리 산108번지 등 총34필지 시대 청동시대 소유자 인천광역시 강화군청 관리자 인천광역시 강화군청 별립산(해발 340m) 북쪽 구릉에 11기의 고인돌무덤이 분포하고 있다. 고인돌무덤은 굄돌과 덮개돌의 일부만 훼손되었을 뿐 대체로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굄돌과 마감돌 및 덮개돌을 갖춘 북방식 고인돌무덤이 있으며 간혹 크기가 3∼4m나 되는 덮개돌을 갖춘 남방식 계통의 고인돌무덤도 있는데 이들은 굄돌 없이 땅위에 덮개돌만 놓은 이른바 개석식 고인돌무덤이다.
-
공주 마곡사 (公州 麻谷寺)-충청남도 기념물 제192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1. 2. 15. 15:02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수량/면적 40,494㎡ 지정(등록)일 2018.01.22 소재지 충청남도 공주시 마곡사로 966 (사곡면, 마곡사) 소유자 마곡사 관리자 마곡사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는 한국의 대표적인 사찰 중 하나로 세계유산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중 하나. 1851년 쓰여진 태화산마곡사사적입안에 따르면 640년 신라의자장율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데 보다 뚜렷한 창건기록은 9세기 중반 보여짐. 개울을 사이에 두고 남원(영산전영역, 수행공간), 북원(대웅보전영역, 예불공간) 두개의 원으로 구분된 매우 특이한 가람구성을 갖고 있음. 보물 제800호 공주마곡사 영산전을 비롯한 많은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 근대 불화의 중심지 중 하나인 남방화소로 불리며 근대불교문..
-
거제윤돌섬상록수림 (巨濟윤돌섬常綠樹林)-경상남도 기념물 제239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0. 12. 13. 14:21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생물과학기념물 / 생물상 수량/면적 11,207㎡ 지정(등록)일 2002.02.14 소재지 경남 거제시 일운면 구조라리 산72번지 소유자,관리자 거제시 윤돌섬은 구조라리 서쪽, 양지마을 남쪽 500m 해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11,207m(3,390평)이고 섬의 70∼80%가 상록활엽수로 덮여있는 무인도이다. 상록수림을 형성하고 있는 주된 수종은 동백나무와 구실잣밤나무의 점유율이 가장 높다. 그 외에도 광나무·팔손이·센달나무·자금우·보리밥나무·남오미자·돈나무 등의 상록수가 자라고 있다. 상록수림 바닥에는 이대(신위대)가 무성하고 남쪽 절벽 가까이는 해송이 번성하고 있다. 특히 이 섬의 남쪽 높은 곳에는 1m 높이의 나무 둘레가 2.5∼3.5m나 되는 구실잣밤나무 노거..
-
군산 선유도 고려유적 (群山 仙遊島 高麗遺蹟)-전라북도 기념물 제135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0. 12. 5. 17:53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궁궐터 면적 833㎡ 지정(등록)일 2017.04.07 소재지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선유도리 134 시대 고려시대 소유자,관리자 서긍의 『선화봉사고려도경』은 고려시대 군산도(현 선유도)가 송나라 사신을 영접했던 곳으로서 오룡묘와 숭산행궁, 군산정, 자복사와 객관 등이 존재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2013년 숭산행궁터에 대한 조사 결과 건물지와 고려시대 기와, 청자류가 출토되었다. 선유도 숭산행궁은 고려시대에 숭산행궁이 국가적 차원에서 관리되고 있었던 동북아시아 외교의 역사적 현장이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전라북도 기념물 제135호 군산 선유도 고려유적 (群山 仙遊島 高麗遺蹟) | 국가문화유산포탈 | 우리지역 문화재 (heritage.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