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보물
-
고창 선운사 만세루 (高敞 禪雲寺 萬歲樓)-보물 제2065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0. 6. 29. 11:20
고창 선운사 만세루 (高敞 禪雲寺 萬歲樓)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각루 수량 1동 지정일 2020.06.01 소재지 전라북도 고창군 선운사로 250 (아산면)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선운사 관리자 선운사 고창 선운사 만세루 정면 「고창 선운사 만세루」는 선운사에 전해지고 있는 「대양루열기」(1686년), 「만세루중수기」(1760년)에 따르면 1620년(광해군 12)에 대양루로 지어졌다가 화재로 소실된 것을 1752년(영조 28)에 다시 지은 건물로 정면 9칸 측면 2칸 규모의 익공계 단층건물이며 맞배지붕으로 현재까지 잘 남아 있다. 처음에는 중층 누각구조로 지었으나 재건하면서 현재와 같은 단층 건물로 바뀐 것으로 전해지며, 이는 누각을 불전의 연장 공간으로 꾸미려는 조선시대 후기 사찰공간..
-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탑 (海南 大興寺 西山大師塔)-보물 제1347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9. 9. 15. 08:41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탑 (海南 大興寺 西山大師塔) 보물 제1347호 종목 보물 제1347호 명칭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탑 (海南 大興寺 西山大師塔)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 1기 지정일 2002.09.25 소재지 전남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산8-6번지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대흥사,대흥사주지 설명 이 탑은 대흥사 입구에 자리한 부도전 내에 건립되어 있다. 팔각원당형의 석조탑으로 기단부·탑신부·상륜부로 구성되어 있고, 전체 높이는 2.7m이다. 지대석은 8각인데 그 위의 하대석에는 8잎의 엎어놓은 연꽃무늬를 큼직하게 조각해 놓았고, 상대석에는 아래와 대칭되는 위로 향한 연꽃무늬 8잎이 새겨져 있고, 중대석에는 동물상이 조각되었다. 탑신 전면에 ‘청허당’이라 새겨서 주인공이 서산대사..
-
신윤복 필 미인도 (申潤福 筆 美人圖)-보물제1973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9. 8. 27. 17:00
신윤복 필 미인도 (申潤福 筆 美人圖) 보물제1973호 종목 보물 제1973호 명칭 신윤복 필 미인도 (申潤福 筆 美人圖) 분류 유물 / 일반회화 / 인물화 / 인물화 수량 1폭 지정일 2018.02.22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전***간*** 설명 ‘신윤복 필 미인도’는 조선 후기 풍속화에 있어 김홍도와 쌍벽을 이룬 신윤복(약 1758-1813 이후)이 여인의 전신상(全身像)을 그린 작품으로, 화면 속 여인은 머리에 가체를 얹고 회장저고리에 풍성한 치마를 입고 있다. 부드럽고 섬세한 필치로 아름다운 여인의 자태를 묘사하였고 은은하고 격조 있는 색감으로 처리하였다. 자주색 회장 머리 띠, 주홍색 허리끈, 분홍색 노리개 등 부분적으로 가해진 채색은 정적인 여인의 자세와 대비되어 ..
-
심사정 필 촉잔도권 (沈師正 筆 蜀棧圖卷)-보물제1986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9. 8. 27. 16:35
심사정 필 촉잔도권 (沈師正 筆 蜀棧圖卷) 보물제1986호 종목 보물 제1986호 명칭 심사정 필 촉잔도권 (沈師正 筆 蜀棧圖卷) 분류 유물 / 일반회화 / 산수화 / 산수화 수량 1축 지정일 2018.06.27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전***간*** 설명 ‘심사정 필 촉잔도권’은 18세기 대표적인 문인화가 현재(玄齋) 심사정(沈師正, 1707~1769)이 죽기 1년 전인 1768년 8월에 이백(李白)의 시 「촉도난(蜀道難)」을 주제로 하여 촉(蜀)으로 가는 험난한 여정을 그린 대규모 산수화이다. 그림의 바깥쪽에는 심사정의 친척 심래영(沈來永, 1759~1826)의 발문이 별지에 쓰여 있는데, 여기에 이 심래영의 부친 심유진(沈有鎭, 1723~1787)과 숙부 심이진(沈以鎭, ..
-
김홍도 필 마상청앵도(金弘道 筆 馬上聽鶯圖)-보물제1970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9. 8. 27. 16:20
김홍도 필 마상청앵도(金弘道 筆 馬上聽鶯圖) 보물제1970호 종목 보물 제1970호 명칭 김홍도 필 마상청앵도(金弘道 筆 馬上聽鶯圖) 분류 유물 / 일반회화 / 풍속화 수량 1폭 지정일 2018.02.22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전***간*** 설명 ‘김홍도 필 마상청앵도’는 조선 후기에 활약하며 최고의 화가로 높은 평가를 받았던 김홍도(1745~1806 이후)가 조선의 풍속을 소재로 삼아 자연과 교감하는 인간의 세심한 모습을 서정성 깊게 표현한 작품이다. 시동(侍童)을 대동한 선비가 말을 타고 길을 가던 중 꾀꼬리 한 쌍이 노니는 소리에 말을 멈추고 시선을 돌려 버드나무 위의 꾀꼬리를 무심히 바라보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인물 묘사에 사용된 섬세한 필선, 말과 마구에 사용된 ..
-
정선 필 풍악내산총람도 (鄭敾 筆 楓嶽內山總覽圖)-보물 제1951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9. 8. 27. 15:51
정선 필 풍악내산총람도 (鄭敾 筆 楓嶽內山總覽圖) 보물 제1951호 종목 보물 제1951호 명칭 정선 필 풍악내산총람도 (鄭敾 筆 楓嶽內山總覽圖) 분류 유물 / 일반회화 / 산수화 / 산수화 수량 1폭 지정일 2017.12.26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281 (을지로7가) DDP살림터 지하2층 간송유물관리실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전***간*** 설명 정선 필 는 제작연도를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필치와 화풍으로 보아 정선이 60대에서 70대에 이르는 1740년대에 제작된 작품으로 생각된다. 는 녹색, 황색, 적색, 흰색 등 채색을 가장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가을의 내금강 전모를 효과적으로 표출하였다는 점에서 다른 와 차별된다. 또한 중요 경물과 건축물 등의 이름을 기입했고 형태..
-
이정 필 삼청첩(李霆 筆 三淸帖)-보물제1984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9. 8. 27. 15:26
이정 필 삼청첩(李霆 筆 三淸帖) 보물제1984호 종목 보물 제1984호 명칭 이정 필 삼청첩(李霆 筆 三淸帖) 분류 유물 / 일반회화 / 사군자 수량 1첩 지정일 2018.06.27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281 (을지로7가) DDP살림터 지하2층 간송유물관리실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전***간*** 설명 ‘이정 필 삼청첩’은 조선 17세기 종실(宗室) 출신 화가 탄은(灘隱) 이정(李霆, 1554~1626)이 1594년 12월 12일 충남 공주에서 그린 그림으로, 총 1첩의 54면으로 구성된 서화첩(書畫帖)이다. 이정은 조선시대 묵죽화(墨竹畫)를 대표하는 인물이다. 이 화첩에는 이정의 묵죽화 뿐만 아니라 매화와 난 그림이 수록되어 이정의 다양한 작품세계를 알 수 있게 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