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보물
-
분청사기 상감연화당초문 병 (粉靑沙器 象嵌蓮花唐草文 甁)-보물 제1067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3. 18. 15:57
분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분청 수량 1점 지정(등록)일 1991.01.25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소유자 국유 관리자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만들어진 높이 31.7㎝, 아가리 지름 8㎝, 굽 지름 9.9㎝인 항아리로, 목을 지나면서 서서히 팽창되어 몸체 아랫부분에서 팽배되었다가, 다시 좁아져 굽에 이르는 안정감이 돋보인다. 아가리부분은 나팔같이 벌어지고 목부분은 좁다. 전체적으로 두 세줄의 백상감 선을 넣어 그 사이사이에 덩굴무늬, 도식화된 연꽃무늬을 그려 넣었다. 몸통 중앙에는 3곳에 연꽃무늬를 그렸으며, 연꽃은 줄기와 잎이 덩굴로 연결되어 있다. 여백은 빗방울이 떨어진 자국을 무늬로 만든 우점문을 백상감하였다. 특히 연꽃과 연잎의 윤곽선..
-
금강산 출토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 일괄 (金剛山 出土 李成桂 發願 舍利莊嚴具 一括)-보물 제1925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3. 17. 09:19
분류 유물 / 생활공예 수량 10점 지정(등록) 2017.01.02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1390년, 1391년 소유 국유 관리 국립중앙박물관 이 사리장엄구는 이성계(李成桂)가 조선을 건국하기 직전인 많은 신하들과 함께 발원한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로서 1932년 금강산(金剛山) 월출봉(月出峰) 석함(石函) 속에서 발견된 것이다. 이 석함 안에서 사리의 외기(外器)인 백자대발(白磁大鉢) 4개와 은제도금라마탑형사리기(銀製鍍金喇嘛塔形舍利器), 이 사리기를 안치한 은제도금팔각당형사리기(銀製鍍金八角堂形舍利器), 그리고 청동발(靑銅鉢) 등이 발견되었다. 이 유물들 중 백자외합 내면과 백자발 외면, 유기완 구연부, 은제도금팔각당형사리기 내 은제팔각통형, 은제도..
-
해남 대흥사 금동관음보살좌상 (海南 大興寺 金銅觀音菩薩坐像)-보물 제1547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3. 16. 18:11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금속조 / 보살상 수량 1구 지정(등록)일 2008.03.12 소재지 전남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대흥사 (구림리) 시대 조선전기 소유자 대흥사 관리자 대흥사 이 상은 윤왕좌(輪王坐)의 보살상으로 금동불로는 규모가 비교적 큰 편이다. 보살상의 세부 표현과 양식은 전반적으로 고려시대의 특징을 잘 계승하고 있으나, 타원형의 양감있는 얼굴모습, 유두를 두드러지게 표현한 점, 몸 전면에 영락이 표현되지 않은 점, 몸을 감고 있는 천의자락의 선이 경직되게 표현된 점 등은 조선전기의 특징으로 여겨진다. 이 보살상은 조선 전반기의 금동상으로서 규모가 큰 편이고 보관 등에 다소 파손된 부분이 있으나 전체적으로 원래의 모습을 잘 보존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크기가 큰 윤왕좌의 보살..
-
서울 화계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서울 華溪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보물 제1822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3. 12. 09:54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보살상 수량 25점 지정(등록)일 2014.03.11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북구 화계사길 117 (수유동, 화계사) 시대 1649년 소유자 화계사 관리자 화계사 ‘서울 화계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서울 華溪寺木造地藏菩薩三尊像및 十王像一括)’은 지장보살, 도명존자, 무독귀왕의 지장삼존상과 시왕, 판관, 사자(使者), 동자, 인왕 등 총 25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든 존상이 주존 지장보살상과 동일한 조각양식을 갖고 있어 영철(靈哲)등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당당한 신체와 율동적인 옷주름 묘사 등에서 수연(守衍), 영철로 이어지는 수연파의 작풍을 볼수 있고, 지장보살상을 비롯한 여러 존상에서 코가 높고 콧날의 윗부분이 양 미간의 높이에 비해 유난히 돌출..
