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보물
-
천마총 금제 관식 (天馬塚 金製 冠飾)-보물 제618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1. 2. 12:58
분 류수량/면적지정(등록)일소 재 지시 대소유자(소유단체)관리자(관리단체) 분류 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장신구 수량 1식 지정(등록)일 1978.12.07 소재지 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 시대 신라시대(5∼6세기) 소유자 국유 관리자 국립경주박물관 천마총은 경주 황남동고분 제155호 무덤으로 1973년 발굴하여 금관, 팔찌 등 많은 귀중한 유품들과 함께 천마 그림이 발견되어 천마총이라 부르게 되었다. 천마총 금제 관식(天馬塚 金製冠飾)은 천마총 안의 널 머리쪽에 있던 유물 보관함에서 발견된 것으로 큰 새의 날개가 펼쳐 있는 모양이고, 밑은 방패 모양으로 된 장식이 달려있다. 몸체와 좌우의 날개에는 덩굴무늬를 파 놓았는데, 가장자리의 테두리와 줄기부분에..
-
천마총 금제 관식 (天馬塚 金製 冠飾)-보물 제617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1. 2. 12:44
분류 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장신구 수량 1식 지정(등록)일 1978.12.07 소재지 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 시대 신라시대(5∼6세기) 소유자 국유 관리자 국립경주박물관 천마총은 경주 황남동고분 제155호 무덤으로 1973년 발굴하여 금관, 팔찌 등 많은 귀중한 유품들과 함께 천마 그림이 발견되어 천마총이라 부르게 되었다. 천마총 금제 관식(天馬塚 金製冠飾)은 널 밖 머리쪽에 껴묻거리(부장품)가 들어있는 상자 뚜껑 위에서 발견되었다. 높이 23㎝, 너비 23㎝인 이 관식은 중앙에 새머리같이 생긴 둥근부분이 있고, 그 밑 좌우 어깨 위치에는 위로 솟는 날개 모양의 한 쌍이 있다. 몸체는 수직으로 내려오다 조금씩 좁아지면서 끝을 둥글게 처리하였다. 머..
-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 - 원조오잠, 사산오대 (驪州李氏 玉山門中 遺墨 - 元朝五箴, 四山五臺)-보물 제526-2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1. 2. 12:00
분류 기록유산 / 서간류 / 서예 수량 17점 지정(등록)일 2006.09.01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소유자 이*** 관리자 이*** 「원조오잠(元朝五箴)」은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이 27세 때 지은 「외천잠(畏天箴)」, 「양심잠(養心箴)」, 「경신잠(敬身箴)」, 「개과잠(改過箴)」, 「독지잠(篤志箴)」을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읽고 크게 감명을 받아 평소 잊지 못하여 오던 중 이언적의 아들 이전인(李全仁, 호(號)는 잠계(潛溪), 1516~1568)의 요청에 의하여 쓴 것으로 전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은 10폭에 적혀 있는 이황의 발문에 보이는데 여기에는 잠계 이전인의 요청에 의해서 썼다는 기록은 없고 끝에 ‘후학 이황 근서(後學 李滉 謹書)’라고 쓴 묵적이 선명히 남아 있다. ‘원조오잠’은..
-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 - 해동명적 (驪州李氏 玉山門中 遺墨 - 海東名蹟)-보물 제526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1. 2. 11:51
분류 기록유산 / 서간류 / 탁본류 / 탁본 수량 2첩 지정(등록)일 1970.12.30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이*** 관리자 이***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 - 해동명적(驪州李氏 玉山門中 遺墨 - 海東名蹟)』은 조선 중종 때의 문신인 신공제(1469∼1536) 선생이 우리나라 역대 명필의 글씨가 돌에 새겨 있는 것을 탁본하여 상하 2책으로 묶은 것이다. 상권에는 조선시대 문종과 성종의 어필을 앞에 따로 놓고 다음에 신라시대 최치원, 김생, 영업의 3인과 고려시대 탄연, 이암, 신덕린 등의 3인을 합한 6인의 글씨를 모아 놓았다. 하권에는 이강, 승려 혜근, 성석린, 박초, 권근, 이첨, 정도전, 정총, 민자복, 신색 등 12인의 글씨가 실려 있다. 이 책은 탁본이라 하더라도 고..
