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국보
-
대구 비산동 청동기 일괄 - 투겁창 및 꺾창 (大邱 飛山洞 靑銅器 一括 - 鉾 및 戈)Bronze Artifacts from Bisan-dong, Daegu-국보 제137-2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4. 7. 9. 08:55
분류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무구수량일괄지정일1971.12.21소재지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소유국*** 관리국립중앙박물관 국가유산 설명대구시 북부 비산동에 소재한 초기철기시대 무덤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이다.투겁창(동모)은 창의 일종으로 끝에 나무자루를 끼우고 창 끝에 달려있는 반원형의 고리에 고정시켜 사용하도록 되어있다. 3점이 출토되었는데 하나는 길이 67.1㎝로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투겁창 중에서 가장 큰 편에 속한다.길이 57.2㎝의 투겁창은 몸통이 넓어 광형투겁창(광형동모)이라 하고 옆에 달려있는 고리에 구멍이 뚫려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실용품이라기 보다는 의기용(儀器用)으로 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나머지 하나는 40.0㎝로 보존상태가 양호하다.일..
-
대구 비산동 청동기 일괄 - 검 및 칼집 부속 (大邱 飛山洞 靑銅器 一括 - 劍 및 劍鞘附屬)Bronze Artifacts from Bisan-dong, Daegu-국보 제137-1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4. 7. 9. 08:36
분류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무구수량일괄지정일1971.12.21소재지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소유삼성문화재단 관리삼성문화재단 국가유산 설명대구시 북부 비산동에 있는 초기철기시대 무덤유적에서 나온 유물이다.동검은 전형적인 세형동검으로 칼 끝이 예리하고 칼몸 끝까지 등날이 세워져 있다. 모양은 가운데 마디가 있고 칼자루 끝에는 물새 두 마리가 머리를 돌리고 서로 바라보는 모습을 하고 있다. 이러한 장식은 이미 평양부근에서 출토된 적이 있는 것으로 북방지역 청동기 문화와의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다. 검은 색조의 청동검은 칼자루의 표면은 광택이 있으며 그 밖의 다른 세부 조각이나 장식은 없다.이외에 부속품으로 칼자루 장신구, 칼집부속구, 칼끝 장신구 등과 기타..
-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光陽 中興山城 雙獅子 石燈)Twin Lion Stone Lantern of Jungheungsanseong Fortress, Gwangyang-국보 제103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4. 7. 8. 11:16
분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석등수량1기지정일1962.12.20소재지광주 북구 하서로 110, 국립광주박물관 (매곡동)시대통일신라시대소유국유 관리국립광주박물관 국가유산 설명석등은 부처의 광명을 상징한다 하여 광명등(光明燈) 이라고도 하며, 대개 대웅전이나 탑과 같은 중요한 건축물 앞에 자리한다. 일반적으로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로는 3단을 이루는 받침돌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을 올린 후 꼭대기에 머리장식을 얹어 마무리한다.이 석등은 큼직한 연꽃이 둘러진 아래받침돌 위로 가운데기둥 대신 쌍사자를 조각한 것이 특징이다. 두 마리의 사자는 뒷발로 버티고 서서 가슴을 맞대어 위를 받치고 있는 모습으로, 사실적이면서 자연스럽게 표현되어 있어 주목된다. 8각의 화사석에는 4개의 ..
