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보물
-
창원 성주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昌原 聖住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보물 제1729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1. 18. 20:01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 3구 지정(등록)일 2011.12.23 소재지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곰절길 191-0 (천선동, 성주사) 시대 1655년 소유자 성주사 관리자 성주사 이 삼존불상은 17세기 대 들어 크게 유행한 석가여래, 약사여래, 아미타여래로 구성된 공간적 삼세불이다. 조성시주기에 따르면, 이 불상은 1655년 봄부터 불상제작을 시작하여 그 해 가을에 조성공사를 마치고 복장 점안을 하여 마무리하였다고 한다. 조성에 참여한 조각승은 녹원(鹿元), 지현(知玄), 찬인(贊印), 혜정(惠淨), 도성(道聖), 명신(明信), 긍성(肯聖), 명안(明眼), 학륜(學倫), 인종(印宗), 인신(印信) 등이다. 수조각승 녹원은 이 작품 이외 1659년에 기장 장안사 석가여래삼불상과 1673..
-
성주 선석사 영산회 괘불탱 (星州 禪石寺 靈山會 掛佛幀)-보물 제1608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1. 8. 14:56
2015.10.24 방문한 바 있으나 알지도 못했고 묻지도 않았다. 알더라도 내가 볼 수는 없다. 선석사 홈페이를 이용했다. 성주 선석사 영산회 괘불탱 (星州 禪石寺 靈山會 掛佛幀) 분류 유물 / 불교회화 / 괘불화 / 석가불도 수량 괘불탱1점, 괘불함1점 지정(등록)일 2009.02.23 소재지 경북 성주군 월항면 세종대왕자태실로 616-33, 선석사 (인촌리) 소유자 선석사 관리자 선석사 1702년(숙종 28) 탁휘(卓輝)·법해(法海)·설잠(雪岑)·성징(性澄) 등이 제작된 괘불탱이다. 화면 중앙에 크게 묘사된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좌우에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서있고, 화면의 상단에는 아난과 가섭, 2명의 제자가 합장한 모습으로 상반신만 표현되었다. 좌우협시는 본존불보다 한 발짝 앞서 겹쳐 표현하여 공간..
-
상주향교 대성전‧동무‧서무 (尙州鄕校 大成殿‧東廡‧西廡)-보물 제2096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1. 7. 14:22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수량 3동 지정(등록)일 2020.12.28 소재지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2길 111 (신봉동) 시대 조선시대(대성전 1610년 재건, 1617년 중건/동무‧서무 1612년 중건) 소유자 경상북도향교재단 관리자 상주향교 「상주향교」는 기록상으로는 고려 고종 34년(1247년) 이전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지며(최자 「보한집」), 그 후 1486년 목사 강구손(姜龜孫)이 성전, 루, 동재 등을 중수하였다고 함. 임진왜란 때 소실된 후 광해군 때 대대적인 복구가 이루어졌고, 이후 중수와 일제강점기 때 기능이 바뀌면서 창호 등에 변형이 있었으나, 당시의 양식과 배치를 유지하고 있음. 대성전은 5칸 전퇴개방형의 규모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규모를 가진 서울 문묘 ..
-
경주 석굴암 삼층석탑 (慶州 石窟庵 三層石塔)-보물 제911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1. 2. 17:46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 1기 지정(등록)일 1987.03.09 소재지 경북 경주시 불국로 873-243 (진현동) 시대 통일신라시대 8세기 소유자 석굴암 관리자 석굴암 석굴암에서 동북쪽으로 약 150m지점 언덕에 서 있는 탑이다. 2층을 이루는 기단(基壇)은 원형과 8각이 조화를 이루고 있어 특이한 모습이며 그 위로 4각의 탑신(塔身)을 3층으로 쌓아 올렸다. 기단의 모습은 매우 독특한 예인데 그 유래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전체적으로 원과 4각, 8각의 조화가 아름답고, 세부 수법의 경쾌함이 돋보이는 석탑으로, 8세기 말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된다. 석굴암을 세번 쯤 가 본 것 같은데 그 곳에 삼층석탑 있다는 걸 이제야(2021.01.02) 알았습니다. ..
