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국보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Gilt-bronze Pensive Maitreya Bodhisattva-국보 제83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6. 24. 18:42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 국보 제83호 7세기 종목국보 제83호명칭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 분류유물/불교조각/금속조/보살상수량1구지정일1962.12.20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삼국시대-7세기전반 신라소유.관리국유,국립중앙박물관설명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국보 제78호)과 함께 국내에서는 가장 큰 금동반가사유상으로 높이가 93.5㎝이다. 1920년대에 경주에서 발견되었다고 전하나 근거가 없으며, 머리에 3면이 둥근 산 모양의 관(冠)을 쓰고 있어서 ‘삼산반가사유상(三山半跏思惟像)’으로도 불린다. 얼굴은 거의 원형에 가까울 정도로 풍만하고 눈두덩과 입가에서 미소를 풍기고 있다...
-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慶州 甘山寺 石造阿彌陀如來立像)-국보 제82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6. 24. 17:19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慶州 甘山寺 石造阿彌陀如來立像) 국보 제82호 종목 국보 제82호 명칭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慶州 甘山寺 石造阿彌陀如來立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보살상 수량 1구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국유,국립중앙박물관 설명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감산사는 신라 성덕왕 18년(719)에 김지성이 부모의 명복을 빌고, 국왕과 왕족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창건한 사찰이다. 창건 후 그는 어머니를 위해 미륵보살을, 아버지를 위해 아미타불을 만들었다고 한다. 현재는 두 불상을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국보 제81호),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불입상(국보 제82호)으로 지정하여 ..
-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慶州 甘山寺 石造彌勒菩薩立像)-국보 제81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6. 24. 16:33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慶州 甘山寺 石造彌勒菩薩立像) 국보 제81호 종목 국보 제81호 명칭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慶州 甘山寺 石造彌勒菩薩立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보살상 수량 1구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국유,국립중앙박물관 설명 경상북도 월성군에 있는 감산사는 신라 성덕왕 18년(719)에 김지성이 부모의 명복을 빌고, 국왕과 왕족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창건한 사찰이다. 창건한 해에 그는 어머니를 위해 미륵보살을, 아버지를 위해 아미타불을 만들었다고 한다. 현재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국보 제81호)과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불입상(국보 제82호)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관하고 ..
-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平昌 上院寺 木造文殊童子坐象)-국보 제221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7. 2. 13. 19:24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平昌 上院寺 木造文殊童子坐象) 국보 제221호 종목 국보 제221호 명칭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平昌 上院寺 木造文殊童子坐象) 분류 유물 / 불교조각/ 목조/ 동자상 수량 1구 지정일 1984.10.15 소재지 강원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211-50, 상원사 (동산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상원사 설명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에 있는 상원사는 신라 성덕왕 4년(705)에 보천과 효명의 두 왕자가 창건한 진여원(眞如院)이라는 절에서 시작된 사찰로, 조선 세조가 이곳에서 문수동자를 만나 질병을 치료했다는 전설이 내려온다. 이와 같이 상원사는 문수신앙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절로, 상원사의 문수동자상은 예배의 대상으로서 만들어진 국내 유일의 동자상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
-
울진 봉평리 신라비 (蔚珍 鳳坪里 新羅碑)-Sillabi Monument in Bongpyeong-ri, Uljin-국보 제242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7. 2. 4. 12:32
울진 봉평리 신라비 (蔚珍 鳳坪里 新羅碑)국보 제242호 종목국보 제242호명칭울진 봉평리 신라비 (蔚珍 鳳坪里 新羅碑)분류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수량1기(殘片)지정일1988.11.04소재지경북 울진군 죽변면 봉평리 521번지 전시관 내부 전시 / (도로명)죽변면 봉화길 15 시대신라소유.관리국유,국립경주박물관설명삼국시대 신라의 비석으로, 1988년 봉평리 논 객토작업으로 2-3개월 방치되어 있던 것을 마을 주민(권대선)이 발견하고 신고하였다. 오랜 세월 땅속에 묻혀 있었던 까닭에 상태가 좋은 편은 아니나, 원래의 형태를 잘 간직하고 있다. 비는 자연돌을 다듬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전체적인 모양은 사다리꼴에 가깝다. 비문은 한쪽 면에만 새겨져 있는데, 글자수는 ..
-
냉수리신라비보다 2년 앞선다는 포항 중성리 신라비 (浦項 中城里 新羅碑)-Sillabi Monument in Jungseong-ri, Pohang-국보 제318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7. 2. 4. 11:01
포항 중성리 신라비 (浦項 中城里 新羅碑)국보 제318호 종목국보 제318호명칭포항 중성리 신라비 (浦項 中城里 新羅碑)분류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수량1기(殘片)지정일2015.04.22소재지경상북도 경주시 불국로 132 (마동,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시대신라소유.관리국유,국립경주박물관설명포항 중성리 신라비는 2009년 5월에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중성리 에서 발견된 현존 최고(最古)의 신라비이다. 모양이 일정치 않은 화강암(花崗巖) 1면에서 전체 12행 20자로 음각(陰刻)된 도합 203자의 비문이 각자(刻字)되어 있다. 비석은 비면 상단부 일부와 우측면 일부가 떨어져 나갔을 뿐 비문의 대부분은 판독이 가능할 정도로 양호한 상태이다. 이 비의 비문은 신라 관등제의 성립 과정, 신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