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
철원향교지 (鐵原 鄕校址)-강원도 기념물 제87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0. 10. 19. 10:29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면적 52,950㎡ 지정(등록)일 2006.07.28 소재지 철원군 철원읍 월하리 67번지 외 21필지 소유자 철원군 ○ 철원향교는 철원군 철원읍 월하리 현 위치에 조선시대 초기에 건립되어 6.25때까지 존속해 있으면서 철원지방 정신문화의 구심점 역할을 하였던 곳으로, 향교지 아래층 유적과 주변 토성 등 성격이 파악되지 않았으나 훼손의 우려가 있으므로 우선 지정하여 보호하고 추후 조사하여 유적의 성격을 명확히 규명하고자 함.
-
죽주산성 (竹州山城)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0. 7. 5. 10:30
경기도 기념물 제69호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수량 일원 지정일 1973.07.10 소재지 경기 안성시 죽산면 죽양대로 111-71 (매산리) 소유자 관리자 안성시 죽산은 충청북도 청주와 충주가 만나는 중부 내륙의 길목이어서 일찍부터 서울로 통하는 중요한 곳으로 여겨져 왔다. 고려 고종 23년(1236) 몽고군이 죽주산성에 이르러 항복을 권유하자 죽주방호 별감 송문주 장군이 15일 동안을 싸워 적을 물리쳤다. 장군은 일찍이 귀주성싸움에서 몽고군의 공격법을 알고 있어 대비하였으므로, 백성들이 ‘신명(神明)’이라 하였다. 조선시대에도 이 지역의 전략적 중요성이 강조되어 성을 보수하였으며, 병자호란 때에는 진을 치기도 하였다. 현재 성의 둘레는 1688m, 높이는 2.5m 정도이며 부분적..
-
이매창묘 (李梅窓墓)-전라북도 기념물 제65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0. 4. 6. 10:24
이매창묘 (李梅窓墓) 전라북도 기념물 제65호 종목 전라북도기념물 제65호 명칭 이매창묘 (李梅窓墓)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기타 수량 1기 지정일 1983.08.24 소재지 전북 부안군 부안읍 서외리 567번지 시대 소유.관리 이계찬 설명 조선 중기에 부안 현리였던 이양종의 서녀로 태어난 이매창(1573∼1610)의 묘이다. 매창은 그녀의 호이며, 이름은 태어난 해가 계유년이어서 계생, 계랑이라 하였다. 아버지에게서 한문을 배웠으며 시와 글씨가 뛰어나 황진이에 버금가는 명기이자 조선 여류 시인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또『홍길동전』의 저자인 허균이나 유희경 등의 시인과도 가까웠던 사이로 전해진다. 광해군 2년(1610) 여름 세상을 떠나자 거문고와 함께 묻혔으며 그녀의 대표적인 시 ‘이화우..
-
신석정고택 (辛錫正故宅)-전라북도 기념물 제84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0. 4. 5. 19:57
신석정고택 (辛錫正故宅) 전라북도 기념물 제84호 종목 전라북도기념물 제84호 명칭 신석정고택 (辛錫正故宅)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인물기념 / 생활유적 수량 일곽(304㎡) 지정일 1993.08.31 소재지 전북 부안군 부안읍 석정로 63 (선은리) 시대 소유.관리 송덕녀 설명 한국시단의 거목인 신석정(1907-1974) 선생이 살았던 곳이다. 선생은 전라북도 부안 출신으로 17세에 조선일보에 「기우는 해」를 발표하면서 등단하였다. 1931년 『시문학』지에 시 「선물」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인 작품활동을 전개하였다. 1930년대 최초의 모더니스트라 불리울만큼 서구의 낭만시와 한국적인 면을 가미한 문단의 거인으로 성장하였다. 석정은 조국을 빼앗겼던 일제의 억압속에서도 질긴 시혼으로 민족혼의 배양토 ..
-
제천 배론성지 (堤川 舟論聖地)-충청북도 기념물 제118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9. 10. 6. 15:00
제천 배론성지 (堤川 舟論聖地) -충청북도 기념물 제118호 종목 충청북도기념물 제118호 명칭 제천 배론성지 (堤川 舟論聖地)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천주교 / 성당 수량 1廓 지정일 2001.03.02 소재지 충북 제천시 봉양읍 배론성지길 296 (구학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재단법인천주교원주교구 설명 조선 순조 1년(1801)에 있었던 천주교 박해 때부터 지금까지 천주교 신자들이 많이 찾는 천주교의 성지이다. ‘배론’이라는 이름은 이곳의 지형이 마치 배 밑바닥과 같은 모양이라해서 붙여진 것이다. 유적으로는 조선 후기 천주교도 황사영이 머무르며 ‘백서’를 썼던 토굴과 성 요셉 신학교, 최양업 신부의 묘가 있다. 1801년 천주교에 대한 박해가 일어나자 황사영은 이 토굴에서 교회의 재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