-
도기 서수형 명기 (陶器 瑞獸形 明器)-보물 제636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1. 2. 15:20
분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토기 수량 1개 지정(등록)일 1978.12.07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일정로 186 (인왕동, 국립경주박물관) 시대 신라시대(5∼6세기) 소유자 국립경주박물관 관리자 국립경주박물관 도기 서수형 명기(陶器 瑞獸形 明器)는 경주 미추왕릉 앞에 있는 무덤들 중 C지구 제3호 무덤에서 출토된, 거북 모양의 몸을 하고 있는 높이 15.1㎝, 길이 17.5㎝, 밑지름 5.5㎝의 토기이다. 머리와 꼬리는 용 모양이고, 토기의 받침대 부분은 나팔형인데, 사각형으로 구멍을 뚫어 놓았다. 등뼈에는 2개의 뾰족한 뿔이 달려 있고, 몸체 부분에는 전후에 하나씩, 좌우에 2개씩의 장식을 길게 늘어뜨렸다. 머리는 S자형으로 높이 들고 있고 목덜미에는 등에서와 같은 뿔이 5개 붙어 있다..
-
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 (皇南大塚 南墳 銀製 肱甲)-보물 제632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1. 2. 14:40
분류 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장신구 수량 1쌍 지정(등록)일 1978.12.07 소재지 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 시대 신라시대(6∼7세기) 소유자 국유 관리자 국립경주박물관 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皇南大塚南墳 銀製肱甲)는 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 지구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무덤인 황남대총에서 발견된 팔뚝가리개이다. 황남대총은 2개의 봉분이 남·북으로 표주박 모양으로 붙어 있다. 이 팔뚝가리개는 남쪽 무덤 널(관) 밖 머리쪽의 껴묻거리 구덩이(부장갱) 안에서 발견된 것으로, 길이 35㎝이다.
-
황남대총 남분 은관 (皇南大塚 南墳 銀冠)-보물 제631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1. 2. 14:26
분류 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장신구 수량 1구 지정(등록)일 1978.12.07 소재지 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 시대 신라시대(6∼7세기) 소유자 국유 관리자 국립경주박물관 황남대총 남분 은관(皇南大塚南墳 銀冠)은 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 지구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무덤인 황남대총에서 발견된 은관이다. 황남대총은 2개의 봉분이 남·북으로 표주박 모양으로 붙어 있다. 이 은관은 남쪽 무덤 널(관) 밖 머리쪽 껴묻거리 구덩이(부장갱) 안에서 발견된 것으로 높이 17.2㎝, 머리띠(대륜) 너비 3.2㎝, 지름 16.6㎝이다. 머리띠 위의 장식은 3개의 가지가 있는 모습으로 신라시대 관모(冠帽)에서는 보기힘든 독특한 양식이다. 중앙가지는 위에 돌기가 있고, 활..
-
천마총 환두대도 (天馬塚 環頭大刀)-보물 제621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1. 2. 13:32
분류 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장신구 수량 1점 지정(등록)일 1978.12.07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일정로 186-0 (인왕동, 국립경주박물관) 시대 신라시대(5∼6세기) 소유자 국유 관리자 국립경주박물관 천마총은 경주 황남동고분 제155호 무덤으로 1973년 발굴하여 금관, 팔찌 등 많은 귀중한 유품들과 함께 천마 그림이 발견되어 천마총이라 부르게 되었다. 천마총 환두대도(天馬塚 環頭大刀)는 칼 중에서 손잡이 끝부분에 둥그런 고리가 붙어있고 그 고리안에 용이나 봉황, 나뭇잎들을 조각하여 그 소장자의 신분이나 지위를 나타내 주는 칼이다. 천마총에서 고리자루큰칼은 칼자루에 손상이 있을 뿐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유골의 왼쪽부분에서 발견되었다. 칼집과 칼자루는 나무로 만들어 그 위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