-
신숙주 초상 (申叔舟 肖像)-Portrait of Sin Suk-ju- 보물 제613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4. 7. 3. 14:07
분류유물 / 일반회화 / 인물화 / 초상화수량1폭지정일2024.08.소재지충청북도 청주시시대1455년소유고*** 관리고*** ◉국가유산청공고 제2024-48호문화유산법 시행령 제11조 제4항의 규정에 따라 국가지정문화유산(국보・보물) 지정 가치가 있다고 평가된 5건 및 지정정보 변경 필요성이 있다고 평가된 1건 등 총 6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예고합니다.2024. 7. 3.국 가 유 산 청 장1. 공 고 명 : 국가지정문화유산(국보・보물) 지정・해제 및 지정정보 변경 예고2. 공고사항가. 국가지정문화유산(국보) 지정 예고 대상 : 총 1건1) 신숙주 초상(申叔舟 肖像) 국가유산 설명은 조선 전기의 문신인 보한재 신숙주(1417∼1475)의 초상화로 가로 109.5㎝, 세로 167㎝이다. 신숙주는 글에 ..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4)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1964))-Gilt-bronze Pensive Maitreya Bodhisattva-국보 제118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4. 6. 28. 10:16
분류유물 / 불교조각 / 금속조 / 불상수량1구지정일1964.03.30소재지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시대삼국시대소유이*** 관리삼성문화재단 국가유산 설명 \1944년 평양시 평천리에서 공사를 하던 중 출토된 작은 보살상으로 높이 17.5㎝이다. 전면에 녹이 많이 슬었고 오랫동안 흙속에서 침식된 흔적이 뚜렷하며, 불에 탄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 삼국시대에 유행하던 반가상은 오직 백제와 신라에서만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있었는데, 이 보살상으로 새롭게 고구려의 예를 확인할 수 있어 주목된다.머리에는 산 모양의 삼산관(三山冠)을 쓰고 있으며 고개를 약간 숙여 생각에 잠겨 있는 모습이다. 얼굴은 네모난 형으로 눈을 반쯤 감고 있고, 입가에는 엷은 미소가 번져난다. 상체에는..
-
부안 내소사 동종 (扶安 來蘇寺 銅鍾)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4. 2. 21. 18:25
분류 유물 / 불교공예 / 의식법구 수량 1구 지정일 2023.12.26 소재지 전라북도 부안군 내소사로 243 (진서면, 내소사) 시대 1222년(고려 고종 9) 소유 대한불교조계종 내소사 관리 대한불교조계종 내소사 문화재 설명 사찰에서 사용하는 종은 소리를 통해 범음(梵音)을 전파하는 도구 중 하나로 법고, 운판, 목어와 더불어 법구사물(法具四物)로 불린다. 종은 대중을 모이게 하거나 시간을 알리기 위해 치기도 하지만, 신성한 불음(佛音)을 통해 현실에서 고통 받고 있는 중생들의 깨달음과 구제를 염원하는 종교적 기능도 가지고 있다. ‘부안 내소사 동종’은 몸체에 음각으로 새겨진 주종기(鑄鍾記)를 통해 도인(道人) 허백(虛白)과 종익(宗益)의 주관 아래 장인 한중서(韓冲敍)가 700근의 무게로 1222..
-
동의보감(2015-2) (東醫寶鑑(2015-2))Dongui bogam (Principles and Practice of Eastern Medicine)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4. 1. 10. 10:46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목활자본 수량 25卷25冊(赤裳山史庫本) 지정일 2015.06.22 소재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시대 1613년 소유 국유 관리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재 설명 『동의보감(東醫寶鑑)』은 허준(許浚,1539∼1615)이 1610년(광해군 2)에 조선과 중국에 유통되던 의서와 임상의학적 체험을 통한 치료법을 엮어놓은 우리나라 최고의 한의서이다. 선조는 1596년에 허준과, 양예수(楊禮壽), 이명원(李命源) 등에게 명하여 의서를 편찬토록 하였으나 전쟁으로 중단되었다. 이후 허준은 14년 동안 정력을 쏟아 1610년에 드디어 완성하였으니 이것이『동의보감』이다.『동의보감』은 우리나라 사람이 찬술한 의서 중에서 최고라는 국내외의 평가를..
-
동의보감(2015-1) (東醫寶鑑(2015-1))-Dongui bogam (Principles and Practice of Eastern Medicine)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4. 1. 10. 09:52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목활자본 수량 25卷25冊(五臺山史庫本) 지정일 2015.06.22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 (반포동, 국립중앙도서관) 시대 1613년(조선 광해군5년) 소유 국유 관리 국립중앙도서관 문화재 설명 『동의보감(東醫寶鑑)』은 허준(許浚,1539∼1615)이 1610년(광해군 2)에 조선과 중국에 유통되던 의서와 임상의학적 체험을 통한 치료법을 엮어놓은 우리나라 최고의 한의서이다. 선조는 1596년에 허준과, 양예수(楊禮壽), 이명원(李命源) 등에게 명하여 의서를 편찬토록 하였으나 전쟁으로 중단되었다. 이후 허준은 14년 동안 정력을 쏟아 1610년에 드디어 완성하였으니 이것이『동의보감』이다.『동의보감』은 우리나라 사람이 찬술한 의서 중에서 최고라는 국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