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보물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및 비 (軍威 麟角寺 普覺國師塔 및 碑)-Stupa of State Preceptor Bogak and Stele at Ingaksa Temple, Gunwi -보물 제428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10. 29. 15:51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수량 2기 지정(등록)일 1965.09.01 소재지 경북 군위군 고로면 삼국유사로 250, , 613-1 인각사 (화북리) 시대 고려시대 소유자 인각사 관리자 인각사 고려 충렬왕 15년(1289)에 입적한 보각국사 일연의 사리탑과 그의 행적을 기록해 놓은 탑비이다. 일연은 『삼국유사』를 저술하는 등 많은 업적을 이룬 승려인데, 노년에 인각사에서 늙으신 어머니를 지극히 봉양하였다고 한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아침에 해가 뜰 때 이 탑에서 광채가 나와 멀지 않은 곳에 있는 일연스님 어머니의 묘를 비추었다고 한다. 탑은 자연석으로 된 바닥돌 위에 8각의 아래받침돌을 놓았는데 윗면이 급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가운데받침돌 역시 8각으로, 동물을 조각하였으나 뚜렷하지..
-
군위 대율리 석조여래입상 (軍威 大栗里 石造如來立像)-보물 제988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10. 28. 18:24
위 대율리 석조여래입 (軍威 大栗里 石造如來立像) -보물 제988호 종목 보물 제988호 명칭 군위 대율리 석조여래입상 (軍威 大栗里 石造如來立像)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 1 구 지정일 1989.04.10 소재지 경상북도 군위군 부계면 한밤8길 21-1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대*** 설명 대율사 용화전 안에 모셔진 불상으로 둥근 대좌(臺座)위에 올라서 있으며 높이가 2.65m이다. 민머리 위에 있는 낮고 넓은 머리(육계), 둥근 얼굴, 아담한 눈과 입, 어깨까지 내려진 긴 귀 등에서 세련된 모습을 보여준다. 오른손은 손바닥을 밖으로 하여 손끝이 위로 향하도록 펴고 있으며, 왼손은 손바닥을 몸쪽으로 하여 가슴에 대고 있는 독특한 모양이다. 양 어깨에 걸쳐진 옷은 가슴과 배를 지나..
-
양산이씨 종가 고문서 (梁山李氏 宗家 古文書)- 보물 제1001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8. 4. 19:30
양산이씨 종가 고문서 (梁山李氏 宗家 古文書) 보물 제1001호 종목 보물 제1001호 명칭 양산이씨 종가 고문서 (梁山李氏 宗家 古文書) 분류 기록유산/문서류/국왕문서/교령류 수량 일괄 6종16점 지정일 1989.05.23 소재지 강원도 속초시 설악산로 1137 (설악동, 신흥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이***,양*** 설명 이 문서는 거의 조선 전기의 것으로, 양산이씨의 시조(始祖)인 이전생과 조선 전기 이름난 3명의 형제장수인 징석과 징옥, 징규와 그들을 포함하여 직계후손 몽란까지의 장남, 자손들에 관련된 문서이다. 총 6종 16점이다. 이전생은 고려시대 문과에 급제하여 공민왕 20년(1371) 순찰사로 경남지방을 돌아보았고, 지금의 양산군 하북면 삼수리에 정착하여 살게 되니 여기서 양산 이씨가..
-
속초 신흥사 극락보전 (束草 神興寺 極樂寶殿)-보물 제1981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6. 30. 18:25
속초 신흥사 극락보전 (束草 神興寺 極樂寶殿) 종목 보물 제1981호 명칭 속초 신흥사 극락보전 (束草 神興寺 極樂寶殿)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불전 수량 1동 / 105.9㎡ 지정일 2018.06.04 소재지 강원도 속초시 설악산로 1137 (설악동, 신흥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신흥사 설명 속초 신흥사는 외설악 동사면 기슭에 위치하는 사찰로 신라 진덕여왕 6년(652년) 자장율사(慈藏律師)가 향성사로 창건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창건 후 소실 된 사찰을 임진왜란 이후 1644년(인조 22년) 향성사 옛터에서 아래로 10리 떨어진 곳에 신흥사로 다시 세웠고, 그 후 여러 차례의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신흥사 극락보전은「설악산신흥사대법당중창기」(1749년), 「신흥사극락전중수기」(1..
-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益山 彌勒寺址 西塔 出土 舍利莊嚴具)보물 제1991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6. 30. 17:52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益山 彌勒寺址 西塔 出土 舍利莊嚴具) -보물 제1991호 ⊙문화재청공고 제2022-365호 문화재보호법 시행령 제11조 제4항의 규정에 따라 국가지정문화재(국보ㆍ보물) 지정 가치가 있다고 평가된 총 7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예고합니다. 2022. 11. 1. 문 화 재 청 장 1. 공 고 명 : 국가지정문화재(국보ㆍ보물) 지정 및 해제 예고 2. 공고사항 가. 국가지정문화재(국보) 지정 예고 : 총 1건 1) (보물)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 9점 종목 보물 제1991호 명칭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益山 彌勒寺址 西塔 出土 舍利莊嚴具) 분류 유물/불교공예/사리장치/사리장치 수량 총9점(사리외호 1점, 사리내호 1점, 사리봉영기 1점, 청동..
-
백자 청화투각모란당초문 항아리 (白磁 靑畵透刻牡丹唐草文 立壺)- 보물 제240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6. 28. 22:23
백자 청화투각모란당초문 항아리 (白磁 靑畵透刻牡丹唐草文 立壺) - 보물 제240호 종목 보물 제240호 명칭 백자 청화투각모란당초문 항아리 (白磁 靑畵透刻牡丹唐草文 立壺)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백자 수량 1개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국유,국립중앙박물관 설명 백자 청화투각모란당초문 항아리(白磁 靑畵透刻牡丹唐草文 立壺)는 조선시대 몸체를 뚫을새김한 높이 26.7㎝, 아가리 지름 14.25㎝의 백자 항아리이다. 반듯한 아가리에 어깨에서부터 급히 벌어졌다가 서서히 좁아진 모습으로 내·외의 이중구조로 되어 있다. 안쪽 항아리는 문양이 없으며, 바깥 항아리는 표면을 뚫어서 조각하는 기법으로, 몸체 전면에 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