-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 (驪州李氏 玉山門中 典籍)-보물 제524-2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1. 2. 11:33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 수량 13종 15책 지정(등록)일 2006.07.18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시대 16~17세기 소유자 이*** 관리자 이***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驪州李氏 玉山門中 典籍 - 驪州李氏 玉山門中 典籍)은 아래와 같다 ㅇ 이륜행실도(二倫行實圖, 1539년) : 이 책은 현재 알려진 국내 소장본 중 가장 빠른 본에 속하며 조선시대 유학사상 및 윤리관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또한 도판 및 언해, 권말의 판각기록은 조선시대 판화(版畵)의 변천, 국어사·서지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ㅇ 여어편류(儷語編類, 1542년) : 이 책은 중종조의 문인 학자로 관찰사를 역임한 조인규(趙仁奎)가 홍문관 전한으로 재직시에 사륙문(四六文)을 문체별로 ..
-
경주향교 명륜당 (慶州鄕校 明倫堂)-보물 제2097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0. 12. 31. 10:33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수량 1동 지정(등록)일 2020.12.28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교촌안길 27-20 (교동, 경주향교) 시대 조선시대(1614년 중건) 소유자 경상북도향교재단 관리자 경주향교 경주향교의 시초는 신라의 국학으로, 유교적 교육기관이 설립되었고, 고려시대에도 그 자리에 향학이 운영되었으며, 조선시대 기록에도 신라의 국학 자리를 잇는다고 기록됨. 명륜당은 1614년 중건 이래 18세기와 19세기에 중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는 오래된 건축물로서, 정면 5칸, 측면 3칸의 2고주 5량가의 맞배집으로 우리나라 현존하는 향교 명륜당 가운데 객사형(성균관, 나주향교 명륜당)을 제외한 단일 건물로는 가장 규모가 큰 사례임. 중수기 등의 문헌 기록이 풍부하게 남아 있..
-
경주향교 동무‧서무‧신삼문 (慶州鄕校 東廡‧西廡‧神三門)-보물 제2098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0. 12. 31. 09:14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수량 3동 지정(등록)일 2020.12.28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교촌안길 27-20 (교동, 경주향교) 시대 조선시대(동무‧서무 1604년 중건/신삼문 1602년 중건) 소유자 경상북도향교재단 관리자 경주향교 동․서무는 1604년 중건 이래 1829년, 1995년 보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며, 대성전과 함께 경주 향교의 제향공간을 구성하는 건축물임. 정면 12칸으로 우리나라 현존하는 향교의 무 건축물 가운데 가장 길며, 큰 도리칸의 규모를 갖고 있고, 장식을 지극히 억제하고 있음. 또한 기둥과 인방재가 가로세로로 이루어진 격자형의 골격에 회벽으로 마감한 단순한 벽면과 홑처마의 맞배지붕, 수를 줄인 최소한의 창호와 3량가의 가구구성 등에서 조선시대 제사건..
-
군위 법주사 괘불도 (軍威 法住寺 掛佛圖)-보물 제2005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0. 12. 30. 13:59
분류 유물 / 불교회화 / 괘불화 수량 괘불 1폭, 괘불함 1점 지정(등록)일 2018.11.27 소재지 경상북도 군위군 달산3길 215 (소보면) 소유자 대한불교조계종 법주사 관리자 대한불교조계종 법주사 ‘군위 법주사 괘불도’는 1714년(숙종 40) 수화승 두초를 비롯하여 변철, 치겸, 심안 등 9명의 화승이 참여하여 완성한 괘불이다. 화기(畵記)에 의하면 이 괘불도는 1714년 5월 15일 제작을 마치고 경상북도 군위군 청화산(靑華山) 법주사에 봉안되었다고 하여 정확한 조성시기와 봉안처를 알 수 있다. 총 16폭의 비단을 이어 만든 10m에 달하는 장대한 화면에는 보관( 寶冠)을 쓰고 두 손을 좌우로 벌려 연꽃을 들고 있는 입상의 보살형 여래가 화면에 큼직하게 그려져 있다. 노사나불(盧舍那佛) 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