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국보
-
청자 어룡형 주전자 (靑磁 魚龍形 注子)-Celadon Ewer in the Shape of a Fish-dragon-국보 제61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6. 26. 19:12
청자 어룡형 주전자 (靑磁 魚龍形 注子) 국보 제61호 종목국보 제 61호명칭청자 어룡형 주전자 (靑磁 魚龍形 注子) 분류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수량1개지정일1962.12.20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고려시대소유.관리국유,국립중앙박물관설명고려 청자의 전성기인 12세기경에 만들어진 청자주전자로 높이 24.4cm, 밑지름 10.3cm이다. 용의 머리와 물고기의 몸을 가진 특이한 형태의 동물을 형상화한 상형의 청자 주전자이다. 물을 따르는 부리는 용의 머리모양이고, 이빨과 지느러미, 꼬리 끝에는 백토(白土)를 발랐다. 얼굴의 털이나 지느러미들을 매우 섬세하게 표현하였다. 주전자 몸체에는 비늘이 도드라지게 표현되었고, 중앙부에는..
-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靑銅 銀入絲 蒲柳水禽文 淨甁)-국보 제92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6. 26. 12:52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靑銅 銀入絲 蒲柳水禽文 淨甁) 국보 제92호 종목 국보 제 92호 명칭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靑銅 銀入絲 蒲柳水禽文 淨 甁) 분류 유물/불교공예/공양구/공양구 수량 1개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국유,국립중앙박물관 설명 고려시대 대표적인 금속 공예품의 하나로 높이 37.5㎝의 은입사로 시문된 정병(淨甁)이다. 둥근 몸체의 어깨와 굽 위에 꽃무늬를 두르고, 그 사이에 우거진 갈대와 수양버들이 늘어진 언덕이 있으며, 주위로 오리를 비롯하여 물새들이 헤엄치거나 날아오르는 서정적인 풍경을 묘사하였다. 먼 산에는 줄지어 철새가 날고 있고, 물 위에는 사공이 조각배를 젓고 있다...
-
국내에 남아있는 고려시대 종 가운데 가장 큰 종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聖居山 天興寺銘 銅鍾)-국보 제280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6. 25. 18:56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聖居山 天興寺銘 銅鍾) 국보 제280호 종목 국보 제 280호 명칭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聖居山 天興寺銘 銅鍾) 분류 유물/불교공예/의식법구/의식법구 수량 1구 지정일 1993.09.10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국유,국립중앙박물관 설명 국내에 남아있는 고려시대 종 가운데 가장 큰 종으로서 종의 높이 1.33m, 종의 구경은 입구 0.96m이다. 종 위에는 종의 고리 역할을 하는 용뉴가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모습으로 표현되었는데, 신라 종의 용보다 고개를 쳐 들어 올린 모습을 하고 있다. 용뉴 뒤에 붙은 음통은 대나무 모양이며, 편평한 부분인 천판 가장자리에는 연꽃무늬를 돌렸다. 몸체의 아래와 위에는 구슬..
-
서울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입상 (서울 三陽洞 金銅觀音菩薩立像)-Gilt-bronze Standing Avalokitesvara Bodhisattva from Samyang-dong, Seoul-국보 제127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6. 25. 14:27
서울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입상 (서울 三陽洞 金銅觀音菩薩立像) 국보 제127호 종목 국보 제 127호 명칭 서울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입상 (서울 三陽洞 金銅觀音菩薩立像) 분류 유물/불교조각/금속조/불상 수량 1구 지정일 1968.12.19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삼국시대 소유.관리 국유,국립중앙박물관 설명 1967년 서울시 도봉구 삼양동에서 발견된 높이 20.7㎝의 보살상으로,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관리하고 있다. 발목 윗부분에 금이 가고 왼쪽 옷자락이 약간 떨어져 나간 상태이다. 머리에는 삼각형의 관(冠)을 쓰고 있고, 양감 있는 얼굴은 원만해 보이며, 입가에는 엷은 미소를 짓고 있다. 상체는 어깨가 좁아 위축된 모양이며, 배를 앞으로 내밀고 있어 ..
-
양평 신화리 금동여래입상 (楊平 新花里 金銅如來立像)-국보 제186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6. 25. 12:35
양평 신화리 금동여래입상 (楊平 新花里 金銅如來立像) 국보 제186호 종목 국보 제 186호 명칭 양평 신화리 금동여래입상 (楊平 新花里 金銅如來立像) 분류 유물/불교조각/금속조/불상 수량 1구 지정일 1976.12.14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삼국시대 소유.관리 국유,국립중앙박물관 설명 1976년 경기도 양평군 신화리에서 농지를 정리하던 중에 우연히 발견된 높이 30㎝의 불상인데, 이곳에서 기와조각 등 유물이 많이 나온 것으로 보아 예전에는 절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불상은 대좌(臺座)와 광배(光背)를 잃었으나, 보존 상태가 매우 좋고 도금이 거의 완전하게 남아 있다. 얼굴은 길고 둥글어 풍만한 느낌을 주며, 목은 매우 길고 굵게 표현되어 있다. ..
-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 (慶州 九黃洞 金製如來立像)-국보 제80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6. 24. 22:16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 (慶州 九黃洞 金製如來立像) 국보 제80호 종목 국보 제80호 명칭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 (慶州 九黃洞 金製如來立像) 분류 유물/불교조각/금속조/불상 수량 1구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국유,국립중앙박물관 설명 경주구황리금제여래좌상(국보 제79호)과 함께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국보 제37호)에 안치된 사리함 속에서 발견된 불상이다. 전체 높이 14㎝의 순금으로 만든 불상이며 대좌(臺座)와 광배(光背)를 모두 갖추고 있다. 민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큼직하게 솟아 있고, 갸름한 얼굴은 양감이 있고 자비롭다. 눈은 정면을 바라보고 있으며, 콧날은 날카롭고 입가에는 미..
-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慶州 九黃洞 金製如來坐像)-국보 제79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6. 24. 21:53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慶州 九黃洞 金製如來坐像) 국보 제79호 종목 국보 제79호 명칭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慶州 九黃洞 金製如來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금속조/불상 수량 1구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국유,국립중앙박물관 설명 1942년 착수된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국보 제37호) 해체수리 공사시 나온 사리함에서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국보 제80호)과 함께 발견되었다. 사리함에 새겨진 글에 의하면 통일신라 성덕왕 5년(706)에 사리함 속에 순금으로 된 아미타상을 넣었다고 하는데 이 불상이 아닌가 추측된다. 그러나 크기가 6치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 불상은 12.2㎝로 4치도 되지 않아 ..
-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金銅延嘉七年銘如來立像)-국보 제119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8. 6. 24. 20:21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金銅延嘉七年銘如來立像) 국보 제119호 종목 국보 제119호 명칭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金銅延嘉七年銘如來立像) 분류 유물/불교조각/금속조/불상 수량 1구 지정일 1964.03.30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고구려 소유.관리 국유,국립중앙박물관 설명 고구려와 관련된 글이 새겨져 있는 불상으로, 옛 신라 지역인 경상남도 의령지방에서 발견되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광배(光背) 뒷면에 남아있는 글에 따르면 평양 동사(東寺)의 승려들이 천불(千佛)을 만들어 세상에 널리 퍼뜨리고자 만들었던 불상 가운데 29번째 것으로, 전체 높이는 16.2㎝이다. 머리는 삼국시대 불상으로는 유례가 드물게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정수리 부..