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보물
-
금동보살입상 (金銅菩薩立像)-보물 제333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6. 25. 12:49
금동보살입상 (金銅菩薩立像) 보물 제333호 종목 보물 제333호 명칭 금동보살입상 (金銅菩薩立像) 분류 유물/불교조각/금속조/보살상 수량 1구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삼국시대 소유.관리 국유,국립중앙박물관 설명 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은 삼국시대 보살상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높이 15.1㎝의 조그만 작품이다. 머리에는 특이한 형태의 관(冠)을 쓰고 있으며, 몸에 비해 다소 긴 얼굴에는 잔잔한 미소가 번지고 있다. 체구는 자그마하지만 당당하고 강직해 보이며, 온몸을 감싸고 있는 옷 때문에 신체의 윤곽은 잘 드러나지 않는다. 옷은 좌우대칭을 이루면서 X자로 교차되며 날리듯 표현되어 힘이 넘친다. 손은 삼국시대..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Gilt-bronze Pensive Maitreya Bodhisattva-보물 제331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6. 25. 11:40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보물 제331호 종목보물 제331호명칭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분류유물/불교조각/금속조/불상수량1구지정일1963.01.21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삼국시대소유.관리국유,국립중앙박물관설명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은 왼다리를 내리고 걸터 앉아서 오른손을 들어 두 손가락을 살짝 뺨에 대고 생각하는 듯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 미륵보살상이다. 긴 얼굴은 눈꼬리가 치켜 올라가고 미소가 없는 정적인 표정이다. 머리는 평평하게 표현되었고 그 위에 높은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있다. 가늘고 긴 몸은 양 어깨와 양 팔에만 옷을 살짝 걸치고 있으며, 옷주름은 단순하면서 ..
-
금동약사여래입상 (金銅藥師如來立像)-보물 제328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6. 24. 19:24
금동약사여래입상 (金銅藥師如來立像) 보물 제328호 종목 보물 제328호 명칭 금동약사여래입상 (金銅藥師如來立像) 분류 유물/불교조각/금속조/불상 수량 1구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국유,국립중앙박물관 설명 금동약사여래입상(金銅藥師如來立像)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높이 29㎝의 자그마한 금동불로, 광배(光背)와 대좌(臺座)는 없어졌지만 비교적 잘 보존된 약사여래입상이다. 약사여래는 모든 중생의 질병을 구제해준다는 의미를 지닌 부처로 손에 약합을 들고 있는 특징이 있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고 그 위로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큼직하게 솟아 있다. 풍만한 얼굴은 미소없이 근엄한 인상..
-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河南 下司倉洞 鐵造釋迦如來坐像)-보물 제332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6. 24. 15:31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河南 下司倉洞 鐵造釋迦如來坐像) 보물 제332호 종목 보물 제332호 명칭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 (河南 下司倉洞 鐵造釋迦如來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금속조/불상 수량 1구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국유,국립중앙박물관 설명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河南 下司倉洞 鐵造釋迦如來坐像)은 경기도 광주군 동부면 하사창리의 절터에서 발견된 고려시대의 철불 좌상이다. 얼굴은 둥글지만 치켜 올라간 눈, 꼭 다문 작은 입, 날카로운 코의 표현에서 관념적으로 변해가는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을 엿볼 수 있다. 목에는 3줄의 주름인 삼도(三道)가 뚜렷하게 표시되어 있으나 가슴까지 내려와..
