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보물
-
여수 흥국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 (麗水 興國寺 大雄殿 觀音菩薩 壁畵)-보물 제1862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9. 1. 28. 12:49
여수 흥국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 (麗水 興國寺 大雄殿 觀音菩薩 壁畵) -보물 제1862호 종목 보물 제1862호 명칭 여수 흥국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 (麗水 興國寺 大雄殿 觀音菩薩 壁畵) 분류 유물 / 불교회화 / 벽화 / 토벽화 수량 1점 지정일 2015.03.04 소재지 전라남도 여수시 흥국사길 160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흥*** 설명 여수 흥국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는 한지에 그려 벽에다 붙여 만든 첩부벽화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첩부벽화는 미황사 천불도 벽화에서 보듯이 보통 천장의 장엄화나 대량의 별화에 사용되었으나, 후불벽 전면에 예불화로서 그려진 예로는 이 벽화가 유일하다. 현재 국내에 전하는 조선후기 주불전 후불벽 뒷면의 관음보살도는 10여 점이 남아 있는데, 대부분 벽에다 직접 그린..
-
묘법연화경 목판-보물 제1908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9. 1. 15. 19:10
묘법연화경 목판 보물 제1908호 종목 보물 제1908호 명칭 묘법연화경 목판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목판각류 / 판목류 수량 104매 지정일 2016.09.01 소재지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전***,대*** 설명 전등사에 소장된 ‘『묘법연화경』 목판’은 중종 38년(1543) 마니산(摩尼山) 정수사(淨水寺)에서 성달생(成達生) 서체 계열의 인본을 복각하여 1판 4장의 형태로 조성한 것이다. 전체 105매 가운데 첫 부분인 변상(變相) 및 홍전서(弘傳序)로 구성된 1매가 결실되었고, 일부 목판에서 충해로 인한 훼손이 보이나 대부분의 경판은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다. 이 목판은 조선초기부터 16세기까지 성행되었던 성달생 서체 계열의 『묘법연화경』 가운데 시대가 가..
-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禮山 花田里 石造四面佛像)-Stone Buddhas in Four Directions in Hwajeon-ri, Yesan-보물 제794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9. 1. 13. 18:45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禮山 花田里 石造四面佛像) 보물 제794호 종목 보물 제794호 명칭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禮山 花田里 石造四面佛像)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 1기 지정일 1984.11.30 소재지 충남 예산군 봉산면 화전리 산62-3번지 시대 백제 소유.관리 국유,예산군 설명 1983년에 발견된 것으로 돌기둥 4면에 불상이 새겨져 있는 백제시대 유일의 사면불(四面佛)이다. 사면불은 일명 ‘사방불’이라고도 하는데, 동·서·남·북의 방위에 따라 사방 정토에 군림하는 신앙의 대상인 약사불, 아미타불, 석가불, 미륵불을 뜻한다. 남면에는 본존불로 생각되는 여래좌상이 있고, 나머지 면에는 여래입상이 각각 1구씩 새겨져 있다. 머리 부분은 많이 훼손된 채 서향과 북향만이 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