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보물
-
서산 보원사지 석조 (瑞山 普願寺址 石槽)-Stone Basin at Bowonsa Temple Site, Seosan-보물 제102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3. 4. 15:48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기타 수량 1개 지정(등록)일 1963.01.21 소재지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06 시대 통일신라시대 소유자 국유 관리자 서산시 서산 보원사터에 위치한 석조이다. 보원사는 고란사라고도 하며 사찰에 대한 역사는 전혀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1959년 국보 제84호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 발견되면서 큰 관심을 끌었던 곳이다. 석조는 승려들이 물을 담아 쓰던 돌그릇으로, 원형·팔각형·장방형 등이 있다. 이 석조는 화강석의 통돌을 파서 만든 직사각형 모양으로 통일신라시대의 일반적 형식을 보인다. 규모가 거대하며 표면에 아무 장식이 없어 장중해 보인다. 내부 각 면에도 조각한 흔적이 없으며, 밑바닥면은 평평하고 한쪽에 약 8㎝정도의 원형 배수구가 있을 뿐이..
-
부여 무량사 삼전패 (扶餘 無量寺 三殿牌)-보물 제1860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3. 4. 10:46
분류 유물 / 불교공예 / 기타 수량 3점 지정(등록)일 2015.03.04 소재지 충청남도 부여군 무량로 203 (외산면, 무량사) 소유자 무량사 관리자 무량사 부여 무량사 삼전패는 1654년에 철학, 천승, 도균이 제작한 것으로 “二層殿丹靑畢後而兼備三殿牌(이층전 단청을 마친 후 삼전패를 겸비하였다)”라는 묵서명에서 알 수 있듯이 왕실의 안녕을 위해 제작된 것이다. 형태는 전형적인 불패 형식을 갖추었으며, 사실성과 조각성이 뛰어난 용 조각, 황금색과 홍색 위주의 단청, 보란을 갖춘 삼단대좌 등 공예기술도 뛰어나 조선 17세기 불교 목공예품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정확한 제작 연대와 제작 장인들을 알려주는 묵서명이 있는 점과 규모가 큰 점 등에서 조선후기 불교목공예의 편년과 도상연구의 기준이 될..
-
논산 쌍계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論山 雙溪寺 塑造釋迦如來三佛坐像)-보물 제1851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2. 27. 15:54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소조 / 불상 수량 3구, 복장유물 4점(발원문1, 기타3) 지정(등록)일 2015.03.04 소재지 충청남도 논산시 중산길 192 (양촌면) 소유자 쌍계사 관리자 쌍계사 17세기 초에 활약했던 조각승 元悟비구가 만력 33년(1605)에 수조각승을 맡아 信玄, 淸虛, 神釰, 希春이라는 네 명의 보조조각승과 함께 제작한 상이다. 당시는 임진왜란 중에 피해가 컸던 여러 사찰들의 중창이 곳곳에서 일어나던 시기였으므로 이 때 쌍계사도 2층의 불전을 세우고 그 안에 석가, 아미타, 약사로 구성된 삼불상을 봉안했던 듯하다. 삼불상의 어깨가 넓고 허리가 긴 장대한 체구는 고려후기에서 조선전기로 이어진 불교조각의 전통을 잇고 있으며, 살이 많은 풍만한 얼굴과 부푼 눈두덩, 오뚝한 콧날, 넓은..
-
마곡사 석가모니불 괘불탱 (麻谷寺 釋迦牟尼佛 掛佛幀)-보물 제1260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2. 16. 11:57
분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 1폭 지정(등록)일 1997.08.08 소재지 충남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 마곡사 (운암리) 시대 조선 숙종13년(1687,康熙26) 소유자 마곡사 관리자 괘불이란 야외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열 때 사용하던 대형 불화를 말하며, 이 괘불은 석가모니불을 주존으로 그린 것이다. 중앙의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6대 보살, 10대 제자, 제석천과 범천, 사천왕, 천자, 아수라, 용왕 등이 좌우 대칭으로 화면 가득히 그려진 모습이다. 석가모니불은 용화수가지를 양 손에 받쳐 들고 있는 모습으로 손이 다른 신체 부분에 비해 크게 그려져 있다.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상징하는 광배(光背)는 둥근 머리광배와 배(舟) 모양의 몸광배로 구분되는데 머리광배에는 작은 부..
