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보물
-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靑磁 象嵌雲鶴文 梅甁)-보물 제1869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6. 27. 13:33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靑磁 象嵌雲鶴文 梅甁) 보물 제1869호 종목 보물 제1869호 명칭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靑磁 象嵌雲鶴文 梅甁)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 수량 1점 지정일 2015.04.22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국유,국립중앙박물관 설명 이 청자는 고려 중기에 제작된 상감문이 장식된 전형적인 매병으로, 기형, 유색, 문양, 번조상태, 보존상태 등 여러 방면에서 고루 우수한 면모를 갖춘 최상급의 청자로 평가된다. 크기는 일반적인 매병보다 약간 작지만, 각 부위의 비례가 적절하고 긴장된 탄력감을 주는 우아한 맵시의 조형미가 우선 돋보인다. 이 매병의 가장 빼어난 점은 상감문양에 있다. 간결한 흑색 상감문으로 매병..
-
청자 구룡형 주전자 (靑磁 龜龍形 注子)-국보 제96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6. 27. 08:08
청자 구룡형 주전자 (靑磁 龜龍形 注子)보물 제452호 종목국보 제96호명칭청자 구룡형 주전자 (靑磁 龜龍形 注子)분류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수량1개지정일1962.12.20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고려시대소유.관리국유,국립중앙박물관설명청자 구룡형 주전자(靑磁 龜龍形 注子)는 고려시대 만들어진 청자 주전자로 연꽃 위에 앉아 있는 거북 모양이며, 높이 17.2㎝, 길이 20.2㎝의 크기이다. 얼굴은 매우 정교하고 실감나게 표현하였으며, 부분적으로 금을 칠하였다. 등 위에 붙어 있는 입는 오므린 연잎모양이고, 손잡이는 두 가닥의 연줄기가 꼬인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등 위에 음각된 거북등 무늬 안에는 ‘王’자를 하나씩 넣었다. 손..
-
청자 양각갈대기러기문 정병 (靑磁 陽刻葦蘆文 淨甁)-보물 제344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6. 26. 18:32
청자 양각갈대기러기문 정병 (靑磁 陽刻葦蘆文 淨甁) 보물 제344호 종목 보물 제344호 명칭 청자 양각갈대기러기문 정병 (靑磁 陽刻葦蘆文 淨甁)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 수량 1개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국유,국립중앙박물관 설명 청자 양각갈대기러기문 정병(靑磁 陽刻葦蘆文 淨甁)은 고려 중기에 만들어진 청자 정병으로 높이 34.2㎝, 아가리 지름 1.3㎝, 밑지름 9.3㎝이다. 몸통의 한 면에는 물가의 갈대와 그 밑에서 노닐고 있는 기러기 한 쌍을 새겼고, 다른 한 면에는 수양버들 아래서 쉬고 있는 원앙 한 쌍을 새겼다. 병 목의 중간에 있는 넓은 삿갓모양 마디의 윗면은 안쪽과 바깥쪽으로 나누어..
