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보물
-
김제 청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 (金堤 靑龍寺 木造觀音菩薩坐像)-보물 제1833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0. 12. 4. 17:53
분 류수량/면적지정(등록)일소 재 지소유자(소유단체)관리자(관리단체)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1구(발원문 1점, 후령통 1점) 지정(등록)일 2014.09.19 소재지 전라북도 김제시 모악15길 80-122 (금산면, 청룡사) 소유자 청룡사 관리자 청룡사 김제 청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은 완주 봉서사 향로전에 봉안하기 위해 제작된 관음보살상이다. 특히 1655년이라는 정확한 제작시기와 조능이라는 조각승, 봉서사 향로전이라는 봉안장소, 그리고 왕실의 안녕과 모든 중생의 성불을 염원하는 발원문을 남기고 있어 17세기 중엽경 불상연구에 기준이 되는 작품이다. 불상의 양식도 조선후기의 미의식인 대중적인 평담미를 담담하게 담아내어 비록 상은 소형이지만 이 시기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
-
해남 서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海南 瑞洞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보물 제1715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0. 11. 27. 11:54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3구 지정(등록)일 2011.06.21 소 재 지 전남 해남군 화원면 금평리 571 서동사 시 대 조성: 효종1, 중수: 1804년(순조 4) 소유자(소유단체) 서동사 관리자(관리단체) 서동사 서동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 대흥사의 말사로 운거산 기슭에 자리하고 있다. 서동사의 자세한 연혁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1980년대 초 현 대웅전의 지붕 보수시 발견된 「서동사중수상량문」(1870)과 「서동사중수서」(1870) 현판 기록을 통해 개략적인 연혁을 파악할 수 있다. 이 두 기록에 따르면, 서동사의 창건은 확신할 수 없으나 통일신라 진성여왕 때(887~896)때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선생이 창건하였다고 하며, 이후 조선시대 임진(정유)왜..
-
미황사 괘불탱 (美黃寺 掛佛幀)-보물 제1342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0. 11. 26. 18:33
분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기타 수량/면적 1폭 지정(등록)일 2002.07.03 소재지 전남 해남군 송지면 서정리 247번지 미황사 시대 조선 영조 3년(1727) 소유자 미황사 관리자 미황사 이 괘불은 조선 영조 3년(1727)에 탁행·설심·희심·임한·민휘·취상·명현 등이 그렸는데, 본존불을 크게 강조한 독특한 구성을 하고 있다. 또한 녹색과 적색의 밝은 선염(渲染)과 녹두색·분홍·황토색이 사용되어 은은하면서도 환상적인 세계를 보여주는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된다. SBS방송화면 촬영
-
장성 백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長城 白羊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0. 11. 26. 16:40
분류 유물 / 불교조각 수량/면적 불상 1구, 대좌 1점, 중수발원문 2점 지정(등록)일 2020.06.23 소재지 전라남도 장성군 백양로 1239 (북하면, 백양사) 시대 1607년(선조 40, 불상 및 대좌), 1741년(영조 17) 개금, 1775년(영조 31) 개금 소유자(소유단체) 백양사 관리자(관리단체) 백양사 보물 제2066호 ‘장성 백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1607년(선조 40) 조선 후기 현진(玄眞) 등 3명의 조각승이 제작한 불상으로, 돌아가신 선왕(先王)과 선왕후(先王后)를 비롯한 왕실 조상들의 성불(成佛)을 기원할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임진왜란 등 국가적 전란이 끝나고 몇 해가 지나지 않아 진행된 불교 복구과정에서 제작된 것이자, 1610년 이전에 조성된 불상 중 규모가 가장 큰..
-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목판 (佛說大報父母恩重經(諺解) 木板)-보물 제1960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0. 11. 4. 17:57
제작시기가 가장 오래된 언해본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목판각류 / 판목류 수량 13판 지정일 2017.12.26 소재지 충청남도 아산시 산양길 180 (염치읍, 세심사) 시대 1563년(명종 18) 소유자 대한불교조계종 세심사 관리자 대한불교조계종 세심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목판은 1545년에 오응성(吳應星)이 언해한 판본을 모본(母本)으로 판각한 것이다.『불설대보부모은중경』은 한없는 부모의 은혜에 대한 보은과 멸죄를 설명한 불경으로『부모은중경』, 『은중경』이라고도 한다. 세심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불설대보부모은중경』목판은 언해본으로 총13판이 전하고 있다. 1563년(명종 18) 동림산(桐林山) 신심사(神心寺)에서 개판된 것으로 오응성의 발문은 없으나, 현존하는 언해본 『불설대보부모은중경』중..
-
나주 금성관 (羅州 錦城館)-보물 제2037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0. 8. 10. 13:18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수량/면적 1동(정청 603.19㎡, 월대(계단포함) 79.57㎡) 지정(등록)일 2019.10.25 소재지 전라남도 나주시 금성관길 8 (과원동, 나주금성관)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나주시 관리자 나주시 나주 금성관은 조선시대 전패와 궐패를 모시고 망궐례를 행하던 객사 건물로서, 창건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각종 기록과 구조양식으로 보아 전체적인 건축물의 규모와 골격은 1617년 중수시의 것을 유지하고 있다고 추정되며, 목조 가구와 세부 공포형식은 1775년과 1885년 중수시의 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금성관은 주심포계 양식의 요소를 채용한 익공계 공포 구성이 돋보이며, 1출목 3익공식의 공포형식은 제한된 공력으로 충분한 위계를 드러내고자는 의도에..
-
의성 고운사 연수전(義城 孤雲寺 延壽殿)-Yeonsujeon Hall of Gounsa Temple, Uiseong-보물 제2078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0. 8. 10. 12:36
의성 고운사 연수전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 1동 지정(등록)일 2020.08.31 소재지 경상북도 의성군 고운사길 415 (단촌면)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고운사 연수전은 1902년 고종의 기로소 입소를 기념하여, 1904년에 세운 기로소 원당으로서, 고운사 내에 있던 영조의 기로소 봉안각(1745-1749)의 전례를 쫓고, 기로소에 있던 영수각(1719)을 모범으로 세워진 대한제국기의 황실 기념 건축물이다. 기록이 분명치 않은 태조의 기로소 입소를 제외하고, 조선시대에 실제로 실행된 세 번의 국왕의 기로소 입소, 즉, 숙종, 영조, 고종의 기로소 입소 건과 모두 연결되어 있는 기로소 원당 건축으로서 가치가 높다. 고운사 연수전은 솟을 삼문 형식의 정문인 만세문과 사방으로 담장..
-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 (保寧 聖住寺址 東 三層石塔)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0. 7. 4. 17:21
보물 제2021호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 1기 지정일 2019.03.28 소재지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3 시대 통일신라시대 소유자 국유 관리자 보령시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이하 동 삼층석탑)」은 성주사지에 남아있는 4기의 탑 가운데 하나다. 성주사는 847년 낭혜화상(800~888, 신라 후기의 승려 무염)이 개창하여 17세기까지 사찰의 명맥을 이어오다가 조선 후기에 폐사한 것으로 추정한다. 현재 보령 성주사지(사적 제307호)에는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국보 제8호),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보물 제19호),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보물 제20호, 이하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보물 제47호, 이하 서 삼층석탑)이 국가지정문화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