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보물
-
포항 보경사 비로자나불도 (浦項 寶鏡寺 毘盧遮那佛圖)-보물 제1996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2. 8. 16:41
분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수량 1폭 지정(등록)일 2018.08.21 소재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보경로 523 (송라면, 보경사) 시대 1742년(영조 18) 소유자 대한불교조계종 보경사 ‘포항 보경사 비로자나불도’는 1742년(영조 18) 뇌현(雷現), 밀기(密機), 석잠(碩岑) 등 조선 후기 경북지역에서 활동한 세 명의 불화승이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며 그린 작품이다. 높이와 좌우 폭 모두 3미터에 가까운 대형 삼베 바탕에 붉은 안료를 칠한 뒤 인물과 의복 등을 백색 안료로 그린 선묘불화(線描佛畫)이다. 비단 바탕에 금니(金泥)로 그린 금니선묘불화는 고려 후기에 등장했으나, 삼베에 그린 선묘불화는 조선 16세기에 이르러서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왕실의 금선묘(金線描) 불화에 비해 민중불화의 ..
-
포항 보경사 괘불탱 (浦項 寶鏡寺 掛佛幀)-보물 제1609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2. 8. 16:27
분류 유물 / 불교회화 / 괘불화 수량 괘불탱1점, 괘불함1점 지정(등록)일 2009.02.24 소재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보경로 523 (송라면, 보경사) 소유자 보경사 보경사 괘불탱은 1708년(숙종 34)에 조성되었지만, 17년 뒤인 1725년(영조 원년)에 중수하였다. 화원은 의균(義均)·석민(碩敏)·성익(性益)·지붕(智朋)·체환(體環)·쾌민(快敏)·삼학(三學)인데, 모두 대구 팔공산 동화사와 파계사의 불화 조성에 참여한 화사로 주로 경상도에서 활약한 것으로 보인다. 이 괘불탱은 10m에 이르는 대형의 화면에 연꽃줄기를 든 보살형의 여래만을 단독으로 그렸는데, 의균의 작품 중에서 최대의 역작이다. 대형의 화폭에 단독의 존상만을 그린 구성은 매우 단순하지만 홍색과 녹색, 청색계열의 색만을 이용해 ..
-
칠곡송림사석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漆谷 松林寺 石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보물 제1606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2. 8. 10:57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 3점 지정(등록)일 2009.02.23 소재지 경북 칠곡군 동명면 송림길 73, 송림사 (구덕리) 시대 1655년 소유자 송림사 송림사의 천불전에 봉안된 이 삼존상은 아미타여래와 관음·지장보살로 구성된 아미타삼존형식이다. 이 삼존상은 ‘불석(Zeolite, 沸石)’이라고 불리는 돌로 제작되었다. 불석은 경주지역에서 채석되는 연질의 석재로서 목조각을 전문으로 하는 조각승들도 비교적 쉽게 다룰 수 있는 재료였다고 생각된다. 상들의 표현은 재질에서 기인한 탓인지 얼굴이나 신체의 표현에서 다소 딱딱한 느낌을 준다. 이 삼존상에서 특기할 만한 표현은 수인의 형태로 삼존 모두 두 손을 다 같이 손바닥을 밑으로 하고 두 무릎 위에 올려놓았는데, 이러한 수인은 조선후기 불..
-
예천 보문사 삼장보살도 (醴泉 普門寺 三藏菩薩圖)-보물 제1958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2. 5. 09:23
분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수량 1폭 지정(등록)일 2017.12.26 소재지 경상북도 예천군 보문사길 243 (보문면, 보문사) 시대 1767년(영조 43) 소유자,관리자 대한불교조계종 보문사 예천 보문사 삼장보살도는 1767년 조성된 불화로, 1989년 6월 5일 보문사에서 도난되었다가 2014년 8월 회수되었다. 인물의 묘사나 필선, 채색이 상호 조화를 이루며 격조 높은 화격(畫格)을 보여준다. 특히 삼장보살을 주제로 다룬 그림 중에서 이와 같이 지장보살과 명부신앙이 강조된 점도 전례가 없이 독창적일 뿐만 아니라, ‘품(品)’자형의 화면구성을 통해 재판에서부터 지옥 형벌, 구원이라는 이야기의 전개 과정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배열한 화면의 구성력도 체계적이고 탁월하다. 이렇듯 이 불화는 우리나..
