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보물
-
여주이씨 옥산문중 고문서 (驪州李氏 玉山門中 古文書)-보물 제1473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12. 25. 17:00
여주이씨 옥산문중 고문서 (驪州李氏 玉山門中 古文書) -보물 제1473호 종목 보물 제1473호 명칭 여주이씨 옥산문중 고문서 (驪州李氏 玉山門中 古文書) 분류 기록유산 / 문서류 / 문서류 / 문서류 수량 12종 98점 지정일 2006.07.18 소재지 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216-27경북경주시안강읍옥산서원길300-3,독락당(옥산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이*** 설명 여주이씨 옥산문중에는 회재 이언적(晦齋 李彦迪, 1491-1553)을 비롯하여 이 가문의 세대별 고문서가 잘 보전되어 있다. 이들 문서는 16~20세기 초까지 그 어느 문중보다 수량이 많고 종류가 다양하며 내용도 풍부하여 귀중한 자료이다. 지정대상은 시기를 선조 이전의 문서로 한정하여 교서(敎書) 1점, 유지(有旨) 7점, ..
-
이언적 수고본 일괄-속대학혹문 (李彦迪 手稿本 一括-續大學或問)-보물 제586-1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12. 25. 13:51
이언적 수고본 일괄-속대학혹문 (李彦迪 手稿本 一括-續大學或問) -보물 제586-1호 종목 보물 제586-1호 명칭 이언적 수고본 일괄-속대학혹문 (李彦迪 手稿本 一括-續大學或問)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 사본류 수량 1책 지정일 1975.05.01 소재지 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216-27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옥*** 설명 이언적 수고본 일괄-속대학혹문(李彦迪 手稿本 一括-續大學或問)은 조선 중종 때의 유학자이며 정치가인 회재 이언적(1491∼1553)이 명종 2년(1547)에서 명종 8년(1553) 사이에 직접 쓴 저술 가운데 하나이다. 회재 이언적은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로 24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갔다. 김안로를 등용하는 것을 반대하다가 귀양을 가기도 했으며, ..
-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 - 사마방목 (驪州李氏 玉山門中 典籍 -司馬榜目)-보물 제524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12. 22. 17:16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 - 사마방목 (驪州李氏 玉山門中 典籍 -司馬榜目) -보물 제524호 종목 보물 제524호 명칭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 - 사마방목 (驪州李氏 玉山門中 典籍 -司馬榜目)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금속활자본 수량 1책(22매) 지정일 1970.12.30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300-3(옥산리) 독락당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이*** 설명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 - 사마방목(驪州李氏 玉山門中 典籍 -司馬榜目)은 조선 중종 8년(1513)에 실시한 사마시의 합격자 명단이다. 사마시는 생원시와 진사시로 구분되는데, 생원시 합격자 가운데 조선 전기의 대학자인 회재 이언적(1491∼1553)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눈에 띈다. 이것은 바로 그가 지니고 있던 것..
-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陜川 海印寺 法寶殿 木造毘盧遮那佛坐像 및 腹藏遺物)-보물 제1777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12. 21. 20:14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陜川 海印寺 法寶殿 木造毘盧遮那佛坐像 및 腹藏遺物)-보물 제1777호 종목보물 제1777호명칭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陜川 海印寺 法寶殿 木造毘盧遮那佛坐像 및 腹藏遺物)분류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수량불상 1구, 복장유물 일괄(71건 156점)지정일2012.10.30소재지경남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시대조선시대소유.관리해***설명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은 통일신라 말~고려 초에 제작된 목조불상으로 1m가 넘는 크기에, 조형성은 물론 조각적인 완성도까지 갖춘 작품이다.동글동글한 나발, 이상화된 얼굴과 당당한 신체 표현, 신체에 감기듯 팽팽하게 걸쳐 입은 편단우견의 착의형식과..
-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南楊州 水鐘寺 舍利塔)-The Stupa of Sujongsa Temple, Namyangju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12. 2. 20:08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南楊州 水鐘寺 舍利塔) The Stupa of Sujongsa Temple, Namyangju 종목 보물 명칭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南楊州 水鐘寺 舍利塔)The Stupa of Sujongsa Temple, Namyangju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 1기 지정일 1995.08.07 소재지 경기 남양주시 조안면 북한강로433번길 186 (송촌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수종사 설명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두는 곳이다. 이 부도는 운길산에 자리한 수종사에 있는데, 수종사는 조선 세조 4년(1458)에 왕명에 의해 중창된 사찰이다. 전체적으로 8각을 기본으로 하여, 2단을 이루는 기단(基壇) 위에 탑신(塔身)을 올리고 머리장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