-
조헌 관련 유품 (趙憲 關聯 遺品)-보물 제1007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5. 10. 17:24
조헌 관련 유품 (趙憲 關聯 遺品) 보물 제1007호 종목 보물 제1007호 명칭 조헌 관련 유품 (趙憲 關聯 遺品) 분류 기록유산/문서류/문서류/문서류 수량 일괄 (6종 7점) 지정일 1989.08.01 소재지 충남 금산군 금성면 의총길 50, 칠백의총관리소 (의총리,칠백의 총)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국유,문화재청 칠백의총관리소 설명 조선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당시 충청도 의병장으로 금산벌판에서 왜병과 싸우다 순사한 중봉 조헌(1544∼1592)이 남긴 유물로 총 6종 7점이다. 조헌은 의병장으로, 문과에 급제한 후 호조좌랑, 예조좌랑, 감찰을 거쳐 보은현감으로 나갔으나, 여러 번 재등용되었는데 사직하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옥천에서 1,700여명의 의병을 일으켜 영규대사와 합세..
-
익산 미륵사지 금동향로 (益山 彌勒寺止 金銅香爐)-보물 제1753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5. 8. 21:50
익산 미륵사지 금동향로 (益山 彌勒寺止 金銅香爐) 종목 보물 제1753호 명칭 익산 미륵사지 금동향로 (益山 彌勒寺止 金銅香爐) 분류 유물/불교공예/공양구/공양구 수량 1점 지정일 2012.02.22 소재지 전라북도 익산시 미륵사지로 362 (금마면, 미륵사지박물관)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국유,국립미륵사지유물전시관 설명 미륵사지 금동향로의 조형에 대해서는 국내의 자료가 전무하여 중국과 일본 수각형 향로를 중심으로 살펴볼 수밖에 없다. 우선 중국 수각형 향로 가운데 미륵사지 향로와 비교되는 당대(唐代)의 작품이 여러 점 확인된다. 그 중에서도 6개의 다리와 6수면(獸面)을 지닌 741년의 경산사지(慶山寺址)출토의 향로가 미륵사지 향로의 조형과 유사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미륵사지 향로는 당대에 만들어..
-
윤봉길의사 유품 (尹奉吉義士 遺品)-보물 제568-3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4. 24. 11:45
윤봉길의사 유품 (尹奉吉義士 遺品) 종목 보물 제568-3호 명칭 윤봉길의사 유품 (尹奉吉義士 遺品) 분류 기록유산/문서류/문서류/문서류 수량 17종 27점 지정일 1976.05.21 소재지 충남 예산군 시대 일제강점기 소유.관리 설명 윤봉길은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량리에서 태어나, 덕산보통학교와 오치서숙에서 공부하였고 19세 때 고향에 야학을 세워 농촌계몽운동을 시작했다. 20세 때 각곡독서회를 조직하고 『농민독본』을 편찬했으며, 22세 때 월진회를 조직, 농촌운동을 정열적으로 전개하였다. 윤봉길의사는 22살 되던 해에 월진회를 조직하여 활동하였으며, 국내에서 독립운동이 어려워지자 23세때 중국으로 망명하여 1931년 김구선생의 한인애국단에 가입하였다. 그 뒤 항일 투쟁을 계속하다가 1932년 4월..
-
윤봉길의사 유품 (尹奉吉義士 遺品)-보물 제568-2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4. 24. 11:38
윤봉길의사 유품 (尹奉吉義士 遺品) 종목 보물 제568-2호 명칭 윤봉길의사 유품 (尹奉吉義士 遺品) 분류 기록유산/문서류/문서류/문서류 수량 10종 35점 지정일 1972.08.16 소재지 충남 예산군 시대 일제강점기 소유.관리 설명 윤봉길은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량리에서 태어나, 덕산보통학교와 오치서숙에서 공부하였고 19세 때 고향에 야학을 세워 농촌계몽운동을 시작했다. 20세 때 각곡독서회를 조직하고 『농민독본』을 편찬했으며, 22세 때 월진회를 조직, 농촌운동을 정열적으로 전개하였다. 윤봉길의사는 국내에서 독립운동이 어려워지자 23세때 중국으로 망명하여 1931년 김구선생의 한인애국단에 가입하였다. 그 뒤 항일 투쟁을 계속하다가 1932년 4월 29일 혼자 일본의 상해사변 전승축하회가 열리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