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목판 (佛說大報父母恩重經(諺解) 木板)-보물 제1960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0. 11. 4. 17:57
제작시기가 가장 오래된 언해본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목판각류 / 판목류 수량 13판 지정일 2017.12.26 소재지 충청남도 아산시 산양길 180 (염치읍, 세심사) 시대 1563년(명종 18) 소유자 대한불교조계종 세심사 관리자 대한불교조계종 세심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목판은 1545년에 오응성(吳應星)이 언해한 판본을 모본(母本)으로 판각한 것이다.『불설대보부모은중경』은 한없는 부모의 은혜에 대한 보은과 멸죄를 설명한 불경으로『부모은중경』, 『은중경』이라고도 한다. 세심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불설대보부모은중경』목판은 언해본으로 총13판이 전하고 있다. 1563년(명종 18) 동림산(桐林山) 신심사(神心寺)에서 개판된 것으로 오응성의 발문은 없으나, 현존하는 언해본 『불설대보부모은중경』중 제작시기가 가장 오래된 것으로, 임진왜란 이전에 간행된 언해본 경전의 판각 현황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보물 제1960호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목판 (佛說大報父母恩重經(諺解) 木板) : 국가문화유산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목판은 1545년에 오응성(吳應星)이 언해한 판본을 모본(母本)으로 판각한 것이다.『불설대보부모은중경』은 한없는 부모의 은혜에 대한 보은과 멸죄를 설명한 …
www.heritage.go.kr
수백년 전 불경 목판에 새겨진 '어머니 은혜'2020.05.08 | KBS | 다음뉴스
방송화면 복사
연고토감은(咽苦吐甘恩)쓴 음식은 자신이 삼키고 단 음식은 다시 뱉어 자식에게 주는
문화재청자료 '문화재 > 내가 본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황사 괘불탱 (美黃寺 掛佛幀)-보물 제1342호 (0) 2020.11.26 장성 백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長城 白羊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0) 2020.11.26 나주 금성관 (羅州 錦城館)-보물 제2037호 (0) 2020.08.10 의성 고운사 연수전(義城 孤雲寺 延壽殿)-Yeonsujeon Hall of Gounsa Temple, Uiseong-보물 제2078호 (0) 2020.08.10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 (保寧 聖住寺址 東 三層石塔) (0) 2020.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