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주 금성관 (羅州 錦城館)-보물 제2037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0. 8. 10. 13:18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수량/면적 1동(정청 603.19㎡, 월대(계단포함) 79.57㎡) 지정(등록)일 2019.10.25 소재지 전라남도 나주시 금성관길 8 (과원동, 나주금성관)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나주시 관리자 나주시 나주 금성관은 조선시대 전패와 궐패를 모시고 망궐례를 행하던 객사 건물로서, 창건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각종 기록과 구조양식으로 보아 전체적인 건축물의 규모와 골격은 1617년 중수시의 것을 유지하고 있다고 추정되며, 목조 가구와 세부 공포형식은 1775년과 1885년 중수시의 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금성관은 주심포계 양식의 요소를 채용한 익공계 공포 구성이 돋보이며, 1출목 3익공식의 공포형식은 제한된 공력으로 충분한 위계를 드러내고자는 의도에서 만들어진 변형 기법으로 볼 수 있다. 월대와 평면 및 입면 그리고 천장 등을 일반적인 객사와는 달리 궁전의 정전과 유사하게 구성한 점은 금성관만의 고유성을 지닌 두드러진 특징이다. 금성관 정청은 조선시대 객사 건축물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클 뿐 아니라, 팔작지붕을 하고 있어서 일반적인 맞배지붕의 정청과 대비되는 희귀성을 갖는다. 이 점은 부근에 위치한 나주향교 대성전이 일반적인 조선시대 향교 대성전의 맞배지붕과 달리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점과 함께 지역적인 특수성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금성관은 무엇보다 지역성에 주목하여 대표적인 지역역사문화유산이라는 점,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오랫동안 나주군청 및 시청으로 사용되면서 벽체와 바닥, 천장 등의 변형을 거치면서도 전체적인 원형을 유지하여온 역사적 건축물로서 높이 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금성관은 나주 읍치의 역사성과 상징성을 대표하는 귀중한 문화유산으로 원래 자리를 잘 지키고 있으며, 다른 객사와 뚜렷한 차별성을 띤 격조 높은 건물로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역사적, 건축적, 예술적 가치가 충분하다.
'문화재 > 내가 본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성 백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長城 白羊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0) 2020.11.26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목판 (佛說大報父母恩重經(諺解) 木板)-보물 제1960호 (0) 2020.11.04 의성 고운사 연수전(義城 孤雲寺 延壽殿)-Yeonsujeon Hall of Gounsa Temple, Uiseong-보물 제2078호 (0) 2020.08.10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 (保寧 聖住寺址 東 三層石塔) (0) 2020.07.04 구례 천은사 극락보전 (求禮 泉隱寺 極樂寶殿)-보물 제2024호 (0) 2020.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