-
부산 국청사 청동북 (釜山 國淸寺 靑銅金鼓)-보물 제1733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3. 11. 13:39
분류 유물 / 불교공예 / 의식법구 수량 1구 지정(등록)일 2011.12.23 소재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 (청룡동, 범어사 성보박물관) 범어사 성보박물관 시대 1666년 소유자 국청사 관리자 국청사 현재 고려시대의 금고는 비교적 많은 수가 확인되지만 의외로 조선 전기의 작품은 남아있지 않다. 이 국청사 소장 금고 역시 1666년에 제작된 작품으로서 보물로 지정된 은해사 소장 금고보다 불과 20년 뒤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17세기에 제작된 자료가 극히 적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게 평가된다. 금고의 전체 직경은 40.5cm로서 중형에 속하며 측면이 뒤로 접혀 짧은 전을 형상하고 뒷면에 넓게 공명구가 뚫린 가장 일반적인 형식을 따랐다. 고면(鼓面)은 2줄의 동심원으로 구획하여 중앙의 당좌구는 문양..
-
이시방 초상 (李時昉 肖像)-보물 제1482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3. 9. 18:04
분류 유물 / 일반회화 / 인물화 / 초상화 수량 초상1점, 함1점 지정(등록)일 2006.12.29 소재지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안대로 398 (상대동, 대전시립박물관) 시대 1623년경 소유자 이*** 관리자 대전시립박물관 李時昉(1594-1660)은 仁祖反正의 주역들인 延平府院君 李貴(1557-1633)의 次子이자 延陽府院君 李時白(1581-1660)의 동생이다. 이시방은 아버지와 형을 따라 1623년의 30세 때 仁祖反正에 참여하여 靖社功臣 2等으로 延城君에 봉해지고, 이후 여러 차례 判書를 지낸 뒤 顯宗 즉위년(1659) 가을에 判義禁府事를 지냈다. 현재 대전의 후손가에 전하는 이시방의 초상은 모두 6점인데, 본래는 이시방의 후손들이 世居하던 洪城의 祠堂에서 주로 봉안해오던 것들이라고 한다. 먼저..
-
예산 수덕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 (禮山 修德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및 腹藏遺物)-Wooden Seated Sakyamuni Buddha Triad and Excavated Relics of Sudeoksa Temple, Yesan 보물 제1381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3. 6. 15:13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 불상3구 및 관련유물 일괄 지정(등록)일 2003.11.14 소재지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20번지 수덕사 시대 조선 인조 17년(1639) 소유자,관리자 수덕사 수덕사 대웅전(국보 제49호)에 모셔져 있는 목조 삼세불좌상 및 복장유물과 연화대좌, 수미단 등이다. 삼세불좌상은 수덕사의 중흥조(中興祖)인 만공(滿空)선사가 전북 남원에 있는 만행산 ‘귀정사(歸淨寺)’로부터 옮겨온 것이라고 한다. 중앙의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약사불, 왼쪽에는 아미타불이 자리하고 있다. 석가모니불은 주존으로서 굽어보는 듯한 자세에 당당한 어깨와 넓은 무릎을 하여 안정되어 보인다. 육계의 구분이 불분명한 머리에는 중앙계주와 정상계주가 표현되어 있으며, 네모꼴의 각진 얼..
-
수덕사 노사나불 괘불탱 (修德寺 盧舍那佛 掛佛幀)-Hanging Painting of Sudeoksa Temple (Rocana Buddha) 보물 제1263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3. 6. 14:52
분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 1폭 지정(등록)일 1997.08.08 소재지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20번지 수덕사 시대 조선 현종14년(1673,康熙12) 소유자 수덕사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 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대형 불교그림인데, 이 괘불은 노사나불을 중심으로 하여 12대 보살, 10대 제자 등 여러 무리들이 그려진 그림이다. ‘원만보신노사나불(圓滿報身盧舍那佛)’이란 명칭이 머리광배에 기록되어 있으며 신체에 비해 두 손을 크게 강조하여 노사나불이 주존임을 뚜렷이 나타내주고 있다. 보관과 가슴에 달린 장식, 옷의 문양, 매듭 등이 화려함을 보여준다. 이 불화는 신원사 노사나불괘불탱(국보 제299호)과 같은 그림인데, 십이대보살, 십대제자,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