-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복장전적 (公州 東鶴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腹藏典籍)-보물 제1720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2. 15. 11:33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수량 일괄(7종 8책) 지정(등록)일 2011.09.05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우정국로 55 (견지동, 조계사) 불교중앙박물관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동학사 관리자 불교중앙박물관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복장전적은 동학사 대웅전에 봉안된 보물 제1719호의 공주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에서 발견된 불서들로 모두 임진왜란 이전의 간사본이다. 이 중에서 희귀본, 귀중본, 완전본 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중요도가 높은 7종 8책을 별도의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하였다. 1.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4,권6 2.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언해 권6 3. 육경합부 4. 묘법연화경(언해) 권2 5.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6. 불조삼경 7. 지장보살본원경 권하 201..
-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ㆍ사보살입상 복장전적 (公州 甲寺 塑造釋迦如來三佛坐像ㆍ四菩薩立像 腹藏典籍)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2. 14. 16:58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수량 8건 8점 지정(등록) 2020.08.27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시대 고려 말∼조선 초 판각 및 인출 소유자 갑*** 관리자 불*** 보물 제2077호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존좌상ㆍ사보살입상 복장전적(公州 甲寺 塑造釋迦如來三佛坐像ㆍ四菩薩立像 腹藏典籍)’은 소조관세음보살입상에서 발견된 전적류 8건 8점이다. 필사본은 1종으로 백지에 묵서로 서사한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密經)?이며, 그 외는 모두 목판본이다. 2015년 6월 (재)불교문화재연구소에서 복장조사를 실시하였고, 현재는 불교중앙박물관에 보존되어 있어 전체적으로는 상당히 양호한 상태이다. 간행 시기는 고려 말~조선시대 16세기 중반까지로 확인되며, 복장발원문에서 확인된 불상 조성시기인 1617년(광해군 9..
-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ㆍ사보살입상 및 복장유물 (公州 甲寺 塑造釋迦如來三佛坐像ㆍ四菩薩立像 및 腹藏遺物)-보물 제2076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2. 14. 16:11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소조 수량 불상 3구, 보살상 4구, 복장유물 7건 263점 지정(등록)일 2020.08.27 소재지 충청남도 공주시 갑사로 567-3 (계룡면) 시대 1617년(광해군 9) 소유자 갑사 관리자 갑사 보물 제2076호는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ㆍ사보살입상(公州 甲寺 塑造釋迦如來三佛坐像ㆍ四菩薩立像)’과 복장유물로, 불보살상은 1617년(광해군 9)에 행사(幸思) 등 9명의 조각승이 제작한 총 7존(尊)으로 구성된 대단위 작품이다. 이러한 7존의 형식을 갖춘 불상으로는 갑사 외에 ‘하동 쌍계사 대웅전의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보물 제1378호, 1639년)과 1703년 ‘화엄사 각황전의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1703년) 등이 전해지고 있다. 갑사 ..
-
향약제생집성방 권4~5 (鄕藥濟生集成方 卷四~五)-보물 제1235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2. 12. 13:24
분 류수량/면적지정(등록)일소 재 지시 대소유자(소유단체)관리자(관리단체)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관판본 수량 1책 지정(등록)일 1996.01.19 소재지 충북 음성군 대소면 대풍산단로 78, 한독의약박물관 (대풍리) 시대 조선 정종 1년(1399) 소유자 (주)한독약품 고려시대 김희선 등이 모은 『삼화자향약방』과 조선시대 권중화가 펴낸 『향약간역방』을 중심으로, 당시의 의료경험과 의학서적을 참고·보충하여 태조 7년(1398)에 펴내고, 이듬해 김희선이 강원도에서 간행한 의학과 약학에 관한 서적이다. 『향약제생집성방』총 30권 가운데 제4, 5권의 영인본으로 완질이 아니다. 권4는 44장 가운데 앞부분 1∼9까지 9장, 권5는 44장 가운데 41∼44장까지 4장이 빠져있으며, 권4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