-
감은사지 동삼층석탑 사리장엄구 (感恩寺址 東三層石塔 舍利莊嚴具)-Reliquaries from the East Three-story Stone Pagoda at Gameunsa Temple Site-보물 제1359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6. 26. 16:47
감은사지 동삼층석탑 사리장엄구 (感恩寺址 東三層石塔 舍利莊嚴具) 보물 제139호 종목 보물 제1359호 명칭 감은사지 동삼층석탑 사리장엄구 (感恩寺址 東三層石塔 舍利莊嚴具) 분류 유물/불교공예/사리장치/사리장치 수량 일괄 (7점) 지정일 2002.12.07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국유,국립중앙박물관 설명 경상북도 월성군 감은사 터에 있는 감은사지삼층석탑(국보 제112호) 의 동쪽에 있는 석탑을 1996년도에 해체·수리하면서 발견된 일괄유물 중 사리 일괄품이다. 1959년에 발견된 감은사지서삼층석탑내유물(보물 제366호)인 청동제사리기와 구조가 비슷하며, 바깥을 감싸고 있는 외함과 안쪽의 사리기, 그리고 사리병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남양주 봉인사 부도암지 사리탑 및 사리장엄구 (南楊州 奉印寺 浮圖庵址 舍利塔 및 舍利莊嚴具)-보물 제928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6. 25. 19:31
남양주 봉인사 부도암지 사리탑 및 사리장엄구 (南楊州 奉印寺 浮圖庵址 舍利塔 및 舍利莊嚴具) 보물 제928호 종목 보물 제928호 명칭 남양주 봉인사 부도암지 사리탑 및 사리장엄구 (南楊州 奉印寺 浮圖庵址 舍利塔 및 舍利莊嚴具)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 일괄(1기,6점) 지정일 1987.07.29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국유,국립중앙박물관 설명 조선 광해군 때 세워진 사리탑과 그 안에서 발견된 여러 사리장치들이다. 광해군은 왕세자의 만수무강과 부처의 보호를 바라며 봉인사의 부도암이라는 암자에 사리탑을 세우게 하였는데, 사리탑에는 승려의 사리를 모시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탑에는 부처의 사리를 모셔두고 있다. 이 유물은..
-
금령총금관 (金鈴塚金冠)-보물 제338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6. 25. 16:58
금령총금관 (金鈴塚金冠) 보물 제338호 종목 보물 제338호 명칭 금령총금관 (金鈴塚金冠) 분류 유물/생활공예/금속공예/장신구 수량 1구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신라 소유.관리 국유,국립중앙박물관 설명 금령총금관(金鈴塚金冠)은 지금까지 발견된 금관 중에서는 가장 작으면서도 단순한 형식으로, 높이 27㎝, 지름 15㎝의 금관이다. 중앙 정면과 그 좌우에 山자형 장식을 4단으로 연결하고 가지 끝은 꽃봉오리형으로 마무리 했다. 山자형 장식의 좌우에는 사슴뿔 장식 가지 2개를 붙였다. 관 테와 5개의 가지에는 모두 같은 장식이 되어 있다. 표면 아래·위에 두 줄로 된 점무늬를 찍고, 그 사이에 나뭇잎 모양의 원판을 달아 장식했다...
-
석조지장보살좌상 (石造地藏菩薩坐像)-보물 제1327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6. 25. 16:34
석조지장보살좌상 (石造地藏菩薩坐像) 보물 제1327호 종목 보물 제1327호 명칭 석조지장보살좌상 (石造地藏菩薩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보살상 수량 1구 지정일 2001.10.25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국유,국립중앙박물관 설명 머리에 두건을 쓴 지장보살상으로 바위형태의 대좌에 앉아 있는 모습이다. 전체 높이가 33.4㎝ 정도의 작은 불상으로 몸체는 두껍게 도금이 되어 있고 대좌는 붉은 빛이 도는 칠을 하였다. 결가부좌한 모습의 지장보살상은 약간 앞으로 고개를 숙이고 있으며 목은 짧게 표현되었다. 양 어깨를 모두 감싼 옷을 입고 왼손에 보주를 들고 있다. 머리와 몸에 비해 다리와 양손이 작게 표현되어 있고, 조선시대 불교조각..
-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 (扶餘 軍守里 石造如來坐像)- 보물 제329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6. 25. 15:34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 (扶餘 軍守里 石造如來坐像) 보물 제329호 종목 보물 제329호 명칭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 (扶餘 軍守里 石造如來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보살상 수량 1구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삼국시대 소유.관리 국유,국립중앙박물관 설명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扶餘 軍守里 石造如來坐像)는 1936년에 충청남도 부여 군수리의 백제 절터를 조사할 때 발견된 불상으로, 곱돌로 만들었으며 4각형의 높은 대좌 위에 앉아 있는 백제 특유의 불상이다. 민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작은 머리(육계)가 솟아 있다. 네모난 얼굴은 두 볼에 웃음이 가득하고, 지그시 감은 눈·넓은 코·미소띤 입 등에서 부드럽고 온화한 분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