-
예천 용문사 천불도 (醴泉 龍門寺 千佛圖)-보물 제1644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2. 4. 14:16
분류 유물 / 불교회화 수량 1폭 지정(등록)일 2010.02.24 소재지 경북 예천군 용문면 용문사길 285-30, 용문사 (내지리) 시대 1709년 소유자 용문사 천불도는 유존 사례가 극히 드물어, 1709년에 화승 도문(道文), 설잠(雪岑), 계순(戒淳), 해영(海英)이 제작한 용문사 천불도는 그 중요성이 부각된다. 이 천불도는 석가팔상도와 같은 시기인 1709년 제작된 그림으로 당시 불사와 후원자의 상황을 잘 알려주고 있다. 질서 정연한 배치, 이지러짐이 없는 형상과 필선 등 18세기 초반의 화풍 경향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현존하는 천불도는 선운사와 동국대학교박물관에 분산 소장되어 있는 1754년 작품이 있을 뿐 매우 희귀하다. 또한 1754년 선운사 천불도가 모두 5폭으로 그려진데 반..
-
예천 용문사 영산회 괘불탱 (醴泉 龍門寺 靈山會 掛佛幀)-보물 제1445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2. 4. 13:17
분 류수량/면적지정(등록)일소 재 지시 대소유자(소유단체)관리자(관리단체) 분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 1폭 지정(등록)일 2005.09.06 소재지 경북 예천군 용문면 용문사길 285-30, 용문사 (내지리) 시대 1705년 소유자 용문사 예천용문사영산회괘불탱은 입상의 삼존불상을 배경으로 본존불상 머리 좌우에 가섭존자와 아난존자를 배치시켜 5존도 형식을 취하였다. 삼존불상 가운데 통견(通肩)의 적색 대의(大衣)에 밝은 회청색 내의를 착용한 본존 불상은 머리 높이가 180㎝이고 머리 광배의 폭만도 무려 273.㎝에 이르러 10미터가 넘는 화면 전체를 다 차지할 정도로 큼직하게 그려져 있다. 적색 대의에는 봉황문과 화문, 격자문, 연화문 등의 둥근 무늬가 전체에 걸쳐 정연하게 시문되어 있..
-
예천 용문사 팔상탱 (醴泉 龍門寺 八相幀)-보물 제1330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2. 4. 12:16
분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 4폭 지정(등록)일 2001.10.25 소재지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용문사길 285-30 (내지리) 시대 조선 숙종 35년(1709) 소유자 용문사 관리자 직지사 팔상탱화는 석가모니의 일생을 잉태로부터 열반에 이르기까지 여덟 장면으로 나누어 묘사한 그림이다. 예천 용문사 팔상탱화는 한 폭에 두 장면씩 네 폭으로 이루어져 있어 형식상의 특징을 보여 준다. 제1폭은 석가모니가 도솔천에서 코끼리를 타고 사바세계로 내려오는 장면인 도솔래의상과 석가모니가 룸비니공원에서 마야부인의 옆구리를 통해 출생하는 모습을 그린 비람강생상, 제2폭에는 태자가 성문 밖의 중생들의 고통을 관찰하고 인생무상을 느끼는 장면의 사문유관상, 부모의 반대를 무릅쓰고 출가하는 장면을 묘사한 유..
-
창원 성주사 감로왕도 (昌原 聖住寺 甘露王圖)-보물 제1732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1. 19. 02:40
분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기타 수량 1폭 지정(등록)일 2011.12.23 소재지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곰절길 191-0 (천선동, 성주사) 시대 1729년 소유자 성주사 관리자 성주사 성주사 감로도는 화기에 의하면 1729년에 성징(性澄)을 증명과 수화승으로 맡고 신정(愼淨), 한영(漢英), 인행(印行), 세관(世冠), 국영(國暎) 등이 참여하여 그린 하단탱 불화이다. 성주사 감로도는 조선 후기의 일반적인 감로도와는 다르게 화면을 구성하고 있다. 이 그림의 화면구성은 상부에 칠여래(七如來)와 관음보살을 중앙부에는 지장보살, 인로왕보살을 비롯하여 아귀와 작법승 등 의식장면을 하부에는 역시 인간의 생활 양태와 죽음을 맞이하는 양상을 배치하였다. 이 그림의 가장 두드러진 도상적 특